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0/05/19 14:53:43
Name The xian
Subject [쓴소리] 리그 재개된 지 얼마나 되었다고 이런 조악한 포장을 하십니까?
* 스타크래프트 리그 이야기가 아닙니다.


관련기사


결론부터 말하자면, 전자신문이면 IT업계 소식을 다루는 신문으로서 상당히 권위있는 곳으로 알고 있는데 이런 식으로 대한민국의 e스포츠 역사를 날조하고 독자들을 혹세무민하려는 기사를 썼다는 것에 업계인이자 e스포츠 팬의 한 사람으로서 분노를 느낄 수밖에 없습니다.

왜 이 기사가 날조인지에 대해 분명하고 간단하게 말하자면 지난 5월 9일 11차 카트리그가 진행되기 전까지 2009년 1월부터 2010년 5월까지 무려 16개월 동안 카트리그가 중단되고 있었다는 점은 은근슬쩍 묻어버리고 카트리그가 긍정적인 효과를 거두고 있다는 과장 섞인 홍보성 멘트로 일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어떤 분들은 그런 부분을 말하지 않은 게 무슨 날조냐고 하시겠지만, 엄연히 있는 것을 언급하지 않는 것도 날조입니다.

기사 중에 보니 이런 말이 있습니다. "지난 2005년 5월 12일 1차 리그가 열렸으니 이번이 만 5년째다. 국산게임 리그 중 가장 오래된 시간이다. 강산이 절반 바뀌는 동안 카트라이더 리그는 괄목상대했다." 한마디로 말해 코웃음도 안 나오는 발언입니다. 10차 리그가 완결된 것이 2008년 11월, 그리고 그랜드파이널이 끝난 게 2009년 1월입니다. 그런데 11차 리그가 지난 5월 9일에 시작했지요. 왜겠습니까. 리그가 중단되었기 때문입니다.

정말 괄목상대했던 리그였다면 날로 발전했을텐데 왜 기사에 든 결승과 사업적 제휴, 매출 증가 등의 이야기에 2009년 이야기가 없을까요? 간단합니다. 쓸 수 없었기 때문이죠. 리그가 열리지 않았으니 없는 리그 이야기를 어떻게 씁니까. 그 시간 동안 문호준 등을 비롯한 대부분의 카트게이머들은 소형 대회나 비정기적인 행사 등을 전전해야 했습니다. 어떤 선수들은 선수생활을 그만뒀습니다.그 동안  카트게이머들의 연습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졌을 리 없을뿐더러 리그의 전통도 체제도 선수나 대회에 대한 스폰서쉽도 거의 대부분 중단되고 무너졌음은 말할 필요도 없습니다. '퀸 오브 카트'등의 파생 프로그램 등도 모두 없어졌고요.

그런데 이제 와서 카트리그가 다시 시작했다고 '괄목상대' 운운해가며 금칠에만 열을 올리다니. 정말이지 어이없는 노릇입니다. 그 동안의 기반을 망가뜨린 1년 4개월이라는 시간이 무엇을 없애버렸는지는 인지하지 못하는 것일까요. 아니면 눈을 가리고 귀를 막겠다는 것일까요. 자신들의 흑역사를 은근슬쩍 덮고 좋은 걸로만 포장한다면 카트리그가 발전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일까요??


물론 저는 e스포츠 팬으로서 종목 다변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그런 점에서 카트리그의 컴백을 환영하며, 나아가 카트리그의 선전을 진심으로 기원하고 있습니다. 지금 시끌시끌한 스타크래프트 승부조작 사건이 파문이 클 뿐만 아니라 전체 e스포츠에 대한 불신으로 너무도 쉽게 이어지는 것은 스타크래프트가 대한민국의 e스포츠 리그 중에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인 이유도 있기 때문이라고 보고 있고, 상식적으로도 어떤 종목이 무언가를 독점하는 것은 유연성이 떨어지고, 다변화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긍정적인 면을 홍보하는 것을 넘어 이런 식으로 은근슬쩍 흑역사를 묻어버리면서 좋은 인상만을 심어주기를 바라는 기사는 카트리그를 올바르게 인식하는 기사도 아닐뿐더러 카트리그의 미래는 물론이고 게임사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봅니다. 무엇보다 과거 카트리그의 위상은 '퀸 오브 카트'를 비롯한 여러 파생프로그램이 있을 때에도 '2인자'라는 평가는 몰라도 '아성 위협'이니 뭐니 하는 소리는 쉽게 하기 어려웠으며(사실 스타크래프트 리그에 대한 아성 위협 운운할 수 있는 종목은 국내에 존재하지 않기도 하죠.) 지금은 1년 4개월 동안의 중단사태 이후 제로 베이스에서 다시 시작하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봐야 합니다.

