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0/01/02 17:37:05
Name 개념은나의것
File #1 역대_양대리그,_우승자의_차기_대회_성적.jpg (199.7 KB), Download : 128
Subject 역대 양대리그, 우승자의 차기 대회 성적 분석






♣ 역대 양대리그, 우승자의 차기 대회 성적 분석 ♣


원문: http://cafe.naver.com/fafostar/7205


* 전신(前身) 대회는 포함하며 이벤트성 대회 및 월별 리그는 제외함.
* 해당 대회 및 직전 대회 본선 경기의 85% 이상을 동일 종족으로 치르지 않은 선수의 종족은 기타(R)로 분류함.
* 3·4위전이 없었던 온게임넷 스타리그의 경우, 해당 양 선수를 공동 3위로 인정하는 현행 온게임넷 스타리그 순위 결정 방식에 따름.
* 3·4위전이 없었던 MSL의 경우, 해당 양 선수의 승률을 기준으로 3, 4위를 구분하는 현행 MSL 순위 결정 방식에 따름.
 (http://www.mbcgame.co.kr/program/hall_of_fame.asp?Top_CD=G_PG&Sub_Title=PP)
* 5위 이하의 순위 구분은 상위 단계 진출 여부에 의거하며, 동일 단계에서 발생한 복수(複數) 탈락자는 승률, 재경기, 와일드카드 결정전, 시드 결정전 등에 관계없이 동일 성적으로 간주함. 단, 조별 리그가 듀얼 토너먼트 방식으로 치러진 경우 최종전 탈락자의 성적을 패자전 탈락자의 성적보다 우위에 둠.
*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의 진행에서 탈락한 선수의 성적 표기는 다음에 준함.
 - 패자 8강 1라운드 탈락=16강, 패자 8강 2라운드 탈락=12강, 패자 4강 1라운드 탈락=8강, 패자 4강 2라운드 탈락=6강, 패자 준결승 탈락=4위, 패자 결승 탈락=3위.
* 관련 글: 개념은나의것,「양대리그 통산 커리어 랭킹」, 2007, http://cafe.naver.com/fafostar/194



Ⅰ. 용어와 기호의 정의

 · U: 직전 대회 우승자가 차기 대회의 본선 경기에 참여하기 시작한 단계의 총 참가 선수 집단
 · N: U의 크기
 · nl: U에 속한 선수 중 해당 선수보다 성적이 낮은 선수 집단의 크기
 · ne: 해당 선수가 속한 동일 성적 집단의 크기
 · 백분위: (nl+0.5*ne)/N*100






Ⅱ. 역대 양대리그, 우승자의 차기 대회 성적
 ο 백분위는 소수점 이하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표기함.
 ο '전 대회 우승자: 성명(종족) - 성적 - N - nl - ne - 백분위' 서식 기재.

