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0/05/20 21:47:57
Name 개념은나의것
File #1 Lee_Pair.jpg (11.7 KB), Download : 33
Subject 2010년 5월 20일 현재, 이제동과 이영호의 통산 전적 및 커리어






2010년 5월 20일 현재, 이제동과 이영호의 통산 전적 및 커리어


원문: http://cafe.naver.com/fafostar/9785


* 승률은 소수점 이하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함.
* 온게임넷이 주관한 일련의 역대 스타리그를 편의상 OSL로 지칭함.



▲ 프로필
 ο 프로 등록 일자의 출처: KeSPA 선수 프로필.

 · 이제동(n.Die_Jaedong)
  - 종족: Zerg
  - 연령: 만 20세 4개월
  - 프로 등록: 2006.3.22
  - 소속팀: 화승 OZ

 · 이영호(By.Flash)
  - 종족: Terran
  - 연령: 만 17세 10개월
  - 프로 등록: 2007.3.16
  - 소속팀: KT 롤스터




▲ 통산 전적(포모스 제공 전적 기준)
 ο 상대 종족별 전적은 공식전 기준.
 ο http://www.fomos.kr/search/player_search.html?winner_value=%C0%CC%C1%A6%B5%BF

 · 이제동 - 공식전 290승 133패, 승률 68.6% / 비공식전 포함 414승 188패, 승률 68.8%
  - vs Z: 112승 33패, 승률 77.2%
  - vs T: 108승 66패, 승률 62.1%
  - vs P: 70승 34패, 승률 67.3%

 · 이영호 - 공식전 258승 105패, 승률 71.1% / 비공식전 포함 337승 138패, 승률 70.9%
  - vs Z: 83승 37패, 승률 69.2%
  - vs T: 94승 34패, 승률 73.4%
  - vs P: 81승 34패, 승률 70.4%




▲ 양대리그 통산 커리어
 ο 3·4위전이 없었던 OSL의 경우, 해당 양 선수를 공동 3위로 인정하는 현행 OSL 순위 결정 방식에 따름.
 ο 3·4위전이 없었던 MSL의 경우, 해당 양 선수의 승률을 기준으로 3, 4위를 구분하는 현행 MSL 순위 결정 방식에 따름.
  (http://www.mbcgame.co.kr/program/hall_of_fame.asp?Top_CD=G_PG&Sub_Title=PP)
 ο http://cafe.naver.com/fafostar/194

 · 이제동 - 우승 5회, 준우승 1회, 3위 0회, 4위 1회
  - 에버 OSL 2007 우승 ★
  - 곰TV MSL 시즌4 우승 ★
  - 아레나 MSL 준우승 ☆
  - 바투 OSL 우승 ★
  - 박카스 OSL 2009 우승 ★
  - 아발론 MSL 4위
  - 네이트 MSL 우승 ★

 · 이영호 - 우승 2회, 준우승 1회, 3위 1회, 4위 1회
  - 다음 OSL 4위
  - 박카스 OSL 2008 우승 ★
  - 아레나 MSL 3위
  - 에버 OSL 2009 우승 ★
  - 네이트 MSL 준우승 ☆




▲ 기타 개인리그 주요 커리어
 ο http://cafe.naver.com/fafostar/193

 · 이제동
  - e스타즈 서울 2007 우승
  - TG삼보-인텔 클래식 시즌1 우승
  - WCG 2009 우승

 · 이영호
  - 곰TV 스타 인비테이셔널 우승
  - TG삼보-인텔 클래식 시즌1 준우승
  - TG삼보-인텔 클래식 시즌3 우승
  - 실내아시아경기대회 2009 우승




▲ 프로리그 통산 전적 및 수상 실적(와이고수 제공 공식전 전적 기준)
 ο http://sc.ygosu.com/reports/?m2=search
 ο http://cafe.naver.com/fafostar/3726

 · 이제동 - 163승 70패, 승률 70.0%
  -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6 전기리그 신인왕
  -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6 후기리그 MVP, 개인전 다승왕
  -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MVP(공동), 다승왕(공동)

