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0/05/01 16:10:34
Name 개념은나의것
File #1 Lee_Pair.jpg (11.7 KB), Download : 40
Subject 역대 양대리그, 우승자/준우승자의 KeSPA 랭킹 분석






♣ 역대 양대리그, 우승자/준우승자의 KeSPA 랭킹 분석 ♣


원문: http://cafe.naver.com/fafostar/9669


* 전신(前身) 대회는 포함하며 이벤트성 대회 및 월별 리그는 제외함.
* 해당 대회 본선 경기의 85% 이상을 동일 종족으로 치르지 않은 선수의 종족은 기타(R)로 분류함.
* 당시 랭킹은 결승전 당월 랭킹을 기재함.
* 준우승자의 당시 랭킹에서 우승자의 당시 랭킹을 뺀 값을 ΔR로 정의함.
* 관련 글: 개념은나의것,「역대 KeSPA 랭킹의 흐름」, 2007, http://cafe.naver.com/fafostar/204



Ⅰ. 역대 양대리그 우승자/준우승자 및 당시 KeSPA 랭킹
 ο '대회 순번. 우승자(종족, 랭킹) : 준우승자(종족, 랭킹) - 결승일 - (ΔR) - 대회명' 서식 기재.

 ▲ 온게임넷 스타리그
  pre. 최진우(R, ×¹) : 국기봉(Z, ×) - 1999.12.30 - (×) - '99 PKO
   1. 기욤 패트리(R, ×) : 강도경(Z, ×) - 2000.05.16 - (×) - 하나로통신
   2. 김동수(P, ×) : 봉준구(R, ×) - 2000.11.01 - (×) - 프리챌
   3. 임요환(T, ×) : 장진남(Z, ×) - 2001.05.05 - (×) - 한빛소프트
   4. 임요환(T, ×) : 홍진호(Z, ×) - 2001.09.08 - (×) - 코카콜라
   5. 김동수(P, 16위) : 임요환(T, 01위) - 2001.12.28 - (-15위) - 스카이 2001
   6. 변길섭(T, 17위) : 강도경(Z, 04위) - 2002.06.15 - (-13위) - 네이트
   7. 박정석(P, 17위) : 임요환(T, 01위) - 2002.10.12 - (-16위) - 스카이 2002
   8. 이윤열(T, 03위) : 조용호(Z, 08위) - 2003.02.14 - (+05위) - 파나소닉
   9. 서지훈(T, 10위) : 홍진호(Z, 03위) - 2003.07.13 - (-07위) - 올림푸스
  10. 박용욱(P, 15위) : 강 민(P, 08위) - 2003.11.09 - (-07위) - 마이큐브
  11. 강 민(P, 04위) : 전태규(P, 10위) - 2004.03.21 - (+06위) - NHN 한게임
  12. 박성준(Z, 06위) : 박정석(P, 07위) - 2004.08.01 - (+01위) - 질레트
  13. 최연성(T, 01위) : 임요환(T, 07위) - 2004.11.20 - (+06위) - 에버 2004
  14. 이윤열(T, 04위) : 박성준(Z, 02위) - 2005.03.05 - (-02위) - 아이옵스
  15. 박성준(Z, 01위) : 이병민(T, 06위) - 2005.07.02 - (+05위) - 에버 2005
  16. 오영종(P, 22위) : 임요환(T, 08위) - 2005.11.05 - (-14위) - SO1
  17. 최연성(T, 01위) : 박성준(Z, 02위) - 2006.03.04 - (+01위) - 신한은행 2005
  18. 한동욱(T, 16위) : 조용호(Z, 03위) - 2006.06.23 - (-13위) - 신한은행 2006 시즌1
  19. 이윤열(T, 03위) : 오영종(P, 11위) - 2006.11.18 - (+08위) - 신한은행 2006 시즌2
  20. 마재윤(Z, 01위) : 이윤열(T, 02위) - 2007.02.24 - (+01위) - 신한은행 2006 시즌3
  21. 김준영(Z, 17위) : 변형태(T, 06위) - 2007.07.21 - (-11위) - 다음
  22. 이제동(Z, 07위) : 송병구(P, 02위) - 2007.12.22 - (-05위) - 에버 2007
  23. 이영호(T, 04위) : 송병구(P, 03위) - 2008.03.15 - (-01위) - 박카스 2008
  24. 박성준(Z, 14위) : 도재욱(P, 10위) - 2008.07.12 - (-04위) - 에버 2008
  25. 송병구(P, 02위) : 정명훈(T, 11위) - 2008.11.01 - (+09위) - 인크루트
  26. 이제동(Z, 01위) : 정명훈(T, 07위) - 2009.04.04 - (+06위) - 바투
  27. 이제동(Z, 01위) : 박명수(Z, 08위) - 2009.08.22 - (+07위) - 박카스 2009
  28. 이영호(T, 02위) : 진영화(P, 11위) - 2010.01.17 - (+09위) - 에버 2009