 ▲ 온게임넷 스타리그

  pre. '99 PKO
    · 전 대회 우승자: ×

   1. 하나로통신
    · 전 대회 우승자: 최진우(R) - 8강 - 16 - 08 - 04 - 62.5

   2. 프리챌
    · 전 대회 우승자: 기욤 패트리(R) - 8강 - 24 - 16 - 04 - 75.0

   3. 한빛소프트¹
    · 전 대회 우승자: 김동수(P) - 예선 - ×

   4. 코카콜라
    · 전 대회 우승자: 임요환(T) - 우승 - 16 - 15 - 01 - 96.9

   5. 스카이 2001
    · 전 대회 우승자: 임요환(T) - 준우승 - 16 - 14 - 01 - 90.6

   6. 네이트
    · 전 대회 우승자: 김동수(P) - 16강 - 16 - 00 - 08 - 25.0

   7. 스카이 2002
    · 전 대회 우승자: 변길섭(T) - 8강 - 16 - 08 - 04 - 62.5

   8. 파나소닉
    · 전 대회 우승자: 박정석(P) - 16강 - 16 - 00 - 08 - 25.0

   9. 올림푸스
    · 전 대회 우승자: 이윤열(T) - 16강 - 16 - 00 - 08 - 25.0

  10. 마이큐브
    · 전 대회 우승자: 서지훈(T) - 8강 - 16 - 08 - 04 - 62.5

  11. NHN 한게임
    · 전 대회 우승자: 박용욱(P) - 16강 - 16 - 00 - 08 - 25.0

  12. 질레트
    · 전 대회 우승자: 강 민(P) - 16강 - 16 - 00 - 08 - 25.0

  13. 에버 2004
    · 전 대회 우승자: 박성준(Z) - 8강 - 16 - 08 - 04 - 62.5

  14. 아이옵스
    · 전 대회 우승자: 최연성(T) - 16강 - 16 - 00 - 08 - 25.0

  15. 에버 2005
    · 전 대회 우승자: 이윤열(T) - 16강 - 16 - 00 - 08 - 25.0

  16. SO1
    · 전 대회 우승자: 박성준(Z) - 8강 - 16 - 08 - 04 - 62.5

  17. 신한은행 2005
    · 전 대회 우승자: 오영종(P) - 16강 - 16 - 00 - 08 - 25.0

  18. 신한은행 2006 시즌1
    · 전 대회 우승자: 최연성(T) - 24강 - 24 - 00 - 08 - 16.7

  19. 신한은행 2006 시즌2
    · 전 대회 우승자: 한동욱(T) - 24강 - 24 - 00 - 08 - 16.7

  20. 신한은행 2006 시즌3
    · 전 대회 우승자: 이윤열(T) - 준우승 - 24 - 22 - 01 - 93.8

  21. 다음
    · 전 대회 우승자: 마재윤(Z) - 8강 - 16 - 08 - 04 - 62.5

  22. 에버 2007
    · 전 대회 우승자: 김준영(Z) - 16강 - 16 - 00 - 08 - 25.0

  23. 박카스 2008
    · 전 대회 우승자: 이제동(Z) - 8강 - 16 - 08 - 04 - 62.5

  24. 에버 2008
    · 전 대회 우승자: 이영호(T) - 8강 - 16 - 08 - 04 - 62.5

  25. 인크루트
    · 전 대회 우승자: 박성준(Z) - 16강 - 16 - 00 - 08 - 25.0

  26. 바투
    · 전 대회 우승자: 송병구(P) - 8강 - 16 - 08 - 04 - 62.5

  27. 박카스 2009
    · 전 대회 우승자: 이제동(Z) - 우승 - 16 - 15 - 01 - 96.9

  28. 에버 2009
    · 전 대회 우승자: 이제동(Z) - 8강 - 16 - 08 - 04 - 62.5



 ▲ MSL

  pre. KPGA 투어 2002 1차
    · 전 대회 우승자: ×

  pre. KPGA 투어 2002 2차
    · 전 대회 우승자: 임요환(T) - 8강 - 16 - 08 - 04 - 62.5

  pre. KPGA 투어 2002 3차
    · 전 대회 우승자: 이윤열(T) - 우승 - 16 - 15 - 01 - 96.9

  pre. KPGA 투어 2002 4차
    · 전 대회 우승자: 이윤열(T) - 우승 - 16 - 15 - 01 - 96.9

   1. 스타우트
    · 전 대회 우승자: 이윤열(T) - 준우승 - 16 - 14 - 01 - 90.6

   2. TG삼보
    · 전 대회 우승자: 강 민(P) - 12강 - 16 - 04 - 04 - 37.5

   3. 하나포스 센게임
    · 전 대회 우승자: 최연성(T) - 우승 - 16 - 15 - 01 - 96.9

   4. 스프리스
    · 전 대회 우승자: 최연성(T) - 우승 - 16 - 15 - 01 - 96.9

   5. 당신은 골프왕
    · 전 대회 우승자: 최연성(T) - 6강 - 16 - 10 - 02 - 68.8

   6. 우주
    · 전 대회 우승자: 박태민(Z) - 16강 - 16 - 00 - 04 - 12.5

   7. 싸이언
    · 전 대회 우승자: 마재윤(Z) - 준우승 - 16 - 14 - 01 - 90.6

