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6/03 16:09:59
Name NO.7
Subject 팬택, 엔트리의 변화가 너무 간절합니다.
오늘도 이스트로에게 3:0으로 패배. 게다가 경기 내용도 전경기 완패.
팬택은 엔트리의 변화가 너무너무 절실해 보입니다.

최근 개인전 기량이 떨어진 이윤열 선수를 과감하게 빼야합니다.
언제까지 이윤열 선수에만 의존하는 팀체제로 프로리그에 임할 건지...

그리고 심소명, 안기효 선수들 개인전으로 돌리는 것이 더 현명해 보입니다.
이런 말은 좀 극단적이지만 왜 이 두 선수를 팀플로 썩힙니까?
오늘 엔트리도 1,2경기 안기효, 심소명 선수가 차례로 나왔다면, 더 좋은
결과가 나올 수 있었으리라 봅니다.

심소명 선수 테란전에 말이 많은데, 언제까지 약점 극복 못 하고 있을 겁니까?
게다가 프로리그에서는 테란도 멋있게 잡는 모습 보여주지 않았습니까.
심소명 선수가 개인전 몫을 해 주어야할 때입니다.

팀플전 개념이 있다는 김재춘 선수를 이윤열 선수와 함께 팀플에 쓰고,
심소명, 안기효 선수를 개인전에 출전시키는 엔트리의 변화가 있어야만
팬택의 미래가 있을 것 같습니다.

이윤열 선수만 믿고, 개인전 신인들로 채우면서,
심소명, 안기효 선수를 팀플에 배치하는 뻔한 엔트리로 처참하게 패배하는 모습을
다시 보여주면서 실망을 끼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박대장
07/06/03 16:16
수정 아이콘
감독이나 선수들이 그런 부분을 몰라서 못하는게 아니라 그게 최선의 선택이겠죠.
배틀로얄
07/06/03 16:17
수정 아이콘
이윤열 선수...안스럽네요. 좀 쉬었으면 좋겠습니다.
07/06/03 16:18
수정 아이콘
이창훈 선수와 임채성, 이재황 선수의 경우 특화되었고, 팀플 계열에 워낙 익숙하지만 심소명, 안기효 선수는 개인리그 성적이 뚜렷하지 않아도 개인전에 내세우는게 확실히 좋다고 봅니다.
이번 시즌은 아무래도 1승 카드를 만들기 위한 과도기로 봐야할 것 같네요. 이윤열 선수가 양대 개인리그에서 저조해서 조기에 한 시즌 리그를 마무리 하게 되었지만 중요할 때 기용하고, 신예나 중견 선수를 충분히 단련시켜서 내보내는게 좋을 것 같네요.
대장균
07/06/03 16:19
수정 아이콘
팬택팬으로서.......차라리 전기리그 포기하고 새로운 팀플카드 찾고 이윤열선수 없이도 살 방법을 찾았으면 좋겠다는...
07/06/03 16:19
수정 아이콘
이제는 심소명, 안기효 선수에게도 더 많은 기회를 줄 때가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플옵 좌절입니다. 승패에 상관없이 심소명, 안기효, 나도현 선수를 개인전에 투입하고, 이윤열 선수를 쉬게 함으로써, 팀플 재정비해야할 것 같습니다.
07/06/03 16:20
수정 아이콘
팬택 플레이오프 좌절 확정인가요? 아직까진 희망이 있을거 같긴 한데... 공군은 그럼 완전.....ㅠㅠ
8셀밧데리
07/06/03 16:24
수정 아이콘
대체 히통령을 팀플에서 썩히는 이유는???
07/06/03 16:27
수정 아이콘
GoThree님// 이 판이 지금 기세로 이어진다고 볼 때... 삼성, STX가 무섭고 온게임넷, CJ, MBC, KTF, SK가 쌓아놓은 것이 있어서 조금 무리일 수도 있습니다만...; 삼성, STX 팀이 다른 팀 다 이기고 팬택이 다른 팀을 다 이기며 3~8위까지가 혼전인 가운데 어느 팀 하나 승을 제대로 못 쌓을 때 가능성은 있을 겁니다만...; 지금의 상황으로 보면 거물 선수의 재투입 및 부활 가능성, 신예의 밝은 미래가 있는 팀이 현재 하필이면 또 3~8위에 구성되어서요; 아마 지금의 기세로 보면 전승을 해도 다른 팀을 봐야 할 겁니다;
METALLICA
07/06/03 16:34
수정 아이콘
이윤열 선수는 타팀으로 보낸다 생각하고 자생방안을 찾기를..
하히호히
07/06/03 16:37
수정 아이콘
지오메트리에서 천재테란 이윤열이 지다니... 그것도 저그한테.... 휴.. 이윤열 선수에게는 시간을 좀 줬으면 좋겠어요 ,,!! 다른 분 말씀처럼 이윤열 없어도 돌아가는 팀으로 만들어서 이윤열 선수의 어깨에 짐을 좀 가볍게 해줬으면 좋겠어요 ..
The xian
07/06/03 16:50
수정 아이콘
이미 저는 지난 목요일 이번주차 엔트리 발표된 것 보고 고개를 가로저었습니다. 뭐라고 말은 하기 그렇지만,
그 엔트리를 보자마자 '속 보인다'라는 느낌이 들더군요. 물론, '속 보인다'는 말은 개인적인 느낌이라 근거 같은 건 없습니다.
관계자 분들께서 무슨 의도를 가졌다고 생각하지는 않으니, 오해는 없었으면 합니다.