 · 이영호 - 142승 49패, 승률 74.3%
  -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8 MVP, 개인전 다승왕
  -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다승왕(공동)




▲ KeSPA e스포츠대상 수상 실적
 ο http://cafe.naver.com/fafostar/202

 · 이제동
  - 2006 신인상
  - 2007 올해의 선수, 저그 최우수선수
  - 2009 올해의 선수, 저그 최우수선수

 · 이영호
  - 2007 테란 최우수선수, 신인상
  - 2009 테란 최우수선수




▲ 현 KeSPA 랭킹 및 과거 1위 유지 기간
 ο http://www.e-sports.or.kr/static/ranking.kea?m_code=static_21

 · 이제동 - 현재 2위
  - 2008년 3월~6월, 2009년 4월~2010년 2월 - 도합 15개월

 · 이영호 - 현재 1위
  - 2008년 7월~11월, 2010년 3월~5월 - 도합 8개월




▲ 상대 전적
 ο '公' 마크는 KeSPA 공식전.
 ο '순번. 승자 - 경기일 - 대회 및 경기명' 서식 기재.

  1. 이영호 승 - 2007.07.01 -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전기리그 公
  2. 이영호 승 - 2008.02.14 - 곰TV MSL 시즌4 8강 1세트 公
  3. 이제동 승 - 2008.02.14 - 곰TV MSL 시즌4 8강 2세트 公
  4. 이제동 승 - 2008.02.14 - 곰TV MSL 시즌4 8강 3세트 公
  5. 이제동 승 - 2008.02.14 - 곰TV MSL 시즌4 8강 4세트 公
  6. 이영호 승 - 2008.02.15 - 박카스 OSL 2008 8강 1세트 公
  7. 이제동 승 - 2008.02.22 - 박카스 OSL 2008 8강 2세트 公
  8. 이영호 승 - 2008.02.22 - 박카스 OSL 2008 8강 3세트 公
  9. 이영호 승 - 2008.02.25 - 곰TV 스타 인비테이셔널 8강 1세트
 10. 이제동 승 - 2008.02.25 - 곰TV 스타 인비테이셔널 8강 2세트
 11. 이영호 승 - 2008.02.25 - 곰TV 스타 인비테이셔널 8강 3세트
 12. 이제동 승 - 2008.08.10 - TG삼보-인텔 클래식 시즌1 결승 1세트
 13. 이제동 승 - 2008.08.10 - TG삼보-인텔 클래식 시즌1 결승 2세트
 14. 이제동 승 - 2008.08.10 - TG삼보-인텔 클래식 시즌1 결승 3세트
 15. 이영호 승 - 2008.09.06 -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8 올스타전
 16. 이제동 승 - 2008.10.15 -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1라운드 公
 17. 이제동 승 - 2008.12.17 -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2라운드 公
 18. 이영호 승 - 2009.02.05 - 로스트사가 MSL 32강 최종전 公
 19. 이영호 승 - 2009.02.08 -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3라운드 公
 20. 이제동 승 - 2009.03.22 -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위너스리그 플레이오프 公
 21. 이제동 승 - 2009.07.01 - 박카스 OSL 2009 16강 公
 22. 이영호 승 - 2009.12.18 - 에버 OSL 2009 8강 1세트 公
 23. 이영호 승 - 2009.12.25 - 에버 OSL 2008 8강 2세트 公
 24. 이제동 승 - 2010.01.23 - 네이트 MSL 결승 1세트 公
 25. 이영호 승 - 2010.01.23 - 네이트 MSL 결승 2세트 公
 26. 이제동 승 - 2010.01.23 - 네이트 MSL 결승 3세트 公
 27. 이제동 승 - 2010.01.23 - 네이트 MSL 결승 4세트 公
 28. 이영호 승 - 2010.01.26 -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3라운드 公