   8. 프링글스 시즌1
    · 전 대회 우승자: 조용호(Z) - 8강 패자전 - 16 - 08 - 02 - 56.3

   9. 프링글스 시즌2
    · 전 대회 우승자: 마재윤(Z) - 우승 - 16 - 15 - 01 - 96.9

  10. 곰TV 시즌1
    · 전 대회 우승자: 마재윤(Z) - 준우승 - 16 - 14 - 01 - 90.6

  11. 곰TV 시즌2
    · 전 대회 우승자: 김택용(P) - 우승 - 32 - 31 - 01 - 98.4

  12. 곰TV 시즌3
    · 전 대회 우승자: 김택용(P) - 준우승 - 32 - 30 - 01 - 95.3

  13. 곰TV 시즌4
    · 전 대회 우승자: 박성균(T) - 4위 - 32 - 28 - 01 - 89.1

  14. 아레나
    · 전 대회 우승자: 이제동(Z) - 준우승 - 32 - 30 - 01 - 95.3

  15. 클럽데이 온라인
    · 전 대회 우승자: 박지수(T) - 16강 - 32 - 16 - 08 - 62.5

  16. 로스트사가
    · 전 대회 우승자: 김택용(P) - 32강 최종전 - 32 - 08 - 08 - 37.5

  17. 아발론
    · 전 대회 우승자: 박찬수(Z) - 32강 최종전 - 32 - 08 - 08 - 37.5

  18. 네이트
    · 전 대회 우승자: 김윤환(Z) - 32강 패자전 - 32 - 00 - 08 - 12.5






Ⅲ. 역대 양대리그, 우승자의 차기 대회 성적 분석

 ▲ 온게임넷 스타리그

  · 백분위의 평균: 약 50.4

  · 백분위의 표준편차: 약 26.3

  · 4위 이상: 27회 중 4회, 약 14.8%
    1. 코카콜라 - 임요환(T, 우승)
    2. 스카이 2001 - 임요환(T, 준우승)
    3. 신한은행 2006 시즌3 - 이윤열(T, 준우승)
    4. 박카스 2009 - 이제동(Z, 우승)
   - 최다 종족순: 테란(3회), 저그(1회), 프로토스(0회)

  · 준우승 이상: 27회 중 4회, 약 14.8%
    1. 코카콜라 - 임요환(T, 우승)
    2. 스카이 2001 - 임요환(T, 준우승)
    3. 신한은행 2006 시즌3 - 이윤열(T, 준우승)
    4. 박카스 2009 - 이제동(Z, 우승)
   - 최다 종족순: 테란(3회), 저그(1회), 프로토스(0회)

  · 우승: 27회 중 2회, 약 7.4%
    1. 코카콜라 - 임요환(T, 우승)
    2. 박카스 2009 - 이제동(Z, 우승)
   - 최다 종족순: 테란(1회), 저그(1회), 프로토스(0회)



 ▲ MSL

  · 백분위의 평균: 약 72.5

  · 백분위의 표준편차: 약 28.7

  · 4위 이상: 21회 중 12회, 약 57.1%
    1. KPGA 투어 2002 3차 - 이윤열(T, 우승)
    2. KPGA 투어 2002 4차 - 이윤열(T, 우승)
    3. 스타우트 - 이윤열(T, 준우승)
    4. 하나포스 센게임 - 최연성(T, 우승)
    5. 스프리스 - 최연성(T, 우승)
    6. 싸이언 - 마재윤(Z, 준우승)
    7. 프링글스 시즌2 - 마재윤(Z, 우승)
    8. 곰TV 시즌1 - 마재윤(Z, 준우승)
    9. 곰TV 시즌2 - 김택용(P, 우승)
   10. 곰TV 시즌3 - 김택용(P, 준우승)
   11. 곰TV 시즌4 - 박성균(T, 4위)
   12. 아레나 - 이제동(Z, 준우승)
   - 최다 종족순: 테란(6회), 저그(4회), 프로토스(2회)

  · 준우승 이상: 21회 중 11회, 약 52.4%
    1. KPGA 투어 2002 3차 - 이윤열(T, 우승)
    2. KPGA 투어 2002 4차 - 이윤열(T, 우승)
    3. 스타우트 - 이윤열(T, 준우승)
    4. 하나포스 센게임 - 최연성(T, 우승)
    5. 스프리스 - 최연성(T, 우승)
    6. 싸이언 - 마재윤(Z, 준우승)
    7. 프링글스 시즌2 - 마재윤(Z, 우승)
    8. 곰TV 시즌1 - 마재윤(Z, 준우승)
    9. 곰TV 시즌2 - 김택용(P, 우승)
   10. 곰TV 시즌3 - 김택용(P, 준우승)
   11. 아레나 - 이제동(Z, 준우승)
   - 최다 종족순: 테란(5회), 저그(4회), 프로토스(2회)

  · 우승: 21회 중 6회, 약 28.6%
    1. KPGA 투어 2002 3차 - 이윤열(T, 우승)
    2. KPGA 투어 2002 4차 - 이윤열(T, 우승)
    3. 하나포스 센게임 - 최연성(T, 우승)
    4. 스프리스 - 최연성(T, 우승)
    5. 프링글스 시즌2 - 마재윤(Z, 우승)
    6. 곰TV 시즌2 - 김택용(P, 우승)
   - 최다 종족순: 테란(4회), 저그(1회), 프로토스(1회)



[註]
¹ 프리챌 스타리그 후에 개최된 왕중왕전 2000의 우승·준우승자인 기욤 패트리와 국기봉에게 시드가 주어졌으며, 프리챌 스타리그 우승자인 김동수에게는 시드가 주어지지 않음. 김동수는 예선에서 탈락하였으므로 본 통계에서 제외.

