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0/04/21 20:10:33
Name 케이윌
Subject 3.3 이후 택뱅리쌍의 개인리그 성적
      스타리그                                                     MSL

신한시즌3   택뱅리쌍 없음                                   곰tv1     김택용 우승
                                                                                  이제동 16강
                                                                                  이영호 없음
                                                                                 송병구 없음
    
다음          송병구 3위                                        곰tv2      김택용 우승
                이영호 4위                                                    송병구 준우승
                김택용 8강                                                      이제동 없음
                이제동 없음                                                    이영호 없음


에버07      이제동 우승                                       곰tv3       김택용 준우승
              송병구 준우승                                                   송병구 16강
               김택용 3위                                                       이영호 32강
               이영호 8강                                                       이제동 없음


박카스08    이영호 우승                                     곰tv4          이제동 우승
              송병구 준우승                                                    이영호 8강
               김택용 4강                                                        김택용 32강
               이제동 8강                                                        송병구 없음


에버08       이영호 8강                                       아레나        이제동 준우승
                김택용 16강                                                       이영호 4강
                송병구 16강                                                       김택용 32강
                이제동 없음                                                       송병구 없음


인크루트   송병구 우승                                    클럽데이       김택용 우승
               김택용 8강                                                        송병구 8강
               이영호 8강                                                         이제동 16강
               이제동 없음                                                       이영호 32강


바투         이제동 우승                                   로스트사가     송병구 4강
              김택용 4강                                                          이영호 16강
              송병구 8강                                                          이제동 32강
              이영호 16강                                                        김택용 32강


박카스09     이제동 우승                                 아발론           이제동 4강
                 이영호 16강                                                     김택용 8강
                 김택용 16강                                                     이영호 16강
                 송병구 16강                                                     송병구 32강


에버09       이영호 우승                                 네이트            이제동 우승
               이제동 8강                                                        이영호 준우승
               송병구 8강                                                        김택용 32강
               김택용 36강                                                      송병구 32강


도합

이제동 우승 5회 준우승 1회
김택용 우승 3회 준우승 1회
이영호 우승 2회 준우승 1회
송병구 우승 1회 준우승 3회



곰tv1 이 본격적으로 택뱅리쌍이 활약하기 시작한 시즌이니만큼 여기서 잘랐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개념은?
10/04/21 20:12
수정 아이콘
ever07 부터.. 인쿠르트와 클럽데이 시즌... 딱 한 시즌을 제외하고 이제동 선수는 항상 결승전에 올라갔었네요.........
하물며 바로 지난 MSL 시즌 우승자인 이제동선수보고 이제 이제동은 끝물이라고 짓껄이는 (격한 것 같아도 어쩌면 이 표현이 더 맞을듯 싶어서요) 분들은 도대체 무슨 생각인지.....

아무리 이영호가 요즘 대단하긴 해도... 이렇게 보니 정말 이제동이라는 선수,,, 무섭네요 무서워....
단순 5회 우승할때는 체감상 와닿지 않았는데... 결승을 쉬지 않았군요..
BoSs_YiRuMa
10/04/21 20:13
수정 아이콘
역시 기록의 이제동이네요.
리콜한방
10/04/21 20:13
수정 아이콘
소위 곰TV 세대.
매콤한맛
10/04/21 20:14
수정 아이콘
우와 역시 이제동이네요 이제동 본좌
유료체험쿠폰
10/04/21 20:16
수정 아이콘
저 송병구의 준우승 3회가 만약 모두 우승으로 바뀌었다면 본좌소리 한번 들어볼 수 있었을까요?
지금은 탈퇴했지만 참 안타까운 콩라인 멤버..
WizardMo진종
10/04/21 20:23
수정 아이콘
이제동 선수가 양대 8강이상을 동시에 간건

아발론/박카스09
에버09/네이트 .
박카스/곰티비4 이렇게 세개네요
다른선수들을 봐도, 포스가 뿜어진다. 라는 늬앙스는
양대리그 동시 상위입성+프로리그의 꾸준함이 바탕이 되지 않나 싶네요.
작년에 양대리그를 정복 분위기에 광안리 까지 갔던 그때 분위기를 생각해보자면 말입니다.
당시도 참 대단했는데 저는 앞으로 이영호가 어디까지 쫓아갈지 기대합니다. 흐흐

송병구 선수는
다음/곰티비2
인크루트/클럽데이
바투/로스트사가 이렇게 3번

김택용 선수는
다음/곰티비2
에버/곰티비3
인크루트/클럽데이
이렇게 세번이지만 기간이 집중되어 있어서 소위 포스를 뿜었구요.