그런데 요즘 이윤열 선수가 연습상대를 구하지 못한다는 소리가 해설자분들의 입에서(방송에서) 계속 들려오는데
그게 대체 무슨 이유인지 아시는 분께서는 쪽지나 덧글로 저에게 남겨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말없는축제
07/06/03 17:18
수정 아이콘
그저 답답하네요 팬텍....... 참 할말없게 만드는군요;
Deceit_Bin
07/06/03 17:32
수정 아이콘
팬택 EX가 나머지 경기 다 이기면 14승 8패입니다. 대부분 사람들이 플옵에 진출할 수 있는 마지노선을 13~15승으로 잡아놓았으므로 어찌어찌하면 올라갈 수도 있겠군요..

그나저나 이윤열 선수 요즘 부진인게 너무 눈에 보입니다. 개인리그는 이미 광속탈락을 해버렸죠.. -_-;; 심소명 선수 물론 테란전을 한번밖에 안 했다고는 해도 MSL에서 준우승한지 이제 겨우 6개월쯤되었고 비슷한 시기에 안기효 선수는 스타리그 8강에까지 올랐던 자원입니다. 이런 개인전 실력이 출중한 선수들을 썩힌다는건 제 상식으로는 이해가 가지 않아요.
07/06/03 17:33
수정 아이콘
이윤열 선수 오늘 지오메트리에서 진 3번째 테란이죠 ㅠㅠ
비밀....
07/06/03 17:40
수정 아이콘
The xian님// 사실 요즘 이윤열 선수 경기력은 연습량 문제만으로 생각하기 힘들 정도입니다. 오늘 경기는 진짜 연습 문제 이전에 뭔가 나사가 하나 빠진것 같던데요. 지OME트리에서 테란이 그것도 세로방향에서 '이윤열'이 온리뮤탈에 똥개관광을 당하다뇨...... 아무리 천적인 김원기 선수라지만 이런 관광을 넘어선 경기가 나온걸 보면 이윤열 선수 혹시 어떤 정신적으로 힘든 일이라도 있는건 아닌지 걱정되네요.
몽상소년
07/06/03 18:01
수정 아이콘
이윤열 선수 팬이지만 이윤열선수가 프로리그엔트리에서 않보이는날이 엄청 기쁘게 느껴질것같을 정도네요.;
07/06/03 19:47
수정 아이콘
라오발// 그런 말씀은 제발... 제가 말하고 싶은 것은 팀을 위해서 현재 부진한 이윤열 선수는 프로리그에서 빼고, 심소명 선수와 안기효 선수를 중심으로 팀을 재정비해서 남은 기간을 열심히 꾸려나가길 바란다는 뜻인데, 물론 이윤열 선수가 열심히 누구보다 고생한 것은 알지만 그런 말씀을 이 게시물에서 하시면, 나머지 선수들은...
07/06/03 20:17
수정 아이콘
모선수가 잘 나가다가 추락하면 모선수 팀내 다른선수들 핑계대면서
돌려대는 팬심이 참...
라오발
07/06/03 20:24
수정 아이콘
NO.7//죄송합니다. 너무 답답해서 속이 터져버릴꺼 같아 하소연을 본의 아니게 댓글에 하게 되었네요. 제 댓글에 NO.7님 글의 요지가 빗나갈까봐 삭제합니다. 그리고 다시 한번 거듭 사과드립니다. 죄송합니다.
박지완
07/06/03 20:50
수정 아이콘
오늘 참 흔하지 않는 경기를 봣었죠.. 요새 시대에 테란이 저그에 뮤탈리스크 짤짤이로만 경기가 끝나다니..차암...
이건 이윤열선수의 연습부족이라기보다는.. 기량이 현저히 저하된 느낌이더군요.. 이번경기로 인해서 심리적 타격이 엄청날꺼 같네요..
