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9/08/20 23:08:11
Name 이리
Subject 아이의 꿈, 어른의 책임
인간은 모든 생명체 중에서도 유래에 없을 정도로 긴 유년시기를 보내는 동물이다. 태어난지 몇시간도 채 되지 않아 몸을 일으키는 평원의 포유류들과는 달리, 인간의 자식들은 몇 개월 동안은 제대로 움찔거리지도 못하고, 몇년 동안은 제대로 움직일 수도 없다. 필연적으로 부모는 불안정한 자식을 돌보아야 하는데, 기능적으로만 따지면 이처럼 비효율적인 경우가 있을 수 없다. 생명체로서 자립하지 못하는 무능한 새끼시절이야 말로, 생명체로서 인간의 가장 큰 약점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인간의 새끼는, 꿈을 꾼다. 천장을 쳐다 보면서, 따스한 어머니의 품과 차가운 공기를 비교하면서, 자장가와 소음을 번갈아 들으면서 아이는 꿈을 꾼다. 할 수 있는 게 없기 때문에, 고작해야 꿈만을 꾸는 것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 꿈이, 지금의 인간과 문명을 이룬 것은 아닐까? 창의력이라 불리는, 도전이라 불리는 그런 특별한 것들이, 사실은 이 무능하기 짝이 없는 시기에 형성된 것은 아닐까? 정글에 던져져, 생명체로서의 기능을 깨닫고 학습하는데 정신이 없는 동물들과 달리, 인간은 제한 없이 세상을 즐길 수 있는 축복을 받은 것일 수 있다. 바로 제일 무능한 시기에 말이다.

그래서 인간의 미래는 아이들에게 있다. 비유적인 표현이 아니라, 실제로 그렇다. 내일의 세상을 움직일 대상은 아이들이다. 꿈꾸고, 부딪치고, 넘어지고, 헤매고, 어리석은 그런 아이들이 바로 우리의 미래인 것이다. 그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 왜, 이런 말도 있지 않는가? 아이들은 모두 천재라고.

여기에서, 어른의 책임이 파생한다. 인간의 미래가 아이에게 있기 때문에, 어른의 역할과 책임은 그 아이를 보호하는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문의 맥락에서 그 '보호'에 대해 말하자면, 어른들의 역할은 아이들이 마음껏 꿈꾸고 그 꿈을 향해 달려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아버지가 자전거를 붙잡아 줌으로서 아이는 자전거를 탈 수 있게 된다. 어머니가 눈물을 흘리며 든 매가 아이를 더 공부하게 만든다. 그렇게 얻은 힘과 속도로, 아이는 미래를 향해 나아간다. 그것은 곧 이 사회와 인류의 힘이 된다. 그렇게 인간은 앞으로 전진해 나가는 것이다.

서론이 너무 길었다. 십년전, 단지 어느 한 게임회사에서 오락거리로서 만들어진 하나의 게임이 있었다. 십년전으로 돌아가, 누가 그들에게 이 이 게임의 가치가 무어냐 물어도 그들은 '재미' 이상을 말하지 않을 것이다. 실제로도 그것이 정답일지 모른다. 오락질은 오락질이다. 그런데, 우습게도 그런 오락질에서 이상한 꿈을 꾼 사람들이 있다. 어쩌면 이것은 게임 이상의 것이 될지도 모른다고, 더 많은 사람들을 즐겁게 해줄 수 있는 무언가가 될지도 모른다고 생각한 사람들이 있다. 이런 꿈을 꾼 사람들이 모두 아이는 아니었지만, 아이 같은 꿈이라고는 말할 수는 있겠다. 여전히 포털의 관련 기사엔, 오락질로 억대 연봉을 받는게 말이 되느냐는 사람들이 있다. 실제 나이를 떠나, 그들의 뇌는 어른일지도 모른다. 게임이 게임 이상이 될 수 있음을 이해하는 것은, 꿈꾸지 않는 자들에게는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럼에도 우리는 여기 까지 왔다. 어린 꿈을 끌고 여기까지 왔다.

그것이 어떻게 가능했을까? 문맥상 짐작 가능하겠지만, 그것은 어른의 힘일 것이다. 누군가는 이것을 통해 사업적 가치를 발견했고, 누군가는 그 꿈에 현실성을 불어 넣었다. 우리가 즐기는 스타리그 방송 뒤에는, 수많은 어른들이 흘린 땀과 노력이 담겨 있다. 우리가 받아 보는 이스포츠 언론 소식에는, 수많은 어른들이 뛰어다닌 발자국이 담겨 있다. 아무것도 그냥 이루어진 것은 없다. 하나하나 언급할 수는 없겠지만, 나는 그 어른들을 진심으로 존경한다. 아이로서 꿈을 꾸게 해 주었던 어른들에게 감사한다. 그리고 10년이 흘렀다.