이영호는
박카스/곰티비4
에버/아레나
에버/네이트
역시 이렇게 세번이네요
박카스,아레나 시즌이 곰클래식을 포함해서 소위 포스를 뿜어줬던 시기라고 볼경우.
이영호 양대8강을 세번연속 찍어준다면 꽤나 대단한 기록이 될꺼 같네요.

그전에 있었는지는;;; 모르겠네요.
방화동김군
10/04/21 20:29
수정 아이콘
송병구 선수 준우승 3회는 정말 아쉬운 기록이네요.
WizardMo진종
10/04/21 20:29
수정 아이콘
아 그리고 이영호 이제동 선수가 첫 예선을 밟은게 언제죠? 이영호선수는 다음이였던거 같은데 이제동선수는 곰티비 1인가요? 신한3인지 곰티비1인지 기억이 안나네요.
10/04/21 20:39
수정 아이콘
이..이제동...
Elvenblood
10/04/21 20:42
수정 아이콘
송병구 선수는 더 대단한게 그 결승전에서의 숱한 패배에도 불구하고 택리쌍과 상대전적이 비슷하거나 앞선다는거죠
아마 이제동선수와는 1승 앞서고 김택용선수와는 2승앞서고 이영호 선수와는 많이 앞설듯 한데 지금
결승전마저 다 이겻으면 택리쌍 천적 소리 들엇을것 같습니다.
앵콜요청금지
10/04/21 20:58
수정 아이콘
이영호가 무엇을 더 이룰지...이제동이 이윤열을 넘어설수 있을지...스타판에서 떠날수없는 마지막 이유.
임이최마율~
10/04/21 21:05
수정 아이콘
다들 우승, 준우승횟수위주로만 보시지만..

4,8강 진출 성적을 보니
택용 : 4강2회, 8강3회,
병구 : 4강2회, 8강2회
제동 : 4강1회, 8강3회
영호 : 4강2회, 8강4회
네선수 모두 정말 꾸준하네요


그리고 송병구 선수의 준우승 3회가 모두 우승이 되었다면...
이제동 : 우승4회, 준우승2회
송병구 : 우승4회
김택용 : 우승2회, 준우승2회
이영호 : 우승1회, 준우승2회
가 되버리는군요......

ps : 송병구 선수의 인크루트 우승은 정말 너무 감동적이었어요. 결승 5경기는 아직도 심심하면 보곤 합니다.
ps 2: 송병구 선수는 택뱅리쌍중에 본좌론에 껴보지 못한 유일한 멤버지만, 딱한번 얘기나온적이 있습니다.
인크루트 결승 끝나고 가을이횽이 인터뷰에서 '이제는 임이최마송의 시대가 열릴것이다' 라고 멘트를 했죠 크크크..
트레제디
10/04/21 21:24
수정 아이콘
이게 택뱅리쌍의 최종보스 이제동입니다.


더이상의 언급은 하지 않겠습니다.
영웅의물량
10/04/21 21:28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크크크크크 포스있네요
더 이상의 언급은 안하겠습니다 라니..

현재의 진행상황까지 봐선...

송병구 선수가 좀 소외되는 느낌이긴 하네요.
WizardMo진종
10/04/21 21:37
수정 아이콘
역시 포스의 트레제디 님이시군요. 이제 커리어의 롯데09님이 오셔야...
10/04/21 21:40
수정 아이콘
트레제디님이 이영호를 응원하시고 롯데09우승님이 이제동을 응원하셨으면

딱딱 맞아떨어지는데.. 포스와 커리어의 대결
총사령관
10/04/21 21:47
수정 아이콘
저는 아무것도 상관없습니다. 송병구선수 화이팅!
SigurRos
10/04/21 21:56
수정 아이콘
임이최마송 !!

뱅빠로서 송병구선수의 하락세는 수긍이 가는데, 김택용선수의 하락세는 조금 의아합니다.
그렇게 잘하던 선수가 올시즌들어 갑자기 죽을 쓰니..