이신근
07/06/03 21:39
수정 아이콘
이윤열선수 연봉이 2억이죠 팬택왠만한선수들 한5명 연봉값이죠 그만큼 비중이 크다는의미입니다 그런의미에서 이윤열선수 혹사당한다 는느낌까지 는안드네요 이윤열선수보다 경기수 훨씬많은선수들도많은데 이윤열선수말고도 프로리그에선 팀마다 거의 빠지지않고 나오는선수들이꼭있죠 물론윤열선수가 매우자주 나오긴하지만 혹사정도까진아닌듯 그리고 개인슬럼프를 팀탓하는건.. 윤열선수 컨디션이안좋아서 못하는걸수도있고 여러가지이유가있겠죠 그이유를 팀탓만하는거보기안좋네요
이신근
07/06/03 21:40
수정 아이콘
참고로 제글 글쓴이분한테 하는말아님 다른분들...말씀이
꿀호떡a
07/06/03 22:36
수정 아이콘
이신근님// 이윤열선수보다 경기수 많은 선수..가 있기는 있나요?
.. 아마 이윤열선수가 가장 많은 경기를 뛰지 않았을까 싶은데요...
이신근
07/06/03 22:53
수정 아이콘
스갤에서 눈팅하다가 봤는데2007시즌 아마 이윤열선수보다 경기가더많거나 비슷한사람이 분명여럿있을겁니다 지금에 부진이 꼭팀때문이 아니라는걸말하고싶네요
07/06/03 22:54
수정 아이콘
오늘 경기는 뭔가 너무 무기력해 보였어요 평소답지 않게
몽상소년
07/06/03 23:47
수정 아이콘
저저번준가에 양대리그참가에 (엠비씨는 3경기) 프로리그 2번 블리자드 대회참가(4경기) 연달아 있었습니다..
몰라요몰라요
07/06/04 02:55
수정 아이콘
이신근님 눈팅하다가 본것 말고 정확히 말씀해주시길 바랍니다..또한 지금 프로리그 체계가 주 4회인걸로 아는데 07초반과는 다르죠? 또한 얼마전까지는 양대리거 였으므로 .. 제가 알기로는 프로리그 엔트리에 항상 들어있는 선수 못본것 같은데 제가 열심히 챙겨 보지 않는것도 있지만요
진짜..선수 거론하면 안되는거라서 선수이름은 안쓰지만 연봉 2억에 지금까지 잘해준 선수가 있는가 하면 5천~1억원 적게 받고 계속 부진하는선수들도 여럿 있다고 생각하는데요?? 그쪽이 프로게이머가 아니면 개인선수의 상황 모르고 함부로 말하지 마시죠 ?? 단적인 예로 그럼 예전에 성적이 좋았을땐 2억넘게 연봉을 왜 안줬죠??그떈 손해보고 경기하고 팀에 기여한건 가요?? 논란을 일으킬만한 글은 없었으면 좋겠네요
몰라요몰라요
07/06/04 02:56
수정 아이콘
추가로 블리자드 대회참가도 있었네요 ..그날도 프로리그 경기 마친 직후에 바로 갔었죠
저그본좌
07/06/04 10:23
수정 아이콘
저그의 팬으로서 이윤열 선수 그다지 좋아하지는 않았지만, 요새는 이 선수가 예전의 그 선수 맞나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너무나 쉽게 무너지더군요. 정말 안타깝습니다.
Windermere
07/06/04 12:17
수정 아이콘
이윤열

정규리그
07신한프로전기: 14전 7승 7패
곰tv배시즌2_MSL: 2전 2패
daum_OSL: 2전 2패

이벤트전
WWI: 2전 2패(드라코전 제외)
5회 슈파: 2전 2패

정규 18전 7승 11패인데
염보성이 정규 18전 12승 6패입니다.