이제는 내 눈에는 다른 것들이 보인다. 어떤 선수의 억대 연봉 체결 소식을 보면 단순히 그 대단함에 감탄하기 보다는, 기업 입장에서 그만한 광고 효과가 있을까 라는 생각을 한다. 어느 늘그막 선수의 극적인 승리에 마냥 감동하기 보다는, 그의 장래에 대한 생각을 한다. 그 동안 쌓인 지식은 나를 삭막하게 만들었다. 안타까운 일이다. 어른이 되버린 걸까? 하지만, 여전히 꿈은 존재한다. 무대 위에서 여전히 반짝이는 꿈을 꾸는 아이들이 존재한다. 내가 꾸지 않더라도, 꿈은 실존한다.

내가 처음 그들의 꿈을 보았을 때는, 나도 아이였다. 자립할 수 없는 불안정한 한명의 아이. 그래서 그 때는 그런 꿈의 무게를, 책임이란 것을 몰랐다. 마냥 꿈 꿀 권리가 있었다. 이렇게 말을 하지만, 사실 지금도 나는 사회적으로는 아이일 것이다. 하지만 마냥 아이라고 부르기에도 머쓱해졌다. 프로게이머들은 나보다 어리고, 내가 처음 지켜봤던 이들은 어느새 스러져 사라졌다. 많은 시간이 흘렀다. 하지만, 여전히 꿈은 존재한다. 여전히 꿈은 존재한다. 그리고 나는 이제 아이가 아니다.

10년간, 그들의 꿈으로 인해 나는 너무나도 즐겁고 행복했다. 감동했고, 안타까워했고, 웃음지었다. 이것은 부정할 수 없는 진실이다. 내가 꾸었던 꿈은, 내 안에 살아 숨쉬고 있다. 그래서, 이제는 내가 그들의 꿈을 보호할 때이다. 받은 만큼, 돌려주고 싶다. 어른으로서, 한명의 팬으로서.





이스포츠를 지켜 보는 눈
http://eznoon.tistory.com

프로스포츠다운 성숙한 제도와 문화가 자리 잡고 발전할 수 있도록, e스포츠의 소비자이자 팬의 단체인 'e스포츠를 지켜보는 눈'(이하 이지눈, 대표 블로그 싸이트 http://eznoon.tistory.com)가 전방위적인 활동을 시작했습니다.

이지눈은 현 FA 제도 중 불합리한 요소를 개정시키고, 프로게이머들이 올바른 권익을 행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도록 지원합니다.

누군가에겐 오락으로 돈버는 게이머들이 우습겠지만, 좁고 치열한 이 바닥이 10년 넘어 커오는 동안 재능과 열정과 젊음을 소진하면서 보여준 경기들에서, 팬들은 말없는 위로와 터지는 감동을 받았습니다. 이지눈은 그런 경험에 빚진 팬들이 보수도 명예도 바라지 않고 옳은 것은 옳다고 그른 것은  그르다고 말하며 그른 것을 옳게 바꾸기 위해 모였습니다.

한 사람당 한 숟갈이면 만 사람이면 천 공기입니다. 모두가 조금씩 보이는 곳에서 그리고 보이지 않는 곳에서 관심을 가져준다면 한국의 e스포츠가 프로스포츠로서 소박하게 뿌리박는 것도 무리한 꿈은 아닙니다. 부탁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우주사자
09/08/20 23:14
수정 아이콘
한글자 한글자에서 광채가 흘러나오는듯 합니다. 아름답네요.
09/08/20 23:28
수정 아이콘
지금 이 악법이 한참 시행되고있어서 그쪽에만 관심이 몰려있어서 안타깝습니다...