둘다 더 살아났으면 좋겠습니다. 택뱅이 이대로 저물어가는게 아니라는걸 증명해줘요
청바지
10/04/21 22:34
수정 아이콘
헐.. 이영호 선수는 현재 진행중인 시즌까지 해서
8시즌 연속 본선 양대 본선 진출중이군요.
10/04/21 23:09
수정 아이콘
댓글 보고 유희왕이 문뜩 떠오르네요
천부경
10/04/21 23:28
수정 아이콘
이제동이 최근 7시즌 동안 6번 결승진출 우승5회 준우승1회이네요.
3연속 결승진출도 두번이나 있고,

이렇게 보고나니,
오히려 양대리그 우승을 왔다갔다 하는것 보다, 하나의 리그 쭉 먹고 다른 하나의 리그 쭉 먹는게 이미지 상으로 더 좋을수도 있다고 생각되네요. 그면에서 이제동 선수가 손해를 본것일까요?

전체적으로 본좌급 선수 이외에는 달성하지 못했던 양대리그 우승과, 스타리그 10년 역사상 두번째인 연속우승이 눈에 확들어 오네요.

정말 스타리그 역사상에 전무후무한 게이머임은 틀림없는것 같습니다.
천부경
10/04/21 23:45
수정 아이콘
그리고 이 글을 보니 이제동 선수가 폼이 무너졌다 한물갔다는 것도 다시 생각해 봐야겠군요.
이제동 선수도 현재진행형 입니다.

이 패튼 대로라면 이번 시즌 쉬고
다음시즌부터 또 3연속 결승진출에 우승도 할수있는 이제동이니까요.
완성형폭풍저
10/04/21 23:57
수정 아이콘
이러니 저러니해도... 이번에 엠에쎌을 이제동 선수가 먹으면, 4시즌 연속 우승이네요.
10/04/22 02:35
수정 아이콘
우승 8점, 준우승 6점, 4강 4점, 8강 2점, 16강 1점으로 놓는다면,
(우승을 비교적 적은 점수를 줬는데, 더 주면 그냥 커리어 순위와 다를바 없어서 이정도로 한번 계산해봤어요)
이제동 선수 56점, 김택용 선수 50점, 송병구 선수 43점, 이영호 선수 42점이네요.
김택용 선수가 먼저 정점을 찍었으니 가장 먼저 지는 것도 맞다고 보지만, 팬입장으로 ver3로 다시 우승했으면 좋겠어요.

사실 전 임이최마 시절보다, 택뱅리쌍 시절의 스타판을 더 즐겼기에 이 선수들 스타1이 끝나기전까지
꾸준해줬으면 좋겠네요. 이제동, 김택용 선수 팬이기에 조금 더 응원하는 것은 맞지만, 이영호 송병구 선수가 없었으면
오늘의 이제동, 김택용도 없다고 생각하기에 같이 잘했으면 좋겠어요.
사실 최근에 계속 송병구 선수만 걱정했었는데, 김택용 선수가 가장 처지는 상황까지 왔네요... 뭐 잘해주겠죠.
T1에이스에 프로토스를 몇년간 송병구선수와 이끌었던 선수니까요.
10/04/22 04:55
수정 아이콘
에버08-아레나 한시즌을 제외하곤, 나머지 시즌모두 양대리그중 하나이상은 택뱅리쌍이 우승했군요.
송병구는 승률,다승 1위를 질주하며 최고기량을 보이던 07시즌에 3연준만 한게 참 아쉽습니다.그것도 라이벌인 택리쌍에게 우승컵 하나씩 안겨주며..
10/04/22 08:00
수정 아이콘
명불허전....이제동 선수네요 진짜....
10/04/22 08:15
수정 아이콘
왜 택뱅리쌍인지도 알게되는....4명이서 18대회 중에 11회 우승 60%
10/04/22 11:04
수정 아이콘
이제동 선수에게는 이번 msl이 정말 중요할 거 같네요. 저번 우승이 온풍기로 심히 훼손되었기 때문에 (저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만) 이번 시즌의 성적이 판단의 잣대가 될 것 같습니다. 이미 라이벌이던 이영호 선수는 보이지 않을 만큼 앞서가 버렸고, 한쪽 리그는 떨어진 상태라서 이번 msl을 우승하지 않는 한 '한물 갔다'라는 평가를 듣는 건 어쩔 수 없어 보이네요.

테란전만 좀 회복하면 아직 훌륭한 폼이라고 생각은 하는데... 최근 흐름에선 그게 가장 커다란 약점이니.. ㅠㅠ 신들린 두부대 뮤짤, 미칠 듯한 난전 등을 볼 수 있는 그의 테란전은 이제 봉인된 걸까요? 너무 보고 싶습니다. ㅠㅠ
다레니안
10/04/22 11:07
수정 아이콘
이제동,김택용선수 모두 07년에 우승한 선수인데 3년동안 종족별 정상의 자리를 유지하기란 쉽지 않죠

그 마재윤조차 2년밖에 유지를 못했는걸요
10/04/22 13:28
수정 아이콘
확실히 기록상으로는 이제동선수가 꽤나 앞서나가는군요

택뱅리쌍이 벌써3년인가요?

