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12/12 17:50:36
Name 김광훈
Subject 적절한 타이밍에 프로리그의 포스트 시즌 진출팀을 다같이 예상해봅시다.
1위 - 르까프 오즈 12승4패+14

남은대진 - 공군,이스트로,한빛,온겜,sk,위메이드


2위 - CJ 엔투스 12승4패+10

남은대진 - 위메이드,STX,MBC,삼성,한빛,skT


3위 - MBC게임 히어로즈 10승6패+6

남은대진 - skT,KTF,삼성,CJ,이스트로,공군


4위 - 온게임넷 스파키즈 9승7패+12

남은대진 - 이스트로,공군,위메이드,르까프,KTF,한빛


5위 - 삼성전자 칸 9승7패 +4

남은대진 - 한빛,MBC,STX,CJ,위메이드,KTF


6위 - 위메이드 9승8패 +5

남은대진 - CJ,온겜,한빛,삼성,르까프


7위 - 한빛 9승8패 +3

남은대진 - 삼성,르까프,위메이드,CJ,온겜


8위 - KTF 8승8패 -3

남은대진 - STX,MBC,이스트로,skT,온겜,삼성


- 포스트 시즌 탈락확정팀
STX 7승9패 -8 (90%이상 탈락 확정)
sk텔레콤 6승10패 -5  
이스트로 5승12패 -15
공군 2승15패 -23

*정보 출처: 스갤



암튼 9패를 포스트 시즌 탈락의 마지노선이라고 생각합니다. 14승 8패 정도는 해야 포스트 시즌 진출이 가능하다고 보거든요.

정말 물고 물리는 변수가 작용해서 13승 9패로도 진출할 가능성이 없진 않겠지만 그럴려면 최소한 승점이 좋아야 겨우

4위 턱걸이를 할거 같네요. 사실상 가능성있는 팀들은 8팀, 성적이 좋은 르까프와 CJ는 안정권에 접어들었다고 봅니다.

막판에 내리 연패를 하지 않는이상 말이죠. 그냥 순수하게 주관적인 저의 예상이라면 엠히가 현재 승점은 안 좋은 편이지만

남은 대진을 감안해보면 비교적 CJ를 제외하면 무난합니다. 엠히가 3위를 차지할거 같은 예상을 해보며

4위는 온게임넷 스파키즈가 막판에 뒷심을 발휘한 삼성과 위메이드를 따돌리지 않을까 싶습니다.

1위 르까프, 2위 CJ, 3위 엠겜, 4위 온겜 이렇게 막판까지 그대로 가지 않을까 예상해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12/12 18:01
수정 아이콘
오늘 한빛이 이겼어야 했는데 ㅠ

삼성의 가능성이엠겜,온겜보다 더 클것 같습니다. 3위정도...

요즘 연승가도인데다가 초반에 흔들린 큰 이유는 팀플의 약화였죠. 그러나 이젠 임채성-이재황 팀플이 잘해주고 있고,

송병구 선수는 패스~ 이성은 선수 같은 타입은 좀 시동걸리면 무서운 타입이라;;

어제 경기를 이기고 나서 한번 더 포텐샬이 폭발할거 같은 기분이 듭니다 +_+ 하지만 김가을 감독이 자신했던 저그 라인이 후기리그에도 빛을 못봐서 아쉽네요.. 주영달 선수는 초반엔 좋다가 점점 갈수록....
완성형폭풍저
07/12/12 18:04
수정 아이콘
케텝이 현재 8패인데.. 7패이하를 기록중인 삼성과 온겜 그리고 엠히와의 경기를 남겨두고 있기때문에..
그 모든 경기에서 승리할 경우 상당히 높은 확률로 진출 가능성이 생길것같네요.
극심한 팬심이 작용한 예상입니다. 하하..;;;
윤열이는요
07/12/12 18:06
수정 아이콘
갈길 바쁜 위메이드는 한경기 빼고 전부 상위팀이랑 경기하네요
제3의타이밍
07/12/12 19:32
수정 아이콘
위메이드는 앞으로의 행보에서 이기더라도 승점관리까지 잘해줘야겠군요;
상위팀들의 승점이 상당히 커서..
르까프와 CJ는 안정권, 남은 두자리는 엠겜or온겜/삼성 일 것 같아요..
Lunaticia
07/12/12 19:39
수정 아이콘
삼성이 올라갔으면 좋겠는데..
김동건,허영무 선수가 부진한게 진짜 치명타입니다.
주영달 선수도 지금 영 아니고...