종합 작성: 개념은나의것 http://cafe.naver.com/fafostar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체념토스
10/01/02 17:50
수정 아이콘
항상 이런글을 볼때마다 드는 생각은...
꾸준하시고 참으로 대단하십니다.
영웅의물량
10/01/02 17:55
수정 아이콘
MSL은.. 우승자 중의 반은 다음시즌 결승진출이네요.
최근에는 거의 전무한거 보면.. 참 과거에는 최강자 배출지였는데 말이죠 ㅜㅡ
Why so serious?
10/01/02 17:57
수정 아이콘
온겜에서 전 대회 우승자가 4강 전승
고로.. 8강에서 이제동 선수가 이영호 선수를 이겼으면, 3연속 결승 진출인가요;
ROKZeaLoT
10/01/02 20:12
수정 아이콘
마재윤,최연성,이윤열이 태어난 MSL이었고 우승자징크스에 시달리던 스타리그였지만 어느샌가 스타리그에선 이제동이 배출될동안 MSL에서는 우승자징크스가 일어나고있네요. 그나마 그들은 거기다 '우승자징크스'따위의 그럴듯한 포장을 씌우는 일조차 못하고 말입니다.
10/01/02 20:25
수정 아이콘
와...예전 파이터포럼시절의 개념은나의것 님이네요. 이런곳에서도 같은 어체로 활동하고 계셨군요.
Psy_Onic-0-
10/01/02 21:09
수정 아이콘
와.. 그러고 보니 양대리그 모두 최근대회 2개 다 저그가 우승했네요;;
아리아
10/01/03 02:18
수정 아이콘
유일한 토스는 김택용이네요 역시 MSL 3연속 결승진출이 대단하긴 하네요 정말....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0678 역대 MSL 4강진출자 명단 및 횟수 [12] Korea_Republic4916 10/03/23 4916 0
40670 MSL에게 아쉬운 점 및 바라는 점 [21] 김형석5747 10/03/22 5747 1
40646 MSL 조지명식 예고 동영상이 떴네요 + 개인 잡소리 [37] 빵pro점쟁이10589 10/03/18 10589 0
40619 각 게임단별로 보는 역대 MSL 우승자 [15] Korea_Republic5438 10/03/15 5438 0
40397 G.O.의 꼬마는 웅진의 중심이 되었다 [17] survivor9318 10/02/20 9318 13
40380 대한항공 2010 스타리그 36강 D조 [265] SKY925923 10/02/19 5923 0
40352 99PKO부터 NATE MSL까지의 리그 방식 변천사 [17] 彌親男5545 10/02/17 5545 1
40308 2006 - (6) 신한은행 스타리그 S3 [20] 彌親男4815 10/02/09 4815 4
40230 역대 양대리그 종족별 우승 횟수에 대한 개인 기여도 랭킹 [16] 개념은나의것7058 10/01/31 7058 0
40201 역대 양대리그 종족별 성적 분석 [17] 개념은나의것5128 10/01/29 5128 0
40089 역대 양대리그, 우승자 연령 분석 [15] 개념은나의것4649 10/01/24 4649 0
40077 역대 양대리그 간 동일 시즌 대회 분석 [15] 개념은나의것4984 10/01/24 4984 1
40019 양대리그 역대 우승자/준우승자 현황 [9] 개념은나의것4592 10/01/23 4592 0
39896 NATE MSL 2009, 결승전 예고편 영상 입니다. [27] kimbilly6818 10/01/20 6818 0
39730 역대 양대리그 셧아웃(shutout) 일지 [18] 개념은나의것4931 10/01/07 4931 1
39686 역대 양대리그, 우승자의 차기 대회 성적 분석 [7] 개념은나의것4504 10/01/02 4504 0
39668 이영호의 결승진출. 그리고 KT 롤스터. [22] SKY925845 10/01/01 5845 0
39525 택뱅리쌍..그리고 그들의 입지..①김택용 [21] JesteR[GG]6764 09/12/17 6764 0
39469 나다(NaDa). 그대에 대한 생각. 바람. 그리고 소망 [21] The xian5777 09/12/12 5777 6
39441 역대 e스포츠대상 부문별 수상자/수상팀/수상작 [8] 개념은나의것5009 09/12/09 5009 0
39346 양대리그 통산 3회 이상 우승자의 5전3선승제 이상 다전제 전적 정리 [28] 개념은나의것6199 09/11/29 6199 0
39330 네이트 MSL 공식맵이 업로드되었습니다. [10] 송기범5079 09/11/28 5079 1
39328 양대리그 역대 공식맵 정리 [5] 개념은나의것4791 09/11/27 479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