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6/07/23 02:08:36
Name 명랑
Subject [SKY 프로리그 2006 전기리그] SKT vs MBC in 광안리.. 결승의 포인트들
드디어 2006년 상반기, 치열했던 프로리그가 결승전만을 앞두고 있습니다. CJ의 팬으로서는 CJ가 결승을 가지 못했다는 것이 너무너무너무너무너무너무 아쉽지만(!) 한 번 더욱 더 재미있는 결승전이 되고자 한 번 이번 결승전의 포인트가 될 수 있는 점들을 정리해볼까 합니다.

#1. Key Player
두 팀의 키 플레이어를 한 번 예상해보면 아무래도 고인규/염보성 선수가 될 것 같습니다.  고인규 선수는 여러 선수가 고루 출전하는 T1의 엔트리 특성에도 불구하고 T1 내에 가장 많은 출전(6경기)을 한 선수였고 염보성 선수는 무려 40경기 중 11경기나 출전하였던 선수입니다. 물론 두 선수 모두 성적도 괜찮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이번 결승의 관건 중 하나는 과연 두 선수가 어디에서 출전하여 승리를 하느냐 일 것입니다.

#2,. 팀플
올해 들어 개인전/팀플레이 중복 출전이 금지가 되면서 PS에 최소 8선수가 출전해야한다는 것은 부담이 아닐 수가 없습니다. 지난 PO때도 CJ가 바로 여기에 발목이 잡혀(저는 팀플레이 엔트리는 확실히 CJ가 밀렸다고 생각했습니다.-ㅅ-) 탈락의 고배를 마셨죠. 그렇기 때문에 팀플레이 멤버의 선정 또한 결승의 중요 포인트 중 하나가 될 것입니다.
MBC는 총 14번의 엔트리 중에 Z/P를 11회(나머지 3회는 T/Z)나 사용했고 SKT는 망월에서는 Z/P 3회(다른 조합 각각 1회), 철의 장막에서는 T/Z 3회, Z/P 2회를 기용하는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저는 아무래도 2경기 모두 양팀 다 Z/P를 사용할 것 같은데 여러분은 어떠세요? 그리고 과연 팀플에는 어떤 선수들이 출전할까요?

#3. SKT 비장의 카드
SKT는 앞서 잠시 말했지만 모든 선수를 골고루 기용하는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그간 개인전에 출전한 10명의 선수 중 5명의 선수가 32경기 중 반 이상을 소화해 내는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다출전 순서대로는 고인규 - 김성제 - 박태민 - 전상욱 - 임요환 선수이구요. 그런데... SKT에는 아직 숨겨진 카드가 있습니다. 바로 최연성 선수이죠. 최연성 선수는 개인전에서는 3번 출전했고 2번은 팀플에 출전했습니다. 전체 2승 3패의 그다지 좋은 성적은 아니고 요즘 많은 분들이 최연성 선수를 슬럼프라고 이야기하지만 이 선수가 분명 강한 선수임은 확실합니다. 분명 어느 한 경기는 출전하지 않을까요? MBC는 이 점을 절대 간과해서는 안될 것입니다.

#4. 박태민, 저그전
박태민 선수는 이번 시즌 4번 출전했습니다. 1번은 취소가 되었구요. 그런데 특징을 살펴보면 한 번을 제외한 나머지 4번의 상대종족이 모두 저그전이었다는 것입니다. 전적은 2승 1패 1취소. 글쎄요... 주훈 감독이 일부러 저그전을 (저그전을 꽤 잘하는, 요즘은 뜸한감이 있지만)박태민 선수에게 맡기는 것은 아닐까요? 만약 이번 결승에 박태민 선수가 나온다면, 정말 저그전이 되어버린다면... 글쎄요.... 더욱 머리가 아픈 것은 (에결에 쓰이는 디아이를 제외하고) 박태민 선수는 가리는 맵이 없었습니다.

이 정도가 제가 정리한 이번 결승의 포인트들입니다. 다음에 로스터가 뜬다면 한번 엔트리까지 예상해보죠, 히히^^

여러분들은 이번 결승의 포인트는 과연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덧붙임1) #5. 김태형 해설위원.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가츠좋아^^
06/07/23 02:12
수정 아이콘
김태형 해설위원+파포+성준모기자의 3단 콤보.
06/07/23 02:13
수정 아이콘
엠비씨 입장에선 일단 스튜디오하고는 비교도 안될정도의 엄청난 관중 앞에서 긴장않고 제실력을 발휘할 수 있는가가 문제겠고..