그래도 무적 팀플이 거의 부활했다는 점과, 원투펀치의 위력은 현재 전 구단에서 최고수준이라는 점을 볼때 삼성은 올라갈듯...(팬심이 반영되어있네요 하하..)

그리고 전 나머지 한팀 KTF에 걸어봅니다. 완전히 분위기 탔어요. 신예들이 자리 잡으면서 미친듯이 치고올라올 듯한 느낌입니다.
07/12/12 22:41
수정 아이콘
이 중요한 시기에 이윤열 선수를 빼야되다니..
hysterical
07/12/13 01:41
수정 아이콘
희망사항으로 ktf의 진출을 보고 싶습니다. 배병우 정명호의 저그라인이 굉장히 매력있더군요-
플옵이라면 강민선수가 못보여주었던 꿈들을 다시 한번 보여줄수 있을지도ㅠ
오즈는 남은 대진이 제일 좋네요- 공군, 이스트로 잡고 일찌감치 확정지어놓으면 분위기도 살고-
연홍님이 좋아하시겠네요(응?)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5473 어린 영웅의 마지막(?) 발자취... [16] 가을이횽의5585 08/08/15 5585 0
35472 프로리그 방식 제안합니다 - 홈어웨이, 챔스방식, 지명선수, 셧아웃 도입 [2] 오만과나태4158 08/08/15 4158 0
35471 삼황 오제 사천왕 -第十八章- [9] 설탕가루인형4682 08/08/14 4682 0
35469 아케이드 격투 게임 제전, 투극 2008이 열립니다. [20] 7536 08/08/14 7536 0
35468 프로리그는 팀매치 방식이 될 수 밖에 없다. [69] 프렐루드5373 08/08/14 5373 2
35467 김태형 해설에 대한 짤막한 비판글 [36] 라울리스타15554 08/08/14 15554 0
35466 제가 생각해본 예전 팀리그와 현 프로리그의 접목한 새로운 리그 방식 [14] 후딱5171 08/08/14 5171 8
35465 위메이드, 최초로 지역연고 프로게임단 추진 [45] 보름달7775 08/08/13 7775 0
35464 리그 브레이커 박지수. [32] 펠쨩~(염통)8404 08/08/13 8404 0
35463 경남 STX 컵 플레이오프 선봉 엔트리~ [10] SKY925026 08/08/13 5026 0
35462 과연 프로리그 게임방식에 관한 문제인가? [9] 씨빌라이져4231 08/08/13 4231 0
35461 [알림] 신규 운영진 소개. [19] 메딕아빠4514 08/08/13 4514 0
35460 팀리그와 프로리그의 교점 - 팀 서바이벌 [14] 점쟁이4452 08/08/13 4452 1
35459 완전하지 못해도 팀배틀은 분명히 여러가지 장점이 존재한다. [27] 스갤칼럼가5945 08/08/13 5945 5
35457 오늘보여준 E스포츠의 구원투수 -팀리그- 장단점 [11] 100_NO4943 08/08/13 4943 0
35456 오늘 팀리그를 보고 생각난 리그 방식 [10] ranmov4223 08/08/12 4223 0
35455 팀리그 방식에 대한 변론 1) 혹사 2) 경기질 저하 3)선수출전축소 [29] 정테란4955 08/08/12 4955 0
35454 프로리그 연습과정 [22] opscv6143 08/08/12 6143 1
35453 오늘 팀배틀 재미있습니까? [34] 펠쨩~(염통)8565 08/08/12 8565 2
35452 모든것을 불태운 그들이여... [10] 신우신권5767 08/08/12 5767 3
35450 경남 STX컵 마스터즈 준플레이오프 입니다. (삼성 vs SK텔레콤) [405] 핫타이크8975 08/08/12 8975 0
35449 저테전, 3헷의 변화. [32] CakeMarry7317 08/08/11 7317 0
35448 본좌 논란과 춘추전국 시대 [40] 피스5697 08/08/11 569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