 - 총 전적 15승 13패, 이제동 우세
 - 공식전 전적 11승 10패, 이제동 우세




▲ 5전3선승제 이상 다전제 전적
 ο (2n-1)전n선승제 방식으로 치러지지 않은 시리즈의 경우 5전 이상이면 포함함(n은 3 이상의 정수).
 ο 분리형 다전제 시리즈의 일자는 최종일을 기재함.
 ο '公' 마크는 KeSPA 공식전.
 ο 's' 마크는 스킨스 방식 경기로 승패는 상금 기준.
 ο '순번. 상대 선수(종족) - 승패(스코어) - 경기일 - 대회 및 경기명' 서식 기재.
 ο http://cafe.naver.com/fafostar/6816
 ο http://cafe.naver.com/fafostar/9632

 · 이제동
   1. 對 안기효(P) - 패(1:3) - 2007.07.23 - 스타챌린지 2007 시즌1 1위결정전 公
   2. 對 신희승(T) - 승(3:0) - 2007.12.07 - 에버 OSL 2007 4강 公
   3. 對 송병구(P) - 승(3:1) - 2007.12.22 - 에버 OSL 2007 결승 公
   4. 對 이영호(T) - 승(3:1) - 2008.02.14 - 곰TV MSL 시즌4 8강 公
   5. 對 박성균(T) - 승(3:1) - 2008.02.28 - 곰TV MSL 시즌4 4강 公
   6. 對 김구현(P) - 승(3:1) - 2008.03.08 - 곰TV MSL 시즌4 결승 公
   7. 對 진영수(T) - 승(3:1) - 2008.06.26 - 아레나 MSL 8강 公
   8. 對 박영민(P) - 승(3:0) - 2008.07.10 - 아레나 MSL 4강 公
   9. 對 김윤중(P) - 승(3:0) - 2008.07.20 - TG삼보-인텔 클래식 시즌1 4강
  10. 對 박지수(T) - 패(0:3) - 2008.07.26 - 아레나 MSL 결승 公
  11. 對 이영호(T) - 승(3:0) - 2008.08.10 - TG삼보-인텔 클래식 시즌1 결승
  12. 對 김택용(P) - 승(3:2) - 2009.03.01 - TG삼보-인텔 클래식 스페셜 매치
  13. 對 조일장(Z) - 승(3:0) - 2009.03.27 - 바투 OSL 4강 公
  14. 對 정명훈(T) - 승(3:2) - 2009.04.04 - 바투 OSL 결승 公
  15. 對 고인규(T) - 승(3:2) - 2009.07.30 - 아발론 MSL 8강 公
  16. 對 김윤환(Z) - 패(1:3) - 2009.08.13 - 아발론 MSL 4강 公
  17. 對 정명훈(T) - 승(3:1) - 2009.08.14 - 박카스 OSL 2009 4강 公
  18. 對 박명수(Z) - 승(3:0) - 2009.08.22 - 박카스 OSL 2009 결승 公
  19. 對 김대엽(P) - 승(3:0) - 2010.01.09 - 네이트 MSL 8강 公
  20. 對 김구현(P) - 승(3:0) - 2010.01.16 - 네이트 MSL 4강 公
  21. 對 이영호(T) - 승(3:1) - 2010.01.23 - 네이트 MSL 결승 公
  22. 對 전상욱(T) - 승(3:0) - 2010.05.08 - 하나대투증권 MSL 8강 公
  23. 對 김윤환(Z) - 승(3:1) - 2010.05.20 - 하나대투증권 MSL 4강 公