뻔히 나쁜 결과가 나올 이 악법에 그저 순응할 수 밖에 없는 지금 이 모습이 과연 지금의 e스포츠를 존재할 수 있게끔한 팬들인지...
09/08/20 23:33
수정 아이콘
그저 순응하지 않을 것입니다. 다른 분들도 곧 도와 주시리라 믿습니다.
M.Ladder
09/08/20 23:39
수정 아이콘
하지만 그 꿈을 이룰 수 있는건 그 아이 자신이죠.
어른들은 옆에서 도와주고 지켜볼 수는 있으나 그 꿈을 대신 이루어 줄 수는 없습니다.
말하자면 이런 불합리한 관계가 계속 되는 건 아이가 계속 아이로만 있으려 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언제까지나 꿈을 꾸는 아이일 수는 없지 않겠습니까? 이스포츠 선수들이 어린 것은 사실이지만
이제 꽤나 어른이 된 선수들이 분명히 존재하는데 그 중 선수협을 만들어야겠다고 나서는 선수가 하나 없는 것이 아쉽습니다.
지금 당장이야 팬들의 힘으로 뭔가 바뀌는 듯 보일지 몰라도 근본적인 대책은 팬들이 아닌 선수들이 나서야 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뭐 그 전에 이 판이 망하면 어쩔 수 없지만 말이죠.
09/08/20 23:43
수정 아이콘
M.Ladder님// 불합리한 제도를 고치는 것을 꿈꾸며 프로게이머가 된 사람은 없으리라 생각합니다. 물론 자신의 꿈을 이루기 위해 그들도 꿈꾸기만 하는 아이에서 졸업해, 언젠가 어른이 되어야겠지요. 하지만 그들이 이 부당한 현실을 직접 해쳐나가지 못하는 것에 아쉬움을 표할 수 있을 지언정, 그 부당한 현실을 주도하고 있는 이들보다 우선적 책임을 물을 수는 없습니다.
M.Ladder
09/08/20 23:47
수정 아이콘
우선적 책임을 묻는다고 하진 않았습니다. 물론 어른들의 책임이 크지요. 그러나 아이들도 성장을 해야 합니다. 그렇게 생각합니다.
문제가 생길때마다 팬들이 나서주니까 언제까지나 자립 못하는 아이가 되는 것이 아닌가. 그런 생각이 들기도 한다는 겁니다.
활동하시는데 힘빼는 코멘트를 한 것 같아 죄송하게 생각합니다. 제가 누군지는 회원정보 한번 눌러봐주세요.
09/08/21 00:03
수정 아이콘
M.Ladder님// 네, 물론 선수들도 일어서야 할 것입니다.
Judas Pain
09/08/21 00:37
수정 아이콘
결국 FA악법과 선수협에 대해서 선수들이 직접 입을 열고 말해야 할 날이 올 겁니다.

그들 자신의 일이니까요.
09/08/21 09:26
수정 아이콘
감동입니다.
근데 조회수나 댓글수가 기대보단 적군요...ㅠ.ㅠ

그래도 이리님이나 페인님 같은 일기당천의 능력자 분들께서 앞서 나가주시니 든든합니다.

힘내십시다!
새벽을열다
09/08/21 15:27
수정 아이콘
추..추천!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1420 한없이 차가운 이 바닥의... 현실.. [35] 후후맨7034 10/05/17 7034 0
41387 진지하게, Kespa에게 단호한 "도덕적" 처벌을 요구한다. [11] 좋은풍경4131 10/05/16 4131 1
41348 낭만시대는 가고.. [5] 방물장수5528 10/05/16 5528 2
41166 양산형과 스타일리스트, 그리고 팀 단위 체제와 스타2 [13] LucidDream4355 10/05/05 4355 0
41072 프로리그 중계권과 방송국의 선택은? [20] 마빠이4662 10/04/26 4662 0
41002 열정 그리고 배신감 [4] Zealot4952 10/04/20 4952 0
40595 돌아온 뒷담화 불판입니다. [47] 테페리안7086 10/03/12 7086 1
40045 2010년 1월 23일, 아프다. [9] Gallimard4232 10/01/24 4232 6
39957 혼잡한 상황이지만 판단은 좀 제대로 합시다 [121] Infinity6561 10/01/23 6561 1
39839 이영호, 이제동은 본좌가 될 수 없다. 절대로 [63] fd테란10516 10/01/17 10516 25
39598 이게 끝이 아니잖아요. [8] Ascaron3861 09/12/26 3861 0
38841 이제동선수,까만 신사가 되어줄래요? [10] happyend7833 09/09/02 7833 12
38739 이제동 FA건을 보며 다른 입장에서 글을 써 봅니다.. [8] Northwind4128 09/08/26 4128 0
38646 아이의 꿈, 어른의 책임 [10] 이리4941 09/08/20 4941 10
38375 절반 이상의 성공을 거둔 CJ엔투스의 프로리그(시즌리뷰) [30] noknow4902 09/08/02 4902 2
38222 테란, 저그의 희망 [40] 체념토스6856 09/07/15 6856 0
38012 KT팬분들 보십시오. [37] SKY926212 09/06/27 6212 0
37896 MSL 개편 반대 선언문 [84] Judas Pain15328 09/06/09 15328 27
37462 입스타하기 미안해질때 [10] becker7758 09/03/29 7758 11
37263 공군 ACE엔 미래가 없다. [67] Nakama9623 09/03/10 9623 2
37136 Flash MagicNs [3] ToGI4675 09/02/25 4675 3
37113 [설탕의 다른듯 닮은] 송병구와 샤비 [17] 설탕가루인형5785 09/02/24 5785 2
37001 엠히의 팬으로서 정말 요즘은 하태기 감독이 그리워지네요... [19] 피터피터5520 09/02/16 5520 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