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4/03/15 21:33:52
Name 총알이 모자라.
Subject 공상비과학대전 - 디파일러, 드러운 넘
공상비과학대전입니다. 저그를 분석할때마다 더러운  쪽으로 결론이 나 저그  유저 분들

께 죄송했는데 이번엔 아예 제목부터 드러운 넘으로 정했습니다. 디파일러의 의미가  더럽

히다, 신성을 모독하다 등의 명사형이므로 제목 그대로 하자면 드러운 넘이 되지 않을까

하는 의미로 제목을 붙였습니다. 디파일러를 사랑하시는 유저들께는 죄송!!!

오늘은 플레이그와 컨슘 이야기입니다.

Plague (플레이그)
단축키: <G>
디파일러는 부식성 구를 적 주변에 터뜨려 짙은 구름을 만들어 낼 수 있다. 극히 유독한 이 구름은 그 안에 갇힌 모든 것을 부식시킨다.

Consume (콘슘)
단축키: <C>
에너지가 떨어진 디파일러는 때로는 다른 저그 족을 잡아먹음으로써 잃어버린 에너지를  보충한다. 은하계 내의 대부분은 문명화된 저그 족의 이러한 습성을 역겹게 여기지만,  그들의 행동은 대단히 효과적인 전술임이 증명되었다.

다크스웜보다는 활용도에서는 덜하지만 만만치 않은 공격  전술중 하나인 플레이그, 그리

고 최단시간 내에 에너지를 보충하는 기술 콘슘! 먼저 플레이그를 분석해 보죠.

플레이그는 적의 유닛의 체력을 1로 만드는 기술입니다. 다른 공격유닛과 조화를 이루면

최강의 조합 중 하나죠. 매뉴얼의 내용으로 볼 때 부식시킨 다는 표현이 있는데 이를 통해

생각 할 수 있는 성분은  산입니다. 예전에 저그의 공중유닛들의 무기인  산을 분석해 보았

을 때도 말씀드렸지만 산은 공격무기로 쓰기에  적당한 것은 아닙니다. 적에게  피해를 입

히기 위해서는 많은 양이 필요하고 상대적으로 대처하기도 쉽습니다. 그때  대 저그전 테

란의 최고 무기는 황금 베슬임을 밝힌바 있습니다. 금이 산에 대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이었죠. 그런데 플레이그는 다른 산을 쓰는 유닛들과는 다르게 저그의 최고 테크 유닛

입니다. 거기다 기술을 따로 개발해야만 합니다. 그런데도 똑같은 산을  쓴다면 뭔가 손해

보는 느낌이랄까? 그래서 이번엔 미생물 쪽으로 눈을 돌려보겠습니다.  아무래도 산보다

는 미생물이 더러운 느낌이 좀더 강한 듯해서... 다들 아시겠지만 철을 분해하는 박테리아

나 원유를 분해하는 미생물 등이 발견, 연구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우주 어딘가에 무엇이

든 부식시키는  미생물이 있다고 해도 그리 문제라는 생각은 들지 않는군요..-무척 비과학

적인 주장임..- 어쨌든 플레이그의 정체는 미생물 덩어리입니다. 적의  표면에 뿌려진 순

간 그것이  무엇이건 간에 부식시키는 거죠. 뭐, 속도가 문제일 뿐 미생물들이 여러 가지

를 부식시키는 건 사실이니 타당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왜 1을 남겨 놓는가? 하는

겁니다. 이왕 시간과 자원을 들여 개발했으면 아예 끝장을 봐야지, 마치 몇 년을 공들인  

연인에게 마지막 순간에 말도 못 붙이고 돌아서는 느낌이랄까? 거기다 상대가 같은 저그

일 경우에는 치명타가 될 수 있을지 모르지만, 테란은 고치면 되고, 프로토스는 쉴드는 까

닥  없으니 많이 손해나는 느낌입니다.

나름대로 고민 한 결과-약 10초- 미생물이 무엇인가를  분해하는 건 영양분을 얻기 위해서

입니다. 즉 배가 부르면 더 이상 분해 활동을 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플레이그가 상대의  

체력을 남겨 놓는 것은 배가  부르기 때문입니다. 저그의 오버마인드가 그  점에 신경 쓴다

면 사이오닉 스톰을 능가하는 플레이그 스톰을 만들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이제 컨슘을 논해보죠. 컨슘은 자기종족을 잡아먹어 마나를 채우는 기술입니다. 그런데 이

왕 돈과 시간을 들였으면 자기종족 보다는 적을 잡아먹는  것이 여러모로 볼 때 훨씬 좋을

듯 합니다. 그리고 과학적으로 볼 때도 무언가를 먹어서 에너지를  채우는 것이 그렇게 순

간적으로 일어나는 것은 납득하기 힘듭니다. 같은 종족이라도 무엇을  먹는다는 건 소화

활동이 필요하고 소화 활동에는 어느 정도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그런데도  이런 상식을

깨는 디파일러의 능력은 가히 가공 할 만 합니다. 동방불패라는 영화에 나온 흡정대법도

디파일러에게는 새발의 피입니다. 무언가를 삼키는 것과 동시에 에너지로 만들 수 있다면

디파일러의 소화 능력은 가히  우주 최강이라고 할 만 합니다.  그런데도 만만한 자기 종족

만 잡아먹고 있으니 차라리 테란이나 프로토스의 유닛으로 입맛을 바꿀 것을 신중히 권합

니다. 만일 플레이그 스톰을 쓰고 적의 유닛으로 컨슘하는 디파일러가 된다면 더 이상 저

그의 암울기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디파일러,  당신에게 저그의 미래가 달려  있소. 입맛

좀 바꾸기만 한다면.... 드러운 넘이 아닌 무서운 넘이 될 텐데...