  - 시리즈 전적 20승 3패, 승률 87.0%
  - 공식전 시리즈 전적 17승 3패, 승률 85.0%


 · 이영호
   1. 對 김준영(Z) - 패(2:3) - 2007.07.13 - 다음 OSL 4강 公
   2. 對 송병구(P) - 패(0:3) - 2007.07.18 - 다음 OSL 3·4위전 公
   3. 對 이제동(Z) - 패(1:3) - 2008.02.14 - 곰TV MSL 시즌4 8강 公
   4. 對 오영종(P) - 승(3:1) - 2008.02.27 - 곰TV 스타 인비테이셔널 4강
   5. 對 김택용(P) - 승(3:1) - 2008.02.29 - 박카스 OSL 2008 4강 公
   6. 對 송병구(P) - 승(3:2) - 2008.03.01 - 곰TV 스타 인비테이셔널 결승
   7. 對 송병구(P) - 승(3:0) - 2008.03.15 - 박카스 OSL 2008 결승 公
   8. 對 마재윤(Z) - 승(4:3, 290만원:110만원) - 2008.03.25 - MBC게임 올스타 스킨스매치 s
   9. 對 박성균(T) - 승(3:1) - 2008.04.06 - TG삼보-인텔 클래식 특별전
  10. 對 손주흥(T) - 승(3:2) - 2008.07.03 - 아레나 MSL 8강 公
  11. 對 박지수(T) - 패(1:3) - 2008.07.17 - 아레나 MSL 4강 公
  12. 對 손찬웅(P) - 승(3:0) - 2008.07.27 - TG삼보-인텔 클래식 시즌1 4강
  13. 對 이제동(Z) - 패(0:3) - 2008.08.10 - TG삼보-인텔 클래식 시즌1 결승
  14. 對 박성준(Z) - 승(3:0) - 2009.07.19 - TG삼보-인텔 클래식 시즌3 4강
  15. 對 변형태(T) - 승(3:1) - 2009.08.16 - TG삼보-인텔 클래식 시즌3 결승
  16. 對 김윤환(Z) - 승(3:1) - 2010.01.01 - 에버 OSL 2009 4강 公
  17. 對 도재욱(P) - 승(3:0) - 2010.01.07 - 네이트 MSL 8강 公
  18. 對 한상봉(Z) - 승(3:1) - 2010.01.14 - 네이트 MSL 4강 公
  19. 對 진영화(P) - 승(3:1) - 2010.01.17 - 에버 OSL 2009 결승 公
  20. 對 이제동(Z) - 패(1:3) - 2010.01.23 - 네이트 MSL 결승 公
  21. 對 정종현(T) - 승(3:1) - 2010.05.06 - 하나대투증권 MSL 8강 公
  22. 對 박세정(P) - 승(3:0) - 2010.05.07 - 대한항공 OSL 4강 公
  23. 對 윤용태(P) - 승(3:0) - 2010.05.13 - 하나대투증권 MSL 4강 公

  - 시리즈 전적 17승 6패, 승률 73.9%
  - 공식전 시리즈 전적 10승 5패, 승률 66.7%




종합 작성: 개념은나의것 http://cafe.naver.com/fafostar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0/05/20 21:49
수정 아이콘
스타 사상최초의 한 리그에서 동일한 결승대진 성사!! 그것도 두시즌 연속으로..
오전7시기상
10/05/20 21:51
수정 아이콘
이스포츠 역사상 이렇게 강력한 선수가 동시대에 둘씩이나 존재하는건 처음인것 같습니다. 이영호도 이영호지만 이제동도 이렇게 정리 해놓으니 굉장하군요. 작위적인 느낌이 날수밖에 없는 결승대진이긴 합니다만 그래도 이영호와 이제동의 결승 매치업은 기대 되는군요.
견우야
10/05/20 21:52
수정 아이콘
사진 매우 귀엽다(?) 아무튼 두 선수 멋진 경기 보여주세요...

두선수 모두 파이팅..

이제동선수 파이팅..
SiveRiuS
10/05/20 21:52
수정 아이콘
이영호 선수의 다전제 패 반은 이제동 선수군요 덜덜.. 이제동 선수의 다전제 정말 두렵군요...
[임]까지마
10/05/20 21:54
수정 아이콘
말그대로 사상 최고의 '양강시대'로군요.
일인 독주보다 오히려 더 흥미롭습니다.
온게임넷은 이영호 선수가, MSL은 이제동 선수가 가져가길 바랍니다~.
10/05/20 21:54
수정 아이콘
아.. 이영호선수 저그전 실망인데요 칠못쓰...
10/05/20 21:54
수정 아이콘
머지 않아 모든 기록은 이제동을 위해 존재한다라는 말이 생길듯...
BoSs_YiRuMa
10/05/20 21:57
수정 아이콘
다전제의 이제동..
갓버프 받은 이영호를 제압할수 있을런지..
3:1로 이제동의 승리 예상하고 믿어봅니다.
다전제의 이제동은 사람이 아니니까요.
댓글달고 짤제목 보니 리페어군요..(..)
10/05/20 21:58
수정 아이콘
생각보다 이영호선수 커리어가 적군요... 뭐 앞으로 역사를 써나갈 선수지많요;;