혹사 문제도 맞는 말, 기량 문제도 맞는 말.
이신근
07/06/04 15:12
수정 아이콘
몰라요몰아요오님 님말투나먼저고치시죠?이거완전싸우잔대요?그리고경기수가 비슷한선수 밑에 Windermere 이님께서 알려주셧네요 됬나요?그리고 찾아보면비슷한선수더 많을겁니다 그리고 이윤열선수정도면 2억이면 많이받음많이 받지 적게받는편은아닐겁니다 임요환선수이후론 2억받는선수가없거든요 마재윤선수도 2억안되고 최연성선수도 2억안되죠 그럼 마재윤 선수는 저번시즌에 한10억은받아야겠네요? 말이되는소리를하죠 님이나 논란을일으킬글쓰시지마시죠 전 윤열선수가 연봉값못한다고한적없고 비중이크다고했을뿐
몽상소년
07/06/04 19:47
수정 아이콘
단순 경기수의 차이가 문제가 아닌 밀도의 차이가 문제죠...;
마..본좌..?
07/06/04 20:08
수정 아이콘
이 글과 리플에 대해서 팬심 언급하는 놀라운 분이 계시네요
07/06/04 20:24
수정 아이콘
이신근/2007년에 몇 전을 했냐가 문제가 아니라, 최근의 경기나 일정의 숫자가 중요한 듯 한데요? 그리고 띄어쓰기 좀 하세요 말투도 좀 그렇네요
07/06/04 20:39
수정 아이콘
Windermere님// 작년 후기리그 끝나고, 개인리그에서 계속 뛴 마재윤 선수나, 이윤열 선수는 그렇게 치면 안되지 않나요? 스케쥴 때문이란 말 하고 싶지 않은데...스케쥴을 일일이 열거 한다면...어쩔 수 없이 반박 글을 쓸 수 밖에 없게 되는 군요.

방송관계자들이 입을 모아, 스케쥴 얘기를 할 정도라는 건...문제가 있다는 뜻이죠. 사실상 이윤열을 프로리그에서 뺄 수 있는 상황이 되지 않는 다는 거 다들 공감하지 않습니까...
07/06/04 20:43
수정 아이콘
몽상소년님// 밀도의 차이라는 말 공감합니다.
이신근
07/06/04 21:08
수정 아이콘
rocta/ 윗글을먼저보시죠 솔직히제가감정이 상해서 이윤열선수를 비하하는거나 그런건아님니다 제가 테란중에서는 이윤열선수를좋아하는편이거든요 하지만 팀탓이나 그런거하시는분들이 보기안좋아서
Windermere
07/06/04 21:40
수정 아이콘
혹사 문제도 맞는 말, 기량 문제도 맞는 말이라고 했습니다.
이신근
07/06/04 22:21
수정 아이콘
님한테 드린말아닙니다 저윗글보시면 말도안되는 말땜에 ..
몰라요몰라요
07/06/04 23:44
수정 아이콘
네 .. 일단 말투부분은 저도 흥분해서 죄송합니다.
위에서 기량하고 경기수 문제는 많이 다루신것 같아서 저는 더 이상 논란 원하지 않아서 제외하고 말할게요.
마재윤선수의 연봉이 지난시즌 10억쯤 되겠다고 하셨는데 그럼 그랜드 슬램시절의 이윤열 선수는 연봉이
20억쯤 받아야하나요..
다른 선수와 비교하는 것 자체가 논란의 대상이 되기 때문에
또한 님이 첫리플에서 다른 선수와 비교하는 것이 이윤열 선수의 팬 입장에서 황당해서..
연봉문제로 물고 늘어지는게 억지일수는 있으나..
굳이 따지자면 이윤열 선수가 그랜드슬램 달성 한 시즌 연봉은 그 정도 되어야하지 않나 하고 생각해보네요..
팀 탓하는건 팬택팀이 좋을 때 이윤열 선수의 기여도를 생각하면 충분히 이해 갈 수 있을 것 같은데..
물론 그만큼의 돈을 줬으니깐 그 돈의 값어치를 해야하는게 당연하지만 그 돈의 값어치를 더 이용하려면 연습상대라던지
지금처럼 해체설이 나온다던지 기업이 해체되기전에 미리미리 팀을 인수해서 선수에게 방해되는게 없어야지요..
막말로.. 이윤열 선수의 몸값을 다른기업이 인수 할 때 받으면 그만이지 않습니까..
감정 상하셨다면 죄송하고 아마 테란중에서 이윤열선수를 좋아하셔서 그런것 같습니다..
저는 이윤열 선수를 제일 좋아하거든요.
부탁드립니다.. 다른선수와 비교하지 말아주세요
이신근
07/06/05 00:03
수정 아이콘
윤열선수요새 힘들어보이는거는저도 느끼네요 근데 남탓하는게너무안좋아보여서요 탓을하려면 자기선수를탓해야죠 팀을탓하거나 그런게안좋아보여서요 누구나 슬럼프는오는거죠 윤열선수라면극복하겠죠머
07/06/05 12:24
수정 아이콘
이신근님// 힘들어 보이는 거 느끼신다고 하셨는데, 어느부분에서 힘들다고 느끼셨나요? 단순히 팀탓을 하는 게 아니라, 그 힘든 부분에 대해서 말하고 있다는 생각은 안해 보셨습니까?

