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3/10 01:44:27
Name The xian
Subject E-Sport가 무너진다면, 게임계의 미래도 없다고 봅니다.
제가 작금의 사태를 걱정하고 있는, 다른 PgR인과 공통적인 이유는 저 자신이 E-Sport 팬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또 하나의 이유는, 제가 몇 개의 글에서 계속적으로 밝혔듯 저는 '게임으로 밥 먹고 사는 사람'이기 때문입니다.

저는 게임을 하는 게 취미고, 내가 좋아하는 것을 하면서 살고 싶으니 게임을 직업으로 삼아 지금까지 하고 있습니다. 글도 돈 받고 가끔 씁니다.
(단... 제 전공은 게임이 아닙니다. 세라믹공학이죠. 정상적으로 학교도 나왔고, 연구도 했습니다. IMF가 다 망치기는 했지만요.)

처음 E-Sport가 태동했을 때에 게임계 내에서는 반기는 인식도 있었지만, 미덥지 못하다는 인식도 있었습니다.
'게임은 스포츠가 될 수 없다'는 생각을 하는 것은 일반인들 뿐만이 아니라 소위 '업계인'들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일년에도 몇백 개씩 피고 지는 게임이, 그 게임을 만드는 개발자 및 업계인들이 스포트라이트를 받는 게 아니라
'프로게이머'들이 스포트라이트를 받고 관심을 가지는 것들을 못마땅해하는 업계인들도 있었습니다.

그리고 몇 년 전, 프로게이머 상무팀 이야기가 나왔을 때, 최근에 임요환 선수를 중심으로 공군팀이 창설되었을 때
그런 분위기는 절정에 달했습니다. 어떻게 보면 일리가 있는 말이고 어떻게 보면 자기 밥그릇 챙기는 소리겠지만,
정말 못할 말로 "그저 게임이나 하는 프로게이머들에게 저런 뒷받침 해주는 것보다, 게임산업을 육성시킬려면
게임산업에 종사하는 이들에 대한 병역특례가 더 늘어나야 하는 게 아닌가? 스타크래프트가 뭐 잘났다고?"라는 말도
게임산업에 종사하는 이들 사이에서 심심찮게 나온 것도 사실입니다.

예. 물론 저는 이런 말에 대해 반대합니다. 게임이 더 알려지려면 '보는 사업'도 발전하고, 게임을 '만들고 파는 사업'도
발전해야 쌍끌이가 되고, 그래서 게임업의 위상이 더 좋아진다고 생각하는데 넓게 보면 같은 게임 업종에서
그런 거 가지고 날 세울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니까요. '바다이야기' 같은 망나니 짓거리만 없다면 말이죠.

그러나 사실, 게임을 만들고 팔아먹는 일은 노동 강도가 높고, 임금은 소수를 빼고는 짜고, 일자리는 늘 부족합니다.
거기에 병역특례제도의 잦은 변경으로 병역특례 얻기가 이젠 거의 불가능할 정도가 되어 버린 상태입니다.
그러기 때문에 그런 말이 나왔던 것이겠고, 게임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폐인 비슷하게 찌들어 가는 것도 사실입니다.

(참고로 이수인님이 펴낸 '게임회사 이야기'라는 만화를 읽어 보시면 제 말에 어느 정도는 공감 가실 것입니다.)

그래서 소위 업계인들은 정상적인 직장인 취급을 잘 못 받습니다. 실제 대우도, 사회적 인식도 그렇습니다.
그런데 - 다른 동종 업계인들은 어찌 생각할지 모르나 - 바다이야기 파문에도 불구하고 게임 업계인들을 이제
'정상적인 직장인'들로 좀 생각하려고 하는 기류가 얼마 전부터 조금씩 형성되어 가고 있습니다.


물론 거기에는 여러 가지 요인이 있습니다. 게임이라는 것이 산업의 형태를 거쳐 가면서 발전해 가는 이유도 있습니다.
대기업들이 - 물론 많이 철수하기도, 물러나기도 하지만 - 게임에 투자를 하는 모습을 보이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E-Sport 역시 그러한 긍정적인 요인 중 하나입니다. 특히 게임과 생활과의 거리를 좁히는 데에 있어서는,
게임이 '나쁜 물건', '악마의 도구'가 아니라 일반 장난감들처럼 '친숙한 도구'가 되도록 친근한 이미지를
전달해 주는 데에 있어서는 E-Sport와 게임방송만큼의 역할을 하는 것이 없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일례로 원희룡 의원 같은 이들이 결승전에 나와서 축사도 하고 인사도 하는 것을 보면 잘 모르던 사람들은 E-Sport나 게임이
'그냥 오락인 줄 알았더니 저런 국회의원들도 인정하는 스포츠구나'라는 생각을 합니다. 믿어지진 않으시겠지만, 실제로요.


