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5/04 22:23:32
Name Leeka
Subject 스타리그 16강 조별 선수들 전적 정리.
A조  마재윤 - 최연성 - 이영호 - 이재호 ( 1저그, 3테란)


마재윤(181전 117승 64패 승률 64.64%)
커리어 - MSL 5회연속 결승진출, OSL 1회우승, MSL 3회우승, 2회 준우승.

최연성(320전 204승 116패 승률 63.75%)
커리어 - OSL 2회우승,  MSL 3회우승

이영호(4전 4승 0패 승률 100%)
커리어 - 최연소 메이저 대회 본선 진출

이재호(63전 32승 31패 승률 50.79%)
커리어 - MSL 8강 진출.


A조 상대 전적

마재윤 VS 최연성(5:0)
마재윤 승 -> MSL 7th Cyon 배 (러시아워2, R-Point, 다크사우론2, 러시아워2,라이드 오브 발키리즈)

마재윤 VS 이재호(1:0)
마재윤 승 -> 신한은행 스타리그 시즌3  24강   (롱기누스 2)

최연성 VS 이재호(0:1)
이재호 승 -> 07년 1차 듀얼토너먼트 (롱기누스2)



B조  이윤열 - 김택용 - 진영수 - 김성기 (3테란, 1플토)

이윤열(493전 309승 184패 승률 62.68%)
커리어 - OSL 3회 우승, 1회 준우승, MSL 3회우승, 3회 준우승


김택용(67전 42승 25패 승률 62.69%)
커리어 - MSL 1회 우승


진영수(110전 62승 48패 승률 56.36%)
커리어 - MSL 1회 4강


김성기(29전 13승 16패 승률 44.83%)
커리어 - OSL 첫 진출


B조 상대전적

이윤열 VS 김택용(공식전 없음. 최근 슈퍼파이트 5회에서 김택용이 1:0으로 승리)

이윤열 VS 진영수(4:1)

이윤열승 -> MBC 무비배 팀리그(인투 더 다크니스2), 스카이 프로리그 2005 후기(러시아워 2), 스카이 프로리그 2006 전기(815-3),  8차 서바이버(디아이)
진영수승 -> 8차 서바이버(815-3)

김택용 VS 진영수(2:0)

김택용 승 -> 곰TV MSL (리버스 템플), 2회 케스파컵(아카디아2)

김택용 VS 김성기(1:0)

김택용 승 -> 06년 2차 듀얼토너먼트(타우크로스)

진영수 VS 김성기(1:1)

진영수 승 -> 05년 3차 듀얼토너먼트(신 815)
김성기 승 -> 06년 1차 듀얼토너먼트(신 815)


C조   변형태 - 박정석 - 서경종 - 원종서 (2테란, 1저그, 1플토)

변형태(148전 80승 68패 승률 54.05%)
커리어 - OSL 1회 4강

박정석(330전 175승 155패 승률 53.03%)
커리어 - OSL 1회 우승, 1회 준우승, MSL 2회 준우승

서경종(38전 17승 21패 승률 44.74%)
커리어 - OSL 첫 진출

원종서(42전 23승 19패 승률 54.76%)
커리어 - MSL 8강

C조 상대전적

서로 공식전 상대전적이 없음.


D조   한동욱 - 신희승 - 김준영 - 송병구 (2테란, 1저그, 1플토)

한동욱(178전 94승 84패 승률 52.81% )
커리어 - OSL 1회 우승

신희승(37전 21승 16패 승률 56.76%)
커리어 - OSL 16강

김준영(128전 67승 61패 승률 52.34%)
커리어 - OSL 16강

송병구(136전 78승 58패 승률 57.35%)
커리어 - OSL 16강


D조 상대 전적

한동욱 VS 김준영(1:0)

한동욱 승 -> 스카이 프로리그 2005 후기(러시아워 2)

한동욱 VS 송병구(0:1)

송병구 승 -> 스카이 프로리그 2005 전기(네오 레퀴엠)

김준영 VS 송병구(3:0)

김준영 승 -> 06 2차 듀얼토너먼트(신백두대간, 타우크로스) 07 1차 듀얼토너먼트(네오 알카노이드)




p.s 특징이라면 마재윤선수는 A조 선수들하고 공식전에서 패배가 없습니다.
김택용 선수는 B조 선수들하고 공식전에서 패배가 없습니다.
C조 선수들끼리는 공식전 전적이 없습니다