 ▲ MSL
  pre. 임요환(T, 01위) : 홍진호(Z, 04위) - 2002.04.14 - (+03위) - KPGA 투어 2002 1차
  pre. 이윤열(T, 09위) : 홍진호(Z, 03위) - 2002.06.22 - (-06위) - KPGA 투어 2002 2차
  pre. 이윤열(T, 06위) : 박정석(P, 17위) - 2002.10.05 - (+11위) - KPGA 투어 2002 3차
  pre. 이윤열(T, 06위) : 조용호(Z, 09위) - 2003.01.18 - (+03위) - KPGA 투어 2002 4차
   1. 강 민(P, 09위) : 이윤열(T, 01위) - 2003.07.19 - (-08위) - 스타우트
   2. 최연성(T, 24위) : 홍진호(Z, 02위) - 2003.11.30 - (-22위) - TG삼보
   3. 최연성(T, 09위) : 이윤열(T, 01위) - 2004.04.18 - (-08위) - 하나포스 센게임
   4. 최연성(T, 01위) : 박용욱(P, 04위) - 2004.08.29 - (+03위) - 스프리스
   5. 박태민(Z, 06위) : 이윤열(T, 04위) - 2005.02.06 - (-02위) - 당신은 골프왕
   6. 마재윤(Z, 18위) : 박정석(P, 10위) - 2005.08.06 - (-08위) - 우주
   7. 조용호(Z, 09위) : 마재윤(Z, 10위) - 2006.01.14 - (+01위) - 싸이언
   8. 마재윤(Z, 03위) : 강 민(P, 05위) - 2006.07.16 - (+02위) - 프링글스 시즌1
   9. 마재윤(Z, 01위) : 심소명(Z, 13위) - 2006.11.11 - (+12위) - 프링글스 시즌2
  10. 김택용(P, 04위) : 마재윤(Z, 01위) - 2007.03.03 - (-03위) - 곰TV 시즌1
  11. 김택용(P, 02위) : 송병구(P, 04위) - 2007.07.14 - (+02위) - 곰TV 시즌2
  12. 박성균(T, 55위²) : 김택용(P, 01위) - 2007.11.17 - (-54위) - 곰TV 시즌3
  13. 이제동(Z, 01위) : 김구현(P, 10위) - 2008.03.08 - (+09위) - 곰TV 시즌4
  14. 박지수(T, 21위) : 이제동(Z, 02위) - 2008.07.26 - (-19위) - 아레나
  15. 김택용(P, 06위) : 허영무(P, 08위) - 2008.11.22 - (+02위) - 클럽데이 온라인
  16. 박찬수(Z, 08위) : 허영무(P, 05위) - 2009.03.21 - (-03위) - 로스트사가
  17. 김윤환(Z, 11위) : 한상봉(Z, 15위) - 2009.08.30 - (+04위) - 아발론
  18. 이제동(Z, 01위) : 이영호(T, 02위) - 2010.01.23 - (+01위) - 네이트