그런데 지금 E-Sport 판의 분위기는...... 완전히 개판 오분전입니다. 정치판의 진흙탕 싸움과 다를 바가 없습니다.

이미 다른 스포츠에서 정치화된 협회 지도자, 임원, 정치화된 구단의 행태를 비난하고, 그런 스포츠에 환멸을 느끼고,
어떤 이는 정을 끊지 못해서 보기는 보지만 욕하면서 보고, 어떤 이는 눈물을 흘리면서 관심을 끊어 버리는 일들은
우리 주위에서 많이 볼 수 있고 PgR에서조차 그런 스포츠 팬들끼리 언쟁이 일어나기도 했었습니다.
그렇기에 언론조작의 의심이 가는 일들이 일어나고 방송사와 타협하지 않으려는 KeSPA의 모습에 분개하는 것은
다른 스포츠의 예를 들어도 당연한 일일 것입니다.

게임업계로 따져도 마찬가지입니다. 작년, 게임업계를 뒤흔들어 버린 정치판으로 비화된 '바다이야기'의 상흔이
아직 채 가시지도 않았습니다. 그런데 E-Sport가 다시 정치판과 다름 없는 모습을 보입니다. 의욕 상실은 기본입니다.
이미 E-Sport가 가졌던 좋은 이미지들은 상당 부분 큰 상처를 입었고 설령 여기에서 잘 매조지된다 해도 그런 상흔은
회복할 수 없을지도 모릅니다. 게임계 역시 E-Sport의 흐름에 따라 그 좋은 이미지, 좋지 않은 이미지를 그대로 이어받아
가지고 시장에 나가게 됩니다. 더욱이 게임 방송사의 입지가 좁아지거나 유명무실해지게 되면, 수많은 게임들이 난립하는
지금의 상황에서 자신의 게임들이 전파 한 번 타 보지도 못하고 묻히거나, 잊혀져 버리는 일도 생기고 맙니다.



이렇게 E-Sport가 파국을 맞든 말든, 한쪽이 상처투성이가 되든 말든, 협회의 정치논리대로 그대로 흘러가게 된다면.

결국 게임업계에 대한 이미지 역시 점점 다른 산업에 비해 묻혀지게 되고, 선전할 수단도 없어지게 되며,
게임이 진정 문화로서 자리잡고 건전한 놀이로서 자리잡는 날은 점점 더 멀어지게 될 것이 뻔하기 때문입니다.



순수한 팬으로서만 이 곳을 찾는 분들과 달리, E-Sport를 팬심만으로 좋아할 수 없는 제 처지가 여러분들께 미안하고, 아쉽습니다.

그러나 팬심이 아니더라도, 지금까지 말했던 말처럼 저는 E-Sport가 지금과 같은 길을 걷는 게 너무도 안타깝고
너무도 원통한 이유가 있습니다. 게임 사업이라는 것의 특성이 그렇다 보니 정치 논리는 필수 불가결할지 모르나,
돈과 권력밖에 모르는 자들의 정치논리로 인해 저의 꿈과, 인생과, 젊은 날을 바친 게임업계가, 그리고 저의 미래가
다시 이전처럼 음지에서 헤어나오지 못하게 되고 나락으로 굴러떨어지는 광경은 절대로 보고 싶지 않기 때문입니다.


게임업계. 몇 년 전부터 위기론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선진국들의 품질을 따라잡기는 요원하다는 말이 나오고,
중국에 회사가 먹히고 게임 소스가 해킹 당하다 못해 이제는 게임에서 따라잡힌다는 소리가 슬슬 나오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E-Sport까지 무너지면, 제가 보는 게임계의 시계(視界)는.


제로입니다.