이제동선수 이번에 우승하면 양대리그 3승을 하는군요...
본좌로드에 이름이 없었던게 어색할 정도가 되는 커리어라고 보이네요

이영호선수는 MSL에서 우승이 아직 없네요... 이번에 양대 동시에 우승하면
최연소 골든마우스에 MSL우승에 양대리그 동시 우승이라는 기록도 갖게 되겠네요...
10/05/20 21:58
수정 아이콘
전체 승률을 보면 이영호 우세인데 5전제의 이제동이란....
전 뱅빠지만 이제동 응원합니다!
그럴때마다
10/05/20 21:58
수정 아이콘
사진이 참 훈.훈하네요

마재윤 선수에게 감사해야 하나요?

덕분에 PGR에서 본좌론이 쏙 자취를 감춰 버렸으니깐 흐흐
운체풍신
10/05/20 21:59
수정 아이콘
아직 테란, 저그전 승수는 이제동 선수가 앞서는데 토스전은 패배수가 같고 승수는 오히려 이영호 선수가11승 정도 많네요.
파일롯토
10/05/20 21:59
수정 아이콘
이제동 - 우승 5회, 준우승 1회.... 커리어에서할말을잃었습니다
10/05/20 22:03
수정 아이콘
머지 않아 모든 기록은 이제동을 위해 존재한다라는 말이 생길듯...(2)
오묘묘묘
10/05/20 22:05
수정 아이콘
이제동 선수 5전제 승률이 정말 아릅답네요..
흡혈귀
10/05/20 22:06
수정 아이콘
가장 눈에 띄는 것이 다전제 승률이군요 .. 이제동 공식전 85%
결승전에서 만난 만큼 가장 눈여겨 봐야할 기록이네요... 왠지 요즘 스타판 분위기도 그렇고 세기의 대결같은 기분이 드네요
둘 중에 누가 이기든 임이최동호로 갔으면 좋겠습니다...
좋은풍경
10/05/20 22:30
수정 아이콘
하나 덧붙이면 5전제 내용 자체도 두 선수 다 끝내줍니다.

1. 이제동: 20승 3패 중(승률 87%... -.,- )
3:0 승- 9회
3:1 승- 8회
3:2 승- 3회
-3:0 또는 3:1 승이 17회입니다.

2. 이영호: 17승 6패 중
3:0 승- 6회
3:1 승- 8회
3:2 승- 3회
-3:0, 3:1 승이 14회 입니다.

이것이 무슨 내용인 줄 아시겠죠. 비교적 두 선수 모두 5전제에서 상대를 찍어누르는 경향이 강하다는 뜻입니다.
3:2 박빙 승부는 둘다 3번 뿐입니다.

또한 이영호는 5전제에서는 이제동을 제외하고서는 아레나 MSL이후 패한적이 1번도 없습니다. 약 2년간 말이죠.
또한, 이영호는 2010년의 5전제가 이영호 선수 전체 5전제의 1/3을 차지합니다. 즉 24전을 했는데 8전이 2010년 기록입니다.
5전제를 많이 한다는 것은 곧 개인리그 높은 곳에 올라간다는 뜻이기에,
이런 것도 이영호가 2010년 들어 급격히 높은 상승세, 즉 포스를 보여준다는 걸 증명해줍니다.

이제동은.... 너무 꾸준해서... 슬럼프가 없다시피...
이렇게 오랫동안(거의 3년간) 정상에서 삐끗하지도 않고 내려올 줄 모르는 선수가 있었나요?
전성기가 과연 언제까지일지 너무 기대가 됩니다.