Ⅱ. 리그별 우승자/준우승자의 KeSPA 랭킹 분석

 ▲ 온게임넷 스타리그
  · 우승자 랭킹의 평균: 약 7.71위
  · 준우승자 랭킹의 평균: 약 5.88위
  · 우승자 랭킹의 표준편차: 약 6.84위
  · 준우승자 랭킹의 표준편차: 약 3.36위
  · 상대적 상위 랭커의 결승전 승률: 12/24, 약 50.0%

  · 랭킹 1위의 결승전 승률: 6/8, 약 75.0%
    1. 임요환(T, 패) - 스카이 스타리그 2001
    2. 임요환(T, 패) - 스카이 스타리그 2002
    3. 최연성(T, 승) - 에버 스타리그 2004
    4. 박성준(Z, 승) - 에버 스타리그 2005
    5. 최연성(T, 승) -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5
    6. 마재윤(Z, 승) -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3
    7. 이제동(Z, 승) - 바투 스타리그
    8. 이제동(Z, 승) - 박카스 스타리그 2009

  · 최하위 랭커 결승 진출자
   - 오영종(P, 22위) - SO1 스타리그
  · 최하위 랭커 우승자
   - 오영종(P, 22위) - SO1 스타리그

  · |ΔR|의 평균: 약 7.17위
  · |ΔR|의 표준편차: 약 4.49위
  · ΔR의 최댓값: +9위
   - 송병구(P, 02위) 우승, 정명훈(T, 11위) 준우승 - 인크루트 스타리그
   - 이영호(T, 02위) 우승, 진영화(P, 11위) 준우승 - 에버 스타리그 2009
  · ΔR의 최솟값: -16위
   - 박정석(P, 17위) 우승, 임요환(T, 01위) 준우승 - 스카이 스타리그 2002


 ▲ MSL
  · 우승자 랭킹의 평균: 약 9.59위
  · 준우승자 랭킹의 평균: 약 5.95위
  · 우승자 랭킹의 표준편차: 약 11.73위
  · 준우승자 랭킹의 표준편차: 약 4.70위
  · 상대적 상위 랭커의 결승전 승률: 12/22, 약 54.5%

  · 랭킹 1위의 결승전 승률: 5/9, 약 55.6%
    1. 임요환(T, 승) - KPGA 투어 2002 1차 리그
    2. 이윤열(T, 패) - 스타우트 MSL
    3. 이윤열(T, 패) - 하나포스 센게임 MSL
    4. 최연성(T, 승) - 스프리스 MSL
    5. 마재윤(Z, 승) - 프링글스 MSL 시즌2
    6. 마재윤(Z, 패) - 곰TV MSL 시즌1
    7. 김택용(P, 패) - 곰TV MSL 시즌3
    8. 이제동(Z, 승) - 곰TV MSL 시즌4
    9. 이제동(Z, 승) - 네이트 MSL

  · 최하위 랭커 결승 진출자
   - 박성균(T, 55위) - 곰TV MSL 시즌3
  · 최하위 랭커 우승자
   - 박성균(T, 55위) - 곰TV MSL 시즌3

  · |ΔR|의 평균: 약 8.45위
  · |ΔR|의 표준편차: 약 11.36위
  · ΔR의 최댓값: +12위
   - 마재윤(Z, 01위) 우승, 심소명(Z, 13위) 준우승 - 프링글스 MSL 시즌2
  · ΔR의 최솟값: -54위
   - 박성균(T, 55위) 우승, 김택용(P, 01위) 준우승 - 곰TV MSL 시즌3






Ⅲ. 역대 양대리그, 우승자/준우승자의 KeSPA 랭킹 분석

 ▲ 양대리그 통합
  · 우승자 랭킹의 평균: 약 8.61위
  · 준우승자 랭킹의 평균: 약 5.91위
  · 우승자 랭킹의 표준편차: 약 9.55위
  · 준우승자 랭킹의 표준편차: 약 4.06위
  · 상대적 상위 랭커의 결승전 승률: 24/46, 약 52.2%