- The xian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겨울나기
07/03/10 01:52
수정 아이콘
매번 좋은 글 감사합니다.
[군][임]
07/03/10 01:54
수정 아이콘
정말 좋은 글이군요.
티라미스
07/03/10 01:56
수정 아이콘
정말 안타깝습니다.
07/03/10 02:15
수정 아이콘
눈물이 나올라고 하네요. 그렇죠. 정치판과 하나도 다른게 없는 협회. 어떻게 보면 또 다른 우리의 모습일지도 모르죠. e 스포츠와 게임방송이 망하면 게임업계는 큰 타격이죠. 엠겜온겜도 스타의 굴레를 벗어나 e스포츠를 아우를수 있는 콘텐츠를 만들어 갔으면 좋을텐데, 엠겜온겜이 없어진다면 ㅠㅠ 생각하기도 싫습니다.
자유로운
07/03/10 02:15
수정 아이콘
온게임넷이 위대한 이유는 게임에 대한 인식을 여기까지 바꾸었다는데 있지요. 그런데 그런 위대한 업적을 아주 멋지게 협회가 부술거 같아서 답답할 뿐입니다.
07/03/10 07:02
수정 아이콘
좋은 글입니다.

협회는 잘 못 생각하고 있는 겁니다.
다른 스포츠를 봐도, 어디서 중계를 하든...시덥잖은 중계는 안합니다.
협회는 뭘 믿고, 전문적인 방송사를 배제하는 걸까요.

방송경기...그것도 생방송으로 봐야 한다는 걸...비웃고 있는 듯 합니다.
그렇게까지 안해도...볼 사람은 다 본다-라는 마인드 겠죠.

왜 방송사들이 경기가 새벽까지이어지더라도 생방을 고집하는지...그 간단한 이치마저도 못 깨닫고 말이죠.
07/03/10 13:01
수정 아이콘
글을 읽을수록 작금의 사태가 현실이라는 생각이 자꾸 들기 때문인지 안타까움을 금할 수 없습니다. 정말 정치판을 보는 것 같다는 생각도 들구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3199 [SKT T1] 물러나야할 사람은 선수가 아니라 감독이다 [68] 메카닉저그 혼6769 07/12/14 6769 0
33157 Starcraft Stocks로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26] 프렐루드4609 07/12/12 4609 2
32794 가상으로 보는 올해의 시상식??? [21] 모짜르트3932 07/11/11 3932 0
32766 올드들이 힘겨워하고 사라지는 시점에서. [16] Ma_Cherie6170 07/11/09 6170 1
32735 올드에 대한 생각 [4] Axl3709 07/11/07 3709 1
32475 [FreeBBS]ㅇㅇ/의 독백(4) - 현재형 인간 [2] ㅇㅇ/3818 07/10/24 3818 0
32222 미래가 기대되는 차세대 저그선수 5명 [48] olympus7321 07/10/04 7321 0
32198 평가절하받는 프로리그 에이스들. [113] 파벨네드베드8731 07/10/02 8731 0
31879 내 추억속 스타리그 2002 SKY [28] 아이우를위해5479 07/08/25 5479 0
31531 기업중심의 협회가 보여주는 전략에 관하여 [15] Judas Pain4744 07/07/20 4744 0
31404 e스포츠(스타부분), 결정적이었던 그 순간 [11] Ace of Base4485 07/07/07 4485 0
31361 이영호 선수! 좀 더 지켜볼 수는 없을까? [40] 디럭스봄버6029 07/07/05 6029 0
31293 이영호 선수의 장래가 기대됩니다. [33] Nerion4722 07/06/29 4722 0
31145 댓글잠금 꿀꺽... ... [261] sana8774 07/06/21 8774 0
31099 황제의 뒤를 잇는가? 사라진 대나무류의 부활인가? [7] 하늘유령6926 07/06/17 6926 0
30954 [곰TV 2 소설] 괴로운 선택 #2 - 3 실망, 4 지명, 5 역린 [3] 점쟁이4538 07/06/06 4538 0
30950 [곰TV 2 소설] 괴로운 선택 #1 - 프롤로그, 1 참패, 2 천적과 라이벌 [5] 점쟁이4701 07/06/05 4701 0
30941 팬택, 엔트리의 변화가 너무 간절합니다. [43] NO.76838 07/06/03 6838 0
30493 미스테리한 그녀는 스타크 고수 <예순번째 이야기> [14] 창이♡4050 07/05/03 4050 0
30115 김택용 빌드의 비밀 [40] 체념토스7794 07/03/31 7794 0
30023 기업 스폰은 마약과 같다. [16] 사랑해4241 07/03/11 4241 0
30012 [추리소설] 협회와 IEG는 중계권에 대해서 얼마나 준비를 했을까? [33] 스갤칼럼가5609 07/03/10 5609 0
29997 E-Sport가 무너진다면, 게임계의 미래도 없다고 봅니다. [7] The xian4071 07/03/10 407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