택뱅리쌍 끝났다끝났다 해도 다시 잘해주고 해서 여기까지 온거 같은데
이제 택뱅리쌍은 진짜 끝날거 같네요...

누가살아남고 누가 새로올라올지..
스누피
10/04/22 20:12
수정 아이콘
5회우승 킄 말이 5회 우승이지
참 대단하죠
어느 분야건간에 꾸준히 정상에 있는다는것이 얼마나 힘든것인데 말입니다...
무한낙천
10/04/22 21:04
수정 아이콘
마재윤 선수 이후, 3세대가 시작되기 전까지는 항상 최강자 한명이 번갈아 독주를 하던 시대였고
유일하게 최강자 세명이 공존하던 시대가 삼신전 시대였는데.. (게다가 짧았죠..)
3년에 걸쳐 4명이 이렇게 꼬이고 꼬이게 공존했다는게 참 신기하네요..
지난 3년.. 말이 필요없이 택뱅리쌍 시대였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1954 역대 양대리그 종족별 성적 분석 [9] 개념은나의것5414 10/06/04 5414 0
41875 양대리그 역대 우승자/준우승자 현황 [35] 개념은나의것6434 10/05/30 6434 1
41847 역대 양대리그 간 동일 시즌 대회 분석 [9] 개념은나의것5104 10/05/29 5104 0
41779 연달아 터진 사태에 이번 발표를 보며. [18] Yukira5117 10/05/27 5117 0
41705 어제 저는 운이 좋았습니다. [8] 불소5598 10/05/23 5598 0
41566 2010년 5월 20일 현재, 이제동과 이영호의 통산 전적 및 커리어 [33] 개념은나의것9021 10/05/20 9021 4
41469 니가 좋아하는 뿅뿅 그거 사기라며? [5] naughty5690 10/05/18 5690 1
41275 [듣기싫을 소리] 윤용태의 패배, 자업자득이었다. [29] LucidDream7484 10/05/13 7484 10
41216 역대 양대리그 셧아웃(shutout) 일지 [36] 개념은나의것6160 10/05/08 6160 1
41132 역대 양대리그, 우승자/준우승자의 KeSPA 랭킹 분석 [19] 개념은나의것6663 10/05/01 6663 1
41054 데이터로 본 역대 프로게이머선수들의 전성기 총정리 (2010.4.24) [27] 이영수`7211 10/04/24 7211 4
41036 양대리그 통산 2회 이상 우승자의 5전3선승제 이상 다전제 전적 정리 [40] 개념은나의것8278 10/04/22 8278 2
41018 3.3 이후 택뱅리쌍의 개인리그 성적 [65] 케이윌7378 10/04/21 7378 0
40869 양대리그 통산 2회 이상 우승자의 첫 우승 시즌 이후 10개 시즌 성적 [10] 개념은나의것4544 10/04/11 4544 0
40863 PGR21 블리자드 스타2 토너먼트 4강 방송 안내 [4] canoppy4141 10/04/10 4141 0
40827 PGR21 블리자드 스타2 토너먼트 - 금일(목) 20:00 방송 중 canoppy4379 10/04/07 4379 1
40811 PGR21 블리자드 스타2 토너먼트 -전경기 생방송 중 canoppy4162 10/04/07 4162 0
40802 PGR21 블리자드 스타2 토너먼트 - 금일 예선 20:00 전경기 방송 예정 [1] canoppy4401 10/04/07 4401 0
40787 [일정변경] PGR21 블리자드 스타2 토너먼트 화요일 예선 -> 목요일 20:00 canoppy4706 10/04/05 4706 0
40774 [대회공지] PGR21 블리자드 스타2 베타테스터 토너먼트 - 대진표 및 맵 공개 [3] canoppy4660 10/04/05 4660 0
40728 Red sniper 진영수!!!... [25] forgotteness7088 10/04/01 7088 0
40718 iTV를 추억하며, 예전 기억들을 공유해보고자 합니다. [20] 샤르미에티미4957 10/03/31 4957 0
40687 2010 MBC게임 스타리그 Season 1 조지명식 [598] SKY9210190 10/03/25 1019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