T1의 입장에서 필승 구도는 이거라고 봅니다.
첫 경기 승리 & 대 염보성전 승리(첫경기에서 염보성 선수 잡으면 그야말로 최상이랄까.ㅡㅡa)
HerOMarinE[MCM]
06/07/23 10:39
수정 아이콘
티원에서는 상대선수로서는 누가 나오든 최상의 카드는 전상욱 선수.. 차선책으로서는 최연성 선수가 되겠네요. 어떤분 말대로 가장 과소평가되는 게이머는 전상욱 선수인듯...프로리그에서 당최 지지를 않죠.
영혼의 귀천
06/07/23 11:13
수정 아이콘
5번.. 결정적이군요..-ㅅ-;;;


사실 윗 글에서 티원 엔트리를 많은 분들께서 구성해 주셨는데, 팬들이 예상하는 대로 엔트리가 짜여진다면 티원은 질 것 같습니다.
팬들이 예상한다는 건 히어로즈 코치나 감독진에서도 무난히 예상가능하다는 건데(히어로즈 코치님 무서워요~!!) 그 정도는 히어로즈에서 얼마든지 대비가능할 것 같습니다.
06/07/23 11:52
수정 아이콘
제목과는 다르게 T1입장에서 보는 결승포인트인데요 MBC입장에 글은 별로안보이는듯
난언제나..
06/07/23 12:27
수정 아이콘
5번 무섭습니다.
최연성선수는 프로리그 결승전에서 정말 강한선수 같은데..
극렬진
06/07/23 16:13
수정 아이콘
서형석코치 vs 박용욱코치의 두뇌싸움..도 만만치 않을거 같습니다..
06/07/23 16:34
수정 아이콘
PeRsoNa//에.. MBC입장에서 신경써야할 부분이 아닐까 해서 쓴건데.. T1입장으로 생각해보니 또 그런것 같기도 한 것 같기도 하고-ㅅ-;;;
HerOMarinE[MCM]//맞아요; 전상욱 선수 4번출전해서 전승인데;;;;
HirosueMooN
06/07/23 17:27
수정 아이콘
극렬진/// 박용운 코치겠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4844 또 한 명의 축구 선수가 떠나는군요. [25] GutsGundam6624 06/08/05 6624 0
24842 [잡담] 잔고없는인생 [8] chlrkdgml4663 06/08/05 4663 0
24814 iRC PgR21 채널의 활성화와 음악방송에 대하여 [26] 캐럿.5694 06/08/04 5694 0
24841 WCG맵을 개인리그나 프로리그에 쓸 수는 없나요?? [15] intotheWWE5794 06/08/05 5794 0
24840 현재 WCG 2006 스타크래프트 부문 최종 선발전 8강 상황 [310] SKY928896 06/08/05 8896 0
24839 투싼배 팀리그 결승 [48] jgooon6950 06/08/05 6950 0
24838 오늘 WCG 경기.. [37] K.DD4895 06/08/05 4895 0
24836 차범근 선수에 대한 여러 기록들과 오해 -1 [35] hwang1813000 06/08/05 13000 0
24835 성큰 사정거리의 미스테리 [21] 세실7320 06/08/05 7320 0
24834 [소설] 殲 - 1. 시작 [1] 퉤퉤우엑우엑4473 06/08/05 4473 0
24833 새벽에 맨유 경기를 보면서 박지성 ㅠ_ㅠ [32] 아크6699 06/08/05 6699 0
24832 온게임넷의 장점 [23] K.DD6493 06/08/05 6493 0
24831 2006년 상반기가 남긴 기록들 [10] 백야5158 06/08/05 5158 0
24830 현재의 E-Sports 스타계? [25] Adada5381 06/08/04 5381 0
24829 덕수옹의 굴욕 ㅜ.ㅜ [9] 어딘데4754 06/08/04 4754 0
24828 [sylent의 B급 토크] 오르가즘의 미학, 박경락 [33] sylent8109 06/08/04 8109 0
24826 인간 안기효 [21] 김연우5915 06/08/04 5915 0
24825 내일부터 시작되는 국가대표를 뽑는 치열한 일전!!! WCG 2006 최종 선발전! [15] SKY924702 06/08/04 4702 0
24824 [제안] 평점게시판에 경기에도 평점을 매겨 보는 것은 어떨까요? [4] 케타로4341 06/08/04 4341 0
24823 [소설] 殲 - Prologue [3] 퉤퉤우엑우엑4525 06/08/04 4525 0
24822 개척시대에서 테vs프 경기들을 보고 생각한점... [10] Revenger4518 06/08/04 4518 0
24821 스타크래프트 UDP에 대해서... [11] 마스터10638 06/08/04 10638 0
24820 듀얼토너먼트 G조!! [259] anistar5779 06/08/04 577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