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8/08/10 11:12:49
Name 박지완
Subject 개인적으로 꼽은 이번 프로리그 최고의 에이스 "신상문"
전 이 선수의 등장을 아직도 기억합니다.

타우크로스에서..

당시 최고의 테란전 포스를 자랑하던 송병구 선수를 엄청난 멀티태스킹능력으로..

정말 압도적으로.. 그 엄청난 송병구가 아무것도 해보지도 못하고.. 처참하게 패배했습니다.

그 후에는 다소 실망스러운 경기를 보여줘서 묻혀버렸지만...

그 당시의 송병구선수와의 경기는 아직도 기억이 날정도로 엄청났습니다.

그리고 이번 프로리그 2008시즌..

초반에는 강력한 테란전으로 두각을 보이더니만..

갑자기 3종족 고른 승률을 보이며, 온게임넷 스파키즈의 강력한 테란에이스로 자리잡습니다.

온게임넷이 기적의 9연승을 하며, 결승까지 오를때..

이 선수는 단한번도 지지 않았습니다.

포스트시즌 전적까지 합친다면.. 무려 14승6패라는 엄청난 전적을 보여주었습니다.

비록 어제 팀에 패배하여, 준우승에 그쳤지만..

신상문선수의 위력은 여전했습니다.

프로리그 우승은 하지 못했지만, 그 한을 이제는 개인리그에서 풀었으면 합니다.

계속 앞으로 나아가는 선수가 되어주기를..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8/08/10 11:14
수정 아이콘
신상문 선수가 없었다면 여기까지 오지도 못했겠죠
신상문이 있어 온게임넷의 내일은 밝습니다
08/08/10 11:15
수정 아이콘
신상문 선수 실력이 이번시즌 급 성장한 느낌입니다. 꼭 msl 진출 하길 바랍니다.
양산형젤나가
08/08/10 11:16
수정 아이콘
신상문 선수는 팬들 많은 팀 가서 활약해줬으면 좋겠네요. 어디 영입해줄 팀 없는지....
실력은 출중한 만큼 더 팬이 많은 팀 가서 환호도 많이 받으면서 꾸준히 잘 해줬으면 좋겠습니다
마요네즈
08/08/10 11:18
수정 아이콘
신상문 선수의 위상이 얼마나 컸냐하면, 송병구 선수가 '온게임넷에서는 신상문, 박찬수 정도 되는 선수만이 나를 자극시킬 수 있다.'이런 요지의 발언을 했었죠. 짧은 기간안에 개인리그에서 보여준 것 없이 프로리그 경기만으로, 프로리그 최고팀 에이스가 인정하는 선수가 되었네요.
이번 신한은행 프로리그에서 만든 최고의 스타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택용스칸
08/08/10 11:22
수정 아이콘
실력 정말 출중하죠. 차재욱-한동욱을 이어 나온 스파키즈의 테란이죠.
하지만 한동욱 선수의 토스전을 보강한 스파키즈의 완성형 테란이랄까요?
개인리그에서도 좋은 모습을 보여주길 바랍니다.
아다치 미츠루
08/08/10 11:45
수정 아이콘
뜬금없는 타이밍... 이긴 하지만,, 어찌 보면 이번 프로리그 최고의 선수는 신상문 선수인거 같네요.....

어제 경기도 최고였죠...
The_CyberSrar
08/08/10 11:55
수정 아이콘
슬램덩크의 강백호 같은 선수랄까..
잠재력이 엄청난 선수 같습니다. 스타 브레인때의 모습이 아직도 눈에 선한데 어느덧 이렇게 성장했네요..
그때는 민찬기 선수가 좀 더 반짝여 보였는데...
영웅이 될 싹이 보이는 선수입니다.
Epicurean
08/08/10 11:59
수정 아이콘
토스전 성적이 뛰어나진 않지만, 이겨줄 땐 꼭 이겨주는 멋진 선수죠...
원팩 원스타를 아직도 써주는 테란이라 반갑기도 하고...

마요네즈님// '박찬수 쯤은 되야'아니었나요?;;; 신상문 선수 이름은 못들었는데;;;
케이건
08/08/10 12:16
수정 아이콘
정말 저도 신상문 선수가 송병구 선수를 상대로 엄청난 치고 빠지기로 승리를 가져가는 경기를 보고 그게 바로 한동욱 선수가 보여줬어야 했던 플토전이라고 생각했었는데... ㅜㅜ 신상문 선수가 요즘 잘하는 모습을 보니까 너무 좋습니다.
윤열이는요
08/08/10 12:39
수정 아이콘
타우크로스 경기 진짜 전율
08/08/10 12:47
수정 아이콘
원팩 원스타를 개인적으로 제일 선호하고 보는것도 좋아하는데 자주 써줘서 좋습니다.
전 홍진호 선수에게 가드라로 패한 경기도 생각나네요~
스쳐지나가는
08/08/10 13:11
수정 아이콘
신상문 선수, 참 재밌는 선수죠.
과거 송병구 선수를 잡을 때도 정말 재밌는, 한시도 눈을 뗄 수 없는 경기로 눈에 들었었는데.