틀린점, 빠진점코멘트 부탁드립니다

p.s2 전적, 상대 전적은  KESPA 공식 기록 기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05/04 22:26
수정 아이콘
마재윤선수 상대전적 합쳐서 6:0.... 덜덜덜...
아무튼 이번 시즌도 그저 마재윤선수 김준영선수 화이팅입니다^^
나사람님
07/05/04 22:28
수정 아이콘
마재윤 박정석 파이팅!! 송병구 선수나 김택용 선수도 파이팅!!
The xian
07/05/04 22:32
수정 아이콘
전적 정리 감사합니다. 그림이 좀 그려지는군요.
gerrard17
07/05/04 22:32
수정 아이콘
최연성vs이재호 듀얼경기는 이재호선수 승입니다.
07/05/04 22:33
수정 아이콘
gerrard17님// 방금 수정했습니다 T_T)
태엽시계불태
07/05/04 22:37
수정 아이콘
제가 플토를 좋아해서 그런지 (김택용, 송병구, 박정석) 선수 모두 8강에 올라갔으면 좋겠네요. 그 외에는 마재윤, 이윤열, 신희승 선수가 올라갔으면 좋겠네요
나사람님
07/05/04 22:39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마재윤 선수나 박정석 선수의 우승을 바라긴 합니다만 요즘 송병구 선수 포스가 워낙 대단해서.....벌써부터 설레발치는 것 같아 송병구 선수한테 미안하지만 이번에 최소 4강은 갈 것 같네요.(솔직히 우승할것 같은 포스..) 김택용 선수는 테란전이 약간 불안하다는게(저그전의 절대무적 본좌포스에 비하면 그렇다는 거지만요.) 문제인데 역시 4강까지는 충분히 갈 것 같은 생각이 드네요.
태엽시계불태
07/05/04 22:41
수정 아이콘
정말 송병구 선수 이번 리그에선 기대가 됩니다. 4강에 올라오는 선수가 누구일지 정말 기대가 되네요
올테란이면 이후 경기는 안보렵니다 -_-
꿈트리
07/05/04 22:53
수정 아이콘
좋은 글 잘 봤습니다.
만약 마재윤 선수 나 김택용 선수가 테란만 이기고 우승한다면 드라마 써지겠네요.
07/05/04 22:54
수정 아이콘
마재윤 선수나 이윤열 선수, 최연성 선수는 그만 우승해도 됩니다. ^^

근데, 마재윤, 이윤열, 김택용 이 세 선수가 랭킹 1,2,3위를 차지하고 있어서, 랭킹 변화에 관심이 집중되긴 하네요.
이 세 선수의 행보가 궁금합니다. 과연 어디까지 성적을 낼지~

전적정리 잘하셨네요. 잘 봤습니다.
07/05/04 23:02
수정 아이콘
4강쯤되면 테란 1-2명정도로 정리되어있길 바라면서...

정리 잘하셨네요.
07/05/04 23:40
수정 아이콘
젭알 젭알... 최연성 선수 우승하세요우~~
플토만세
07/05/05 01:01
수정 아이콘
이윤열 선수 493전, 박정석 선수 330전, 최연성 선수 320전
뭔가 연륜이 느껴지는군요. 올드보이들 화이팅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0813 석가탄신일날의 MSL. 떨리네요. [14] SKY926075 07/05/23 6075 0
30811 [곰TV 2 응원] 몽상가 날라토스 - 우리들의 꿈은 아직 끝나지 않았습니다 [13] 점쟁이4978 07/05/23 4978 0
30810 선수별 랭킹을 새롭게 보는 방법. [15] 협회바보 FELIX6223 07/05/23 6223 0
30809 임요환의 고집. [38] H_life11144 07/05/22 11144 0
30807 승리의 성장군! [114] SKY929125 07/05/22 9125 0
30806 스타2 관련 정보 요약 정리. [16] Leeka7473 07/05/22 7473 0
30805 박성준 선수의 이적 연봉에 대해.. [117] JJuNYParK15702 07/05/22 15702 0
30803 온게임넷 챌린지 예선 대진표가 발표 되었네요.(공군 불참) [56] SKY928472 07/05/22 8472 0
30802 전략..(반말체) [3] 6767564564 07/05/22 4564 0
30800 블리자드 2007 WWI - Day 2 현장 후기 [5] kimbilly5478 07/05/22 5478 0
30799 김가을 감독님에 관한 사견입니다 [15] 오맙소사8174 07/05/22 8174 0
30797 이 정도면 DMZ말고 지오메트리를 퇴출시켰어야 하지 않나요?? [24] 김광훈6451 07/05/21 6451 0
30796 슬그머니 올라가는 뒤늦은 WWI 후기 [6] 프렐루드4250 07/05/21 4250 0
30795 스타2 시연화면이 공식홈피에 떴네요. 덧붙여서~ [38] ISUN6257 07/05/21 6257 0
30794 스타크래프트2에 대한 추측. [16] papercut6449 07/05/21 6449 0
30792 이제는 제도보완이 시급한때 [8] JUSTIN4789 07/05/21 4789 0
30790 T1의 프로리그 제2차 싹슬이의 신호탄 박성준 영입 [99] 처음느낌12307 07/05/21 12307 0
30789 [19] 김성수5717 07/05/21 5717 0
30788 박성준선수가 소속될 팀이 발표되기까지 1시간남았습니다. [77] 김연우29628 07/05/21 9628 0
30787 스타2의 조잡함... [59] 전자회로7613 07/05/21 7613 0
30786 다들 스타2에 대해서 이야기할때 스타1을 너무 의식하십니다. [27] KnightBaran.K5297 07/05/21 5297 0
30785 현시점에서 가장 궁금하고 불안한고 기대되는것. [24] cald5576 07/05/21 5576 0
30784 블리자드 2007 WWI - 부사장이 전하는 스타2 기획 의도 [12] kimbilly5130 07/05/21 513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