  · 랭킹 1위의 결승전 승률: 11/17, 약 64.7%
    1. 임요환(T, 패) - 스카이 스타리그 2001
    2. 임요환(T, 승) - KPGA 투어 2002 1차 리그
    3. 임요환(T, 패) - 스카이 스타리그 2002
    4. 이윤열(T, 패) - 스타우트 MSL
    5. 이윤열(T, 패) - 하나포스 센게임 MSL
    6. 최연성(T, 승) - 스프리스 MSL
    7. 최연성(T, 승) - 에버 스타리그 2004
    8. 박성준(Z, 승) - 에버 스타리그 2005
    9. 최연성(T, 승) -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5
   10. 마재윤(Z, 승) - 프링글스 MSL 시즌2
   11. 마재윤(Z, 승) -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3
   12. 마재윤(Z, 패) - 곰TV MSL 시즌1
   13. 김택용(P, 패) - 곰TV MSL 시즌3
   14. 이제동(Z, 승) - 곰TV MSL 시즌4
   15. 이제동(Z, 승) - 바투 스타리그
   16. 이제동(Z, 승) - 박카스 스타리그 2009
   17. 이제동(Z, 승) - 네이트 MSL

  · 최하위 랭커 결승 진출자
   - 박성균(T, 55위) - 곰TV MSL 시즌3
  · 최하위 랭커 우승자
   - 박성균(T, 55위) - 곰TV MSL 시즌3

  · |ΔR|의 평균: 약 7.78위
  · |ΔR|의 표준편차: 약 8.53위
  · ΔR의 최댓값: +12위
   - 마재윤(Z, 01위) 우승, 심소명(Z, 13위) 준우승 - 프링글스 MSL 시즌2
  · ΔR의 최솟값: -54위
   - 박성균(T, 55위) 우승, 김택용(P, 01위) 준우승 - 곰TV MSL 시즌3



[註]
¹ KeSPA 랭킹은 2001년 11월부터 발표되었으므로 코카콜라 스타리그 이전 대회는 본 통계에서 제외.
² KeSPA 홈페이지에 공시된 당시 랭킹은 30위까지이나 익월 랭킹(20위) 및 그에 병기된 전월 대비 순위 상승폭(35계단)을 통해 추정.