'스타크래프트의 아성을 위협하는 수준' 이라는 말은 그 정도의 규모와 파생 프로그램을 다시 갖추고 그만한 지지를 얻은 뒤에 자연스럽게 따라오는 평가일 뿐, 중단된 리그 재개한지 2주도 지나지 않아 이런 부자연스러운 포장을 한다고 얻을 수 있는 평가가 아닙니다.

카트리그와 관련된 다른 기사들처럼 1년 반 가량이나 정규대회가 중단된 흑역사를 인정하고 새로운 마음가짐으로 리그를 운영하는 모습을 보도하며 서서히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고 해줘도 모자랄 판에, 리그가 재개된 지 얼마나 되었다고 홍보를 빌미로 흑역사를 은근슬쩍 묻어버리고 이런 자화자찬만 가득한 날조된 논조를 독자들에게 퍼뜨리는 혹세무민의 죄를 저지른다면, 가뜩이나 e스포츠의 안위가 의심되는 요즘 상황에 카트리그의 미래가 과연 밝다고 여길 사람들이 몇이나 될지 의심스럽습니다.


- The xian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하얀사신
10/05/19 15:01
수정 아이콘
너무 예민하게 반응하시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널리고 널린 홍보성 기사라고 생각되네요.
10/05/19 15:03
수정 아이콘
홍보성찌라시같은 기사네요 -_- 아무리 오버라고해도 좀그렇군요..
밀가리
10/05/19 15:06
수정 아이콘
협회도 지금 다 먹고 살자고 하는 짓거리니까요. 지금 e스포츠에서 필요한건 대외적인 홍보니까요.. 어쩔 수 없지요. 다만, 언론찌라시로 저런 홍보만 할 것이 아니라 진심으로 다른 스포츠 육성에 힘을 기울이시길
회전목마
10/05/19 15:09
수정 아이콘
카트가 지금까지 쭉 대회가 열려서 15차쯤 되는 권위있는 리그가 아니라
자그만치 1년이 넘는 기간동안 대회가 없었는데...
참 어처구니가...
아지다하카
10/05/19 15:18
수정 아이콘
팬들을 바보 취급하는 것 같네요.
바다밑
10/05/19 15:19
수정 아이콘
제가봐도 약간 예민하신거 같아요
SummerSnow
10/05/19 15:34
수정 아이콘
리플은 삭제했습니다.
비내리는숲
10/05/19 15:35
수정 아이콘
기사야 물론 홍보성이 짙다고 하겠습니다. 하지만 카트 리그가 기사 내용이 보여주는 위상의 근처에도 가지 못한 것은 대부분의 팬들이 인식하고 있죠. 그리고 리그가 중간에 1년이나 멈춘적이 있다면 사실 그 종목은 E-Sports가 어렵다고 봐야 합니다. 워3가 장조작 사건 이후로 침체 일로를 걸었다고는 하나 리그가 끊이지 않고 지속적으로 이어졌다면 어떻게 되었을지는 모르는 일입니다. 잊혀진 종목을 다시 살린다는 것은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는 것 이상으로 어렵습니다.
원시제
10/05/19 15:37
수정 아이콘
카트 리그에 대해서는 자세히 몰라서 말하기가 좀 조심스럽습니다만,
리그 홍보 기사에서 '인기가 없어서 1년동안 리그 운영을 못했다.' 라고 쓸수는 없는거 아닌가요?;
The xian
10/05/19 15:38
수정 아이콘
글쓴이입니다.

홍보성 기사니까 괜찮다. 너무 예민하다는 데에 동의하기 어렵습니다.
아무리 홍보라 해도, '과장'만이면 몰라도 은폐와 날조는 넘어갈 사안이 아닙니다.
특히 이렇게 5년 역사 운운하며 잘된 것만 적고 잘못된 것을 넘어가는 방식은 홍보에 결과적으로는 도움이 안 됩니다.