마지막으로 덧붙이자면, 이번 결승전도 제 생각에는 3:2는 안 나올거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분문 글 잘 읽었습니다. 매번 수고하시네요. ^^
와이엘
10/05/20 22:40
수정 아이콘
최근 100전, 이제동 선수 74%로 데뷔 이후 최고 승률입니다. (이전에도 아발론 16강 당시 74%를 유지한 적이 있긴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영호 선수는 얼마전까지 83%의 가공할 100전 승률을 보여주다가 최근 81%로 조금 주춤(?)합니다.

어느 한 쪽이 주춤한 시기에 붙는 것이 아닌, 두 선수 모두 최고의 순간에 붙게 되니 지난번에 이어 또한번 기대가 됩니다.
10/05/20 22:53
수정 아이콘
이제동선수가 꾸준함을 조금만 더 이어간다면 역대 최고의 선수경력을 갖추겠네요.
이영호선수가 과연 제대로 훼방을 놓을 수 있을지 흥미진진하군요.
장군보살
10/05/20 23:05
수정 아이콘
오늘 인터뷰를 보니 이제동은 결승에서 도전자의 마음으로 임하겠다고 하더라구요.. 이렇게까지 마음먹었으니..자만할 리는 절대 없을 테고, 저도 이제동의 3:2 스코어의 승리를 예상합니다.
배추열포기
10/05/20 23:50
수정 아이콘
정말 대단한 두 선수입니다... 양질의 데이터 감사합니다.
배추열포기
10/05/20 23:57
수정 아이콘
그런데 두 선수 만으로 19세, 18세 아닌가요?
아 프로 등록일자군요;
몽정가
10/05/21 01:16
수정 아이콘
데이터 텍스트만 봐도 전율이 느껴지는 결승전이네요!
루이스 엔리케
10/05/21 01:37
수정 아이콘
전체 승률은 이영호
다전제 승률은 이제동이네요
그건 그렇고 이제동 다전제 승률은 정말 압도적이네요
Lazin Frantz
10/05/21 01:51
수정 아이콘
오~ 이제동선수와의 다전제에서 3:2까지 따라붙은 선수들보니 다 티원선수들이네요...
확실히 광안리에서부터 이제동선수 괴롭히는(?) 능력이 있는팀이군요덜덜덜
온겜에선 이영호선수의 3:1승, msl은 3:1로 이제동선수의 우승을 예상합니다
리쌍이 하나씩 나눠가졌으면 좋겠네요
이번 양대결승으로 이스포츠가 다시 흥했으면 좋겠습니다.
10/05/21 03:17
수정 아이콘
두 선수가 정말 닮은 것중 하나가,
상성종족을 가장 못잡다가 최근에 완전체가 된 것이죠.

이제동 선수는 프막이었다가, 최근 1년간 토스에게는 한두판 지는 상황 (예전에 얼마나 프막이었으면 요즘 안지는데 67%)
이영호 선수도 저막이었다가, 최근 반년간 저그에게는 한두판 지는 상황 (예전에 얼마나 저막이었으면 요즘 안지는데 69%)

둘의 관계라던가,
둘의 위치라던가,
둘의 데이터라던가,
희대의 최고의 라이벌전이네요. (이러다, 슈퍼파이터같은 대회가 열리면 리쌍이 거기서도 붙을 기세)
아에리
10/05/21 10:39
수정 아이콘
사진이 참 훈.훈하네요 (2)
서로에게 계속 도움이 되는 좋은 라이벌로 남기를 바랍니다.
10/05/21 11:46
수정 아이콘
이제동 선수 개인 팬으로써는.. 이제동 선수가 FA 때 티원으로 갔더라면 팀으로써도 이영호 선수와 완벽한 라이벌이 될 수 있었을 텐데 하는 아쉬움이 좀 있습니다. 팀 버프 못 받는 이제동 선수가 안타깝기도 하고 티원 입장에서도 더 이상 좋을 수 없는 라인업을 만들 기회였는데... 뭐 이제동 선수 본인이 화승이 좋다고 남은 거긴 하지만 아직도 아쉽네요.