월별 랭킹 자료의 출처: KeSPA 공식 홈페이지(www.e-sports.or.kr)
종합 작성: 개념은나의것 http://cafe.naver.com/fafostar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완성형폭풍저
10/05/01 16:13
수정 아이콘
msl 삼보.... 최연성 24위 홍진호 2위.... -22위... -_-;;;;
이쯤되면 좀 무섭네요.
10/05/01 16:20
수정 아이콘
55위에게 진 1위도 있었군요...
10/05/01 16:28
수정 아이콘
볼때마다 진짜 감탄이 나오는 데이터자료입니다 항상 수고하십니다
10/05/01 16:29
수정 아이콘
박성균선수 이렇게 잘하던 선수가 지금은 왜 ㅠㅠ..
SigurRos
10/05/01 16:38
수정 아이콘
김택용선수가 3.3하던때에 케스파랭킹이 무려 4위나 되었었군요? 의외네요
레반틴
10/05/01 17:08
수정 아이콘
양대리그 통산 준우승자의 평균 순위가 높은것은 설마........
로보트킹
10/05/01 17:19
수정 아이콘
랭킹대로라면 3.3보다 박성균 선수 우승이 더 기적이군요
Hypocrite.12414.
10/05/01 17:32
수정 아이콘
랭킹 55위 박성균이 랭킹 1위 김택용을 잡고 우승을 하다니 크크
다음세기
10/05/01 18:06
수정 아이콘
==============================================
김택용 마재윤 잡고 3.3 할때 msl 에서 로얄로더???? 아니었나요???
당시 2007년도 초반이었는데... 온게임넷에서도..뚜렷한 활약 없었떤 시기였는데 4위???
좀 의외 인데요???
미네랄
10/05/01 18:40
수정 아이콘
랭킹 1,2위가 붙는 일은 거의 없네요
최연성-박성준 신한은행 2005
마재윤-이윤열 신한은행 2006 s3
이제동-이영호 nate msl
진리는망내
10/05/01 19:17
수정 아이콘
홍진호 선수는 엠겜 준우승할때의 순위가 4,3,2위였네요..
1위를 했었다면 우승했을지도..-_-;;;;
대호야
10/05/01 20:15
수정 아이콘
대단하신 자료네요..
잘 봤습니다
헤나투
10/05/01 21:45
수정 아이콘
특이한 점은 역시 우승자보다 준우승자의 평균랭킹이 낮다는 점이네요;;
황신이 큰 역할을 했을거라 확신합니다;;
배추열포기
10/05/02 00:18
수정 아이콘
좋은자료 잘봤습니다~ 맨위에 리쌍 사진이 훈훈하군요^^
10/05/02 03:16
수정 아이콘
이제동선수 랭킹1위로 결승진출하면 무조건 우승했었군요.. 이번에 결승진출한다면 2위진출이 거의 확실시 되는가운데 또 하나의 징크스가 되겠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1954 역대 양대리그 종족별 성적 분석 [9] 개념은나의것5414 10/06/04 5414 0
41875 양대리그 역대 우승자/준우승자 현황 [35] 개념은나의것6434 10/05/30 6434 1
41847 역대 양대리그 간 동일 시즌 대회 분석 [9] 개념은나의것5104 10/05/29 5104 0
41779 연달아 터진 사태에 이번 발표를 보며. [18] Yukira5117 10/05/27 5117 0
41705 어제 저는 운이 좋았습니다. [8] 불소5598 10/05/23 5598 0
41566 2010년 5월 20일 현재, 이제동과 이영호의 통산 전적 및 커리어 [33] 개념은나의것9021 10/05/20 9021 4
41469 니가 좋아하는 뿅뿅 그거 사기라며? [5] naughty5690 10/05/18 5690 1
41275 [듣기싫을 소리] 윤용태의 패배, 자업자득이었다. [29] LucidDream7483 10/05/13 7483 10
41216 역대 양대리그 셧아웃(shutout) 일지 [36] 개념은나의것6160 10/05/08 6160 1
41132 역대 양대리그, 우승자/준우승자의 KeSPA 랭킹 분석 [19] 개념은나의것6663 10/05/01 6663 1
41054 데이터로 본 역대 프로게이머선수들의 전성기 총정리 (2010.4.24) [27] 이영수`7211 10/04/24 7211 4
41036 양대리그 통산 2회 이상 우승자의 5전3선승제 이상 다전제 전적 정리 [40] 개념은나의것8278 10/04/22 8278 2
41018 3.3 이후 택뱅리쌍의 개인리그 성적 [65] 케이윌7377 10/04/21 7377 0
40869 양대리그 통산 2회 이상 우승자의 첫 우승 시즌 이후 10개 시즌 성적 [10] 개념은나의것4544 10/04/11 4544 0
40863 PGR21 블리자드 스타2 토너먼트 4강 방송 안내 [4] canoppy4141 10/04/10 4141 0
40827 PGR21 블리자드 스타2 토너먼트 - 금일(목) 20:00 방송 중 canoppy4379 10/04/07 4379 1
40811 PGR21 블리자드 스타2 토너먼트 -전경기 생방송 중 canoppy4162 10/04/07 4162 0
40802 PGR21 블리자드 스타2 토너먼트 - 금일 예선 20:00 전경기 방송 예정 [1] canoppy4401 10/04/07 4401 0
40787 [일정변경] PGR21 블리자드 스타2 토너먼트 화요일 예선 -> 목요일 20:00 canoppy4705 10/04/05 4705 0
40774 [대회공지] PGR21 블리자드 스타2 베타테스터 토너먼트 - 대진표 및 맵 공개 [3] canoppy4660 10/04/05 4660 0
40728 Red sniper 진영수!!!... [25] forgotteness7088 10/04/01 7088 0
40718 iTV를 추억하며, 예전 기억들을 공유해보고자 합니다. [20] 샤르미에티미4957 10/03/31 4957 0
40687 2010 MBC게임 스타리그 Season 1 조지명식 [598] SKY9210190 10/03/25 1019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