이번 MSL에선 좋은 모습 보여주길 하는 바람입니다.
08/08/10 13:45
수정 아이콘
아 그경기가 신상문선수의 경기였군요....
전 지금까지 스파키즈보면서 그때 송병구선수를 멋있게잡은선수가 왜 안나오지라는 생각만했네요...;;
세이야
08/08/10 16:28
수정 아이콘
저도 이 선수 데뷔전 기억합니다.
그 당시 테란전 무적포스의 송병구 선수를 이리저리 치다가 압도적으로 잡은 경기였죠.
그 경기만 잘했나보다 싶더니 다시 기대하게 만드네요.
08/08/10 18:32
수정 아이콘
그리고 정말 게임을 좋아하는거 같아서 더 호감입니다.
악동이미지가 강한 김창희, 이승훈선수와는 다른 또다른 매력의 소유자죠.
정말 그 승리에 대한 집념이 느껴지는 얼굴표정은 정말 최고입니다.
미소천사선미
08/08/10 21:44
수정 아이콘
차재욱,한동욱 이 후로 테란 플레이어가 필요했던 스파키즈 한 테는 단 비같은 선수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5473 어린 영웅의 마지막(?) 발자취... [16] 가을이횽의5367 08/08/15 5367 0
35472 프로리그 방식 제안합니다 - 홈어웨이, 챔스방식, 지명선수, 셧아웃 도입 [2] 오만과나태3924 08/08/15 3924 0
35471 삼황 오제 사천왕 -第十八章- [9] 설탕가루인형4439 08/08/14 4439 0
35469 아케이드 격투 게임 제전, 투극 2008이 열립니다. [20] 7048 08/08/14 7048 0
35468 프로리그는 팀매치 방식이 될 수 밖에 없다. [69] 프렐루드5116 08/08/14 5116 2
35467 김태형 해설에 대한 짤막한 비판글 [36] 라울리스타15017 08/08/14 15017 0
35466 제가 생각해본 예전 팀리그와 현 프로리그의 접목한 새로운 리그 방식 [14] 후딱4873 08/08/14 4873 8
35465 위메이드, 최초로 지역연고 프로게임단 추진 [45] 보름달7508 08/08/13 7508 0
35464 리그 브레이커 박지수. [32] 펠쨩~(염통)8089 08/08/13 8089 0
35463 경남 STX 컵 플레이오프 선봉 엔트리~ [10] SKY924760 08/08/13 4760 0
35462 과연 프로리그 게임방식에 관한 문제인가? [9] 씨빌라이져3976 08/08/13 3976 0
35461 [알림] 신규 운영진 소개. [19] 메딕아빠4229 08/08/13 4229 0
35460 팀리그와 프로리그의 교점 - 팀 서바이벌 [14] 점쟁이4171 08/08/13 4171 1
35459 완전하지 못해도 팀배틀은 분명히 여러가지 장점이 존재한다. [27] 스갤칼럼가5564 08/08/13 5564 5
35457 오늘보여준 E스포츠의 구원투수 -팀리그- 장단점 [11] 100_NO4666 08/08/13 4666 0
35456 오늘 팀리그를 보고 생각난 리그 방식 [10] ranmov3971 08/08/12 3971 0
35455 팀리그 방식에 대한 변론 1) 혹사 2) 경기질 저하 3)선수출전축소 [29] 정테란4663 08/08/12 4663 0
35454 프로리그 연습과정 [22] opscv5929 08/08/12 5929 1
35453 오늘 팀배틀 재미있습니까? [34] 펠쨩~(염통)8292 08/08/12 8292 2
35452 모든것을 불태운 그들이여... [10] 신우신권5424 08/08/12 5424 3
35450 경남 STX컵 마스터즈 준플레이오프 입니다. (삼성 vs SK텔레콤) [405] 핫타이크8699 08/08/12 8699 0
35449 저테전, 3헷의 변화. [32] CakeMarry7043 08/08/11 7043 0
35448 본좌 논란과 춘추전국 시대 [40] 피스5378 08/08/11 5378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