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 Date | 
 
2007/11/08 21:10:42  | 
 
 | Name | 
 리콜한방 | 
 
 | Subject | 
 문득 생각나는 최연성의 첫 발자취  | 
 
 | 
 
     
  <최연성> 
 
2003년 TG 삼보 MSL. 
 
최연성 - 첫 진출, 임요환의 후계자로 조금 알려져 있었음. 
 
16강 - 이윤열에 0:1 패배. 
 
죽음의 패자조 일정 시작. 
 
패자8강 1차 - 나도현에 1:0 승 
 
패자8강 2차  - 심소명에 2:0 승 
 
패자4강 1차 - 한승엽에 2:0 승 
 
패자준결승 - 이병민에 2:0 승 
 
패자결승 - 다시 이윤열과의 대결, 3:1 승 -> 결승진출 
 
결승 前 까지 최연성의 성적: vs Terran - 8승 2패 / vs Zerg - 2승 0패 / vs Protoss - 전적 없음 
                                       
                                     도합: 10승 2패 
 
 
<박성균> 
 
2007 곰TV S2 MSL 
 
박성균 - 첫 진출, 이윤열의 후계자 였었으나 별다른 활약이 없다가 첫 본선 진출 성공. 
 
32강 - 진영수에 0:1 패,  
         안상원에 2:0 승 
 
16강 - 최연성에 2:1 승 
 
8강 - 주현준에 3:1 승 
 
준결승 - 마재윤에 3:2 승 -> 결승 진출 
 
결승 前 까지 박성균의 성적: vs Terran - 7승 3패 / vs Zerg - 3승 2패 / vs Protoss - 전적 없음 
                                       
                                     도합: 10승 5패 
 
 
패 수는 조금 차이나지만 두 선수가 모두 '10'승을 거두고 결승에 진출한 상황은 똑같다. 
 
또 테란만 줄창 만났고, 플토전을 전혀 하지 않았으며 저그전 역시 딱 한선수만 만났고 이겼다. 
 
또 당대 최강의 테란에게 0:1 패배를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그들이 꺾은 상대는 前 본좌. 
 
 
무엇보다 비슷한것은 결승전에 대부분 사람들이 그들을 응원하지 않았었고, 또 그럴 것이라는 점과 
 
당시의 실력에 테란 최강자에 오를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는 점이다. 
 
 
과연 박성균은 2003년 최연성의 등장이후 4년동안 나오지 않았던 최강자 테란이 될 수 있을까? 
 
너무 성급한 판단일지 모르지만 역사는 우리가 예측하지 못하는 방향으로 흘러가기에 그냥 선수들에게 흐름을 맡기겠다. 
 
 
P.S: 그래도 이번 MSL 우승은 김택용!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