제가 이번 로또에 당첨되었습니다. 푸하하!!!  무려 105,000원 오늘 은행에서 돈  찾아오는데 그 묘한 기분이란... 그래서 그런지 분석은 안되고 횡설수설했네요. 아무튼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저그맨
04/03/15 21:40
수정 아이콘
10만5천.. 우와.. 로또당첨이라.. 좋으시겠네요^^
이런 공상비과학대전..... 총알님은 참 과학에 대해 지식이
풍부하신것 같다는 기분이.....;;
04/03/15 22:25
수정 아이콘
우와;;;
부럽습니다ㅠ.ㅠ
저 바람막이 하나만 ^^;;
하여튼 빨리 업데이트 돼니까 좋네용^^
프토 of 낭만
04/03/15 22:30
수정 아이콘
공상비과학대전을 쓴 댓가라고 생각되어지네요^^ 축하합니다.
디파일러.... 지금도 강력한데 ㅠ.ㅠ
GrandBleU
04/03/15 23:17
수정 아이콘
흠냐 저희가 그 당첨금을 컨슘해도 될까요 흐흐
베르커드
04/03/15 23:29
수정 아이콘
오류가 하나 ==; 플레이그 대미지는 방어무시로 290 정도인걸로 압니다
immortal
04/03/16 10:09
수정 아이콘
허걱~ 꿈의 4등...축하드립니다.
디파일러만 잘써도 승률이 조금은 더 오를텐데...ㅠ.ㅠ
뽑아놓고 애완용으로만 쓰니...
올빼미
04/03/16 12:21
수정 아이콘
축하드립니다.^^
개인적으로 플레이그는 기생충...아니 기생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가장 성공적인 개생물은 숙주를 죽이지는 않다는 이유로^^
vividvoyage
04/03/16 14:50
수정 아이콘
에너지가 2일 때 플레이그를 맞는 기쁨이란... ^^;
바나나 우유 먹으면서 보는데 '더럽다'는 표현... 쿨럭;
ChRh열혈팬
04/03/16 16:28
수정 아이콘
흠~ 에너지를 무조건 1로 만드는게 아니라, 일정 체력을 깍게 하는겁니다. 예를들어 하이브에 플레이그를 뿌려도 체력이 1이 남지 않습니다. 스타크래프트 팁에는 300이라고 나와있는데, 실제론 그 이상될듯 합니다ㅇㅇ;
강은희
04/03/16 17:07
수정 아이콘
유닛은 맞으면 1남지않나요?? 배틀한테는 안쏴봐서 모르겠네. 아무튼 맞으면 상당히 기분 더러움 ㅡ.ㅡ..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933 새로운 게임리그의 미래를 보길 희망하며... [9] 신촌졸라맨3172 04/09/30 3172 0
6390 KTF 이대로는 안된다. [30] 깡~4401 04/07/27 4401 0
6383 프로게이머의 다년 계약이 의미하는 바는? [14] 生가필드5080 04/07/26 5080 0
6209 [생각보다 긴 글]결전, 전야 [7] kama4174 04/07/20 4174 0
6116 2004년 7월 17일. 부산 광안리에서 증명된 E-SPORTS의 존재. [13] 윤여광4517 04/07/18 4517 0
5848 제멋대로 해석하는 도덕경 (1) [12] 라뉘3375 04/07/07 3375 0
5378 PGR, 스스로를 사랑하자!! [34] 종합백과3110 04/06/21 3110 0
5372 이 게시판을 보면서 현재 가장 아쉬운 것은.. [1] BoxeR'fan'2904 04/06/21 2904 0
5296 나의 사랑 박서... [40] 메딕사랑4340 04/06/18 4340 0
4902 [장편] 희망을 받는 사나이 Vol. #24 (완결) [42] 막군4133 04/06/01 4133 0
4622 스포츠와 e스포츠를 보다 느낀바있어 넋두리.. [2] djgiga3158 04/05/20 3158 0
4619 [잡담]프로게이머의 미래,, [10] 여천의군주3356 04/05/20 3356 0
4597 리니지와 스타의 아련한 추억 그리고 피씨방 [잡담] [6] 김태성3419 04/05/19 3419 0
4337 [잡설]프로게임단에도 단장이 생긴다면? [8] crazygal3121 04/05/07 3121 0
3764 오늘에서야 알게된 홍진호선수의 이적. [21] 오노액션4786 04/04/15 4786 0
3735 스타계에 대한 우리의 '감정'도 소중하지 않습니까? [15] 호 떡3285 04/04/14 3285 0
3494 미래에 관한 이야기 [1] CasioToSs2982 04/04/05 2982 0
3488 나의 꿈... [12] 뜨리커풀2947 04/04/05 2947 0
2903 [펌]어느 물리학자가 보는 이공계 위기의 본질 [13] 고스트스테이3049 04/03/15 3049 0
2901 공상비과학대전 - 디파일러, 드러운 넘 [10] 총알이 모자라.3231 04/03/15 3231 0
2749 긍정적인 마음의 힘을 강변하는 어느 과학서적의 글.. [6] i_terran3107 04/03/08 3107 0
2670 백범 김구 선생은 친북주의자였다??? [38] 어딘데4101 04/03/05 4101 0
1585 現,前 게이머및 케스터 그리고 감독들 등등....(3) [17] CopyLeft4275 04/02/01 4275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