누구탓이다-라고 단정짓기 보다는 근본적인 문제를 따지다보면, 어쩔 수 없이 팀이 안고 있는 문제가 드러나는 것 아닐까요.
07/06/06 01:05
수정 아이콘
이신근/팀탓이 무슨 의미인가요? 다른 선수들이 못해서 그렇다는 건가요? 그런 댓글은 보이지도 않고, 팀의 안 좋은 분위기와 과도한 스케쥴을 따지는 게 안 좋은 건가요? 분명히 몇 개월 전만해도 우승, 준우승한 선수가 갑자기 성적이 안 좋을 때는 그만한 이유를 외부적으로 따지는 게 맞지 않나 싶습니다 지금 상황은 과도한 스케쥴이 우선 크게 작용하고, 팀 분위기도 한 몫 하는 듯 싶군요 기량저하라고는 보이진 않습니다 얼마전만해도 마재윤선수를 다전제에서 이긴 선수가 최근 몇 경기로 기량을 판단할 근거가 되나요? 최근 몇 경기를 치를 때 스케쥴을 보면 충분히 지금의 부진이 이해가 갈 수도 있는 상황입니다 근데 이건 뭐 안티들이 몇 경기 지고 이젠 끝났어 한 물 갔네 하는 정도로 밖에 안 보이는 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3199 [SKT T1] 물러나야할 사람은 선수가 아니라 감독이다 [68] 메카닉저그 혼6769 07/12/14 6769 0
33157 Starcraft Stocks로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26] 프렐루드4609 07/12/12 4609 2
32794 가상으로 보는 올해의 시상식??? [21] 모짜르트3932 07/11/11 3932 0
32766 올드들이 힘겨워하고 사라지는 시점에서. [16] Ma_Cherie6170 07/11/09 6170 1
32735 올드에 대한 생각 [4] Axl3709 07/11/07 3709 1
32475 [FreeBBS]ㅇㅇ/의 독백(4) - 현재형 인간 [2] ㅇㅇ/3818 07/10/24 3818 0
32222 미래가 기대되는 차세대 저그선수 5명 [48] olympus7321 07/10/04 7321 0
32198 평가절하받는 프로리그 에이스들. [113] 파벨네드베드8731 07/10/02 8731 0
31879 내 추억속 스타리그 2002 SKY [28] 아이우를위해5479 07/08/25 5479 0
31531 기업중심의 협회가 보여주는 전략에 관하여 [15] Judas Pain4743 07/07/20 4743 0
31404 e스포츠(스타부분), 결정적이었던 그 순간 [11] Ace of Base4485 07/07/07 4485 0
31361 이영호 선수! 좀 더 지켜볼 수는 없을까? [40] 디럭스봄버6028 07/07/05 6028 0
31293 이영호 선수의 장래가 기대됩니다. [33] Nerion4722 07/06/29 4722 0
31145 댓글잠금 꿀꺽... ... [261] sana8774 07/06/21 8774 0
31099 황제의 뒤를 잇는가? 사라진 대나무류의 부활인가? [7] 하늘유령6926 07/06/17 6926 0
30954 [곰TV 2 소설] 괴로운 선택 #2 - 3 실망, 4 지명, 5 역린 [3] 점쟁이4538 07/06/06 4538 0
30950 [곰TV 2 소설] 괴로운 선택 #1 - 프롤로그, 1 참패, 2 천적과 라이벌 [5] 점쟁이4701 07/06/05 4701 0
30941 팬택, 엔트리의 변화가 너무 간절합니다. [43] NO.76838 07/06/03 6838 0
30493 미스테리한 그녀는 스타크 고수 <예순번째 이야기> [14] 창이♡4050 07/05/03 4050 0
30115 김택용 빌드의 비밀 [40] 체념토스7794 07/03/31 7794 0
30023 기업 스폰은 마약과 같다. [16] 사랑해4241 07/03/11 4241 0
30012 [추리소설] 협회와 IEG는 중계권에 대해서 얼마나 준비를 했을까? [33] 스갤칼럼가5609 07/03/10 5609 0
29997 E-Sport가 무너진다면, 게임계의 미래도 없다고 봅니다. [7] The xian4070 07/03/10 407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