이미 지나간 일이니 어쩔 수 없고... 이왕 그렇게 된 거 화승에서 끝까지 프랜차이즈 스타로 남길 바랍니다. 팀에 심각한 문제가 생기지 않는 한 이제동 선수의 마인드로는 그럴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덧붙여 이번 우승도 화이팅입니다.
쟤시켜알바
10/05/21 11:48
수정 아이콘
역시 둘다 최고입니다!! 마치 형제같은 느낌도 드는군요.
능수능란하게 상대를 제압하며 엄청난 커리어를 쌓은 다전제의 제왕, 형 제동선수와
하나하나 깨달아가면서 점점 최고의 자리로 나아가고 있는, 동생 영호선수!!
이번엔 이 동생이 형을 완전히 넘어설거야! 라고 외치는것 같습니다~
하이브
10/05/21 11:51
수정 아이콘
정말.. 데이터만 봐도 전율이 느껴지는 선수들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1954 역대 양대리그 종족별 성적 분석 [9] 개념은나의것5414 10/06/04 5414 0
41875 양대리그 역대 우승자/준우승자 현황 [35] 개념은나의것6434 10/05/30 6434 1
41847 역대 양대리그 간 동일 시즌 대회 분석 [9] 개념은나의것5104 10/05/29 5104 0
41779 연달아 터진 사태에 이번 발표를 보며. [18] Yukira5117 10/05/27 5117 0
41705 어제 저는 운이 좋았습니다. [8] 불소5598 10/05/23 5598 0
41566 2010년 5월 20일 현재, 이제동과 이영호의 통산 전적 및 커리어 [33] 개념은나의것9021 10/05/20 9021 4
41469 니가 좋아하는 뿅뿅 그거 사기라며? [5] naughty5690 10/05/18 5690 1
41275 [듣기싫을 소리] 윤용태의 패배, 자업자득이었다. [29] LucidDream7483 10/05/13 7483 10
41216 역대 양대리그 셧아웃(shutout) 일지 [36] 개념은나의것6160 10/05/08 6160 1
41132 역대 양대리그, 우승자/준우승자의 KeSPA 랭킹 분석 [19] 개념은나의것6662 10/05/01 6662 1
41054 데이터로 본 역대 프로게이머선수들의 전성기 총정리 (2010.4.24) [27] 이영수`7211 10/04/24 7211 4
41036 양대리그 통산 2회 이상 우승자의 5전3선승제 이상 다전제 전적 정리 [40] 개념은나의것8278 10/04/22 8278 2
41018 3.3 이후 택뱅리쌍의 개인리그 성적 [65] 케이윌7377 10/04/21 7377 0
40869 양대리그 통산 2회 이상 우승자의 첫 우승 시즌 이후 10개 시즌 성적 [10] 개념은나의것4544 10/04/11 4544 0
40863 PGR21 블리자드 스타2 토너먼트 4강 방송 안내 [4] canoppy4141 10/04/10 4141 0
40827 PGR21 블리자드 스타2 토너먼트 - 금일(목) 20:00 방송 중 canoppy4379 10/04/07 4379 1
40811 PGR21 블리자드 스타2 토너먼트 -전경기 생방송 중 canoppy4162 10/04/07 4162 0
40802 PGR21 블리자드 스타2 토너먼트 - 금일 예선 20:00 전경기 방송 예정 [1] canoppy4401 10/04/07 4401 0
40787 [일정변경] PGR21 블리자드 스타2 토너먼트 화요일 예선 -> 목요일 20:00 canoppy4705 10/04/05 4705 0
40774 [대회공지] PGR21 블리자드 스타2 베타테스터 토너먼트 - 대진표 및 맵 공개 [3] canoppy4660 10/04/05 4660 0
40728 Red sniper 진영수!!!... [25] forgotteness7088 10/04/01 7088 0
40718 iTV를 추억하며, 예전 기억들을 공유해보고자 합니다. [20] 샤르미에티미4957 10/03/31 4957 0
40687 2010 MBC게임 스타리그 Season 1 조지명식 [598] SKY9210190 10/03/25 1019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