그런 의미로 쓴소리를 적은 것임을 밝힙니다.
아지다하카
10/05/19 16:14
수정 아이콘
저도 The xian님이 예민하다는 데에 동의를 못 하겠네요. 이건 정말 팬들을 소위 말하는 '초딩'으로 밖에 생각 안 하는것 같습니다. 자신들이 이렇다라고 발표하면 가만히 그 말을 곧이 곧대로 받아들인다고 생각하는 것인지...웹상 홍보 기사에 달릴 댓글들의 내용이 빤히 보이네요.
말씀하신 그대로 이런 방식은 결과적으로 홍보에 도움이 되지 않고 반발만 커질것 같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Kespa가 쓴맛을 제대로 보고 뿌리부터 뜯어고 고쳐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잘 된 것일지도 모른다는 생각도 드네요.)
†Lucifer†
10/05/19 16:22
수정 아이콘
절 혈압 오르게 하는 기사네요...
1차리그부터 카트리그를 봐왔고 군대가서도 어떤형태로도 봤었던 카트리그입니다.
어느순간 안해서 넥슨에서 안밀어주는구나 접었구나 생각했는데...
그래도 이번에 다시하길레...
정말 이딴 X같은 기사 보면 화가납니다. 그냥 대놓고 사실왜곡하네요...
10/05/19 16:27
수정 아이콘
진짜 모르는 사람들이 보면 카트리그가 아무런 문제 없이 흥행하는 걸로만 생각할 수밖에 없는 기사군요. 이건 다름아닌 기만입니다.
ABOUTSTARCRAFT
10/05/19 18:45
수정 아이콘
카트리그도 꽤나 흥한 e스포츠 종목이었는데
무엇 때문에 대회가 중단 되었는지 알 수가 없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2342 DAUM배 tekken crash season5 16강 A조 [개막전] (2) [186] 하루키8983 10/07/28 8983 0
42340 DAUM배 tekken crash season5 16강 A조 [개막전] [249] 하루키9474 10/07/28 9474 0
42302 차라리 뭐 도핑을 했다거나 좀도둑질을 했다면 그러려니 하겠습니다. [60] 말다했죠10936 10/07/22 10936 30
41983 그것은 실패도 후회도 아니었다. [12] LucidDream7352 10/06/08 7352 8
41916 도대체 어떻게 했으면 좋겠습니까? [35] 굿바이레이캬5031 10/06/01 5031 1
41877 이영호 선수가 역대 최고의 선수라인에 합류해도 될만 한가? [87] Ascaron8143 10/05/30 8143 0
41864 불법과 함깨해도 팬들은 괜찮아!문제없어! 스타리그 스폰 정말 문제없을까?? [13] 게임균형발전5650 10/05/30 5650 1
41853 차기 MSL 스폰서 '빅파일' 나쁠건 없지 아니한가? [73] Hypocrite.12414.8571 10/05/29 8571 1
41775 곰TV: 블리자드와 독점계약 성사에 관해- "국내 E스포츠판의 미래가 달려있다" [99] 좋은풍경9790 10/05/27 9790 0
41751 누구를 위한 e스포츠인가? [90] 민경아♡5513 10/05/25 5513 13
41748 때 지난 뒷담화 감상문 [8] 칼라일215047 10/05/25 5047 5
41735 무엇을 위함인가요. [7] 뉴[SuhmT]4701 10/05/25 4701 5
41519 [쓴소리] 리그 재개된 지 얼마나 되었다고 이런 조악한 포장을 하십니까? [18] The xian6378 10/05/19 6378 0
41507 나는 그래도 이 맛에 스타보련다. [3] 영웅과몽상가4112 10/05/19 4112 0
41421 스막을 위한 나라는 없다. [21] becker7458 10/05/17 7458 16
41420 한없이 차가운 이 바닥의... 현실.. [35] 후후맨7059 10/05/17 7059 0
41387 진지하게, Kespa에게 단호한 "도덕적" 처벌을 요구한다. [11] 좋은풍경4153 10/05/16 4153 1
41348 낭만시대는 가고.. [5] 방물장수5554 10/05/16 5554 2
41166 양산형과 스타일리스트, 그리고 팀 단위 체제와 스타2 [13] LucidDream4374 10/05/05 4374 0
41072 프로리그 중계권과 방송국의 선택은? [20] 마빠이4677 10/04/26 4677 0
41002 열정 그리고 배신감 [4] Zealot4966 10/04/20 4966 0
40595 돌아온 뒷담화 불판입니다. [47] 테페리안7112 10/03/12 7112 1
40045 2010년 1월 23일, 아프다. [9] Gallimard4250 10/01/24 4250 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