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8/01/27 01:11:52
Name Leeka
Subject 창단이후 2번째 결승전진출. CJ VS 르까프 이야기.
창단이후. 즉 06년 전기부터의 공통점입니다.




CJ 엔투스. 창단이후 06 전기 첫 포스트시즌 진출(플레이 오프 직행)
르까프 오즈. 창단이후 06 후기 첫 포스트시즌 진출(플레이 오프 직행)


CJ엔투스. 첫 플레이오프에서 MBC게임 히어로에게 패배.
르까프 오즈.  첫 플레이오프에서 MBC게임 히어로에게 패배.




CJ 엔투스. 창단이후 06 후기. 첫 결승전 진출.
르까프 오즈. 창단이후 07 전기. 첫 결승전 진출.


CJ 엔투스. MBC 게임 히어로에게 패배. (후기 당시 개인리그 4강멤버인 마재윤/변형태 제외하고 전패).
르까프 오즈. 삼성전자 칸에게 압도적인 패배.

두팀다 준우승 달성.


CJ 엔투스. MBC 게임히어로와 두번째 플레이오프에서 만나다.(07 후기) - (포스트시즌만으론 3번째.)
르까프 오즈. MBC게임 히어로와 두번째 플레이오프에서 만나다(07 전기)

두팀다 두번째 플레이오프 대결에서 초반 불리하게 시작하나, 복수전에 성공.



CJ 엔투스. 그리고 르까프 오즈.  창단이후 세번째 포스트시즌 진출.  그리고 두번째 결승전.


첫 플레이오프 직행에서 엠히에게 무너지고.
첫 결승전에서 패배의 쓴맛을 봤지만.
두번째 플레이오프 엠히와의 배틀에서 승리를 거두었고.



이제 창단이후 첫 승리를 맛보는 팀은 어느 팀이 될것인지.



04년 3라운드의 주인공이였던 온게임넷 스파키즈(프로리그 첫 우승).  
05년 후기리그의 주인공역활을 했던 삼성전자 칸. 에결에서 무너졌지만.
06년 후기리그의 주인공이였던 MBC게임 히어로.

마지막 프로리그는 그렇게 드라마를 쓰는 팀들이 존재했엇다.

그리고 지금 드라마를 쓰고있는건. CJ 엔투스. 그들은 마침표를 찍을수 있을것인가.


아니면,

05년 전기리그 결승전에서 SKT1에게 통한의 패배를 당하고. 05년 그파에 다시 복수전을 신청한 KTF처럼.
06년 전기리그 결승전에서 SKT1에게 통한의 패배를 당하고, 06년 그파에 다시 복수전을 성공시킨 MBC게임 히어로처럼.
07년 전기리그 결승전에서 삼성전자에게 통한의 패배를 당하고, 07년 그파에 다시 복수전을 쓰기위해 칼을 갈고있는.

르까프오즈가,  복수전 성사를 다시 이루어 낼것인지.




삼성전자 칸의 팬으로서. 즐거운 마음으로 지켜보렵니다.


By Leeka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8/01/27 01:28
수정 아이콘
저또한 삼성칸의 팬으로서 ㅡ.ㅡ; 이 2팀은 삼성칸의 플옵역사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쳤죠

cj 그때는 g.o였나요 최초로 플옵에 올라간 삼성칸의 상대이자 프로리그 최고의 명문중 하나인 g.o 2005후기 준플옵 준플옵 베스트를 꼽는다면 저는 이경기가 top3안에 반드시 든다고 장답합니다..대단하였죠

르카프는 말 안해도 아실테고......

누가 올라와도 삼성칸은 참 감회가..새롭겠습니다
지니-_-V
08/01/27 03:14
수정 아이콘
bins님// GO의 팬으로써... 마지막에결에서 마재윤선수가 차마 지지를 못치고 있을때.. 김태형 해설위원이 하던말이 아직도 기억에 남네요..

날고싶은 저글링이라고.. ... 그 한마디가 얼마나 가슴을 후벼파던지.. T_T
택용스칸
08/01/27 08:52
수정 아이콘
05 그파 때 다시 복수한 것이 아니라 신청한 KTF가 아깝네요.. ㅠㅠ;
08/01/27 09:19
수정 아이콘
CJ가 드라마의 마침표를 찍으리라 믿습니다 !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3903 최연성 선수의 은퇴로 인한.. 한 게이머의 절규(?) [14] 아름다운돌7326 08/02/10 7326 0
33900 김택용 선수 이적 [144] tnpfpr13532 08/02/10 13532 1
33899 너무 스타리그 경기가 많다.. [31] 대한건아곤5844 08/02/10 5844 0
33898 문어 이야기 [11] ThanksGive4921 08/02/10 4921 14
33895 [프로리그의 발자취] (3) - SKY 프로리그 2004 1R [17] 彌親男5546 08/02/10 5546 2
33894 스타크래프트 2 개발진 Q&A 29 [10] Tail4348 08/02/09 4348 0
33892 염보성, 초심으로 돌아가라. [25] 매콤한맛6247 08/02/09 6247 0
33890 팀리그 + 야구 [7] Elminsis4106 08/02/09 4106 0
33889 스타계의 괴물이 이젠 전설이 되고 말았네요. [52] 2초의똥꾸멍11315 08/02/09 11315 0
33888 헬게이트 : 런던의 생존 가능성에 대한 주관적인 이야기 [34] The xian8083 08/02/09 8083 0
33887 프로리그 주7일제 주장 [77] sylent10232 08/02/08 10232 3
33886 이윤열 ,최연성 사이에 있는 재미있는 기록 [46] 캇카11753 08/02/08 11753 2
33885 프로리그 엔트리 예고제 개선안에 대한 제안 [15] 겨울愛4753 08/02/08 4753 0
33883 한국 E-Sports 컨텐츠의 세계화. [18] 초록별의 전설7963 08/02/06 7963 0
33882 2월의 그물망 스케쥴 [14] 파란무테7101 08/02/06 7101 0
33880 2008년의 판도를 가늠해볼수있는 운명의 8연전 & 토토전 최강자전 [25] 처음느낌6093 08/02/06 6093 0
33879 8강 대진표가 나왔습니다. [75] SKY927376 08/02/06 7376 0
33878 스타챌린지 2008 시즌 1 대진표 나왔습니다. [18] SKY924622 08/02/06 4622 0
33877 박카스 2008 스타리그 16강 재경기 [265] 바베8913 08/02/06 8913 0
33876 카오스런쳐 채널을 정했습니다, [19] worcs5267 08/02/06 5267 0
33875 이중 잣대의 적용? [43] Electromagnetics6636 08/02/06 6636 0
33874 스타크래프트 2 개발진 Q&A 28 [11] Tail5082 08/02/06 5082 0
33873 스타챌린지 2008 시즌1 예선전 전적 결산 [18] 프렐루드4602 08/02/06 4602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