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6/05/11 18:22:28
Name 김인태
Subject 가족이 곁에 있다는 것.
조교를 맡고 있는 학부 수업 때문에 밤을 새웠더랬습니다.
아침 쯤 일을 끝내고 잠들지 않겠다는 일념으로 pgr를 들락거리며,
그렇게 세상에서 젤 무거운 눈꺼풀과 사투를 벌이는 아침이었습니다.
침대에 누우면 잠이 들까봐, 계속 의자에 앉아서 깨작거리다가,
결국은 참지 못하고 몸이 먼저 잠들어버려서 졸게 되었습니다.
흔히 말하는 꿀맛같은 10여분의 시간을 보내게됐죠.

"엄마~ 나 30분 있다가 깨워줘~, ZZZZZzzzzzzz....."
"엄마~ 내일 오전에 약속있으니까 7시 쯤에 깨워줘~."
"엄마~ 나 혹시 공부하다 잠들면 때려패서라도 깨워줘. 1s4t5t6t8o9i~~~~유 니드어 메디컬 이머전시? 고고고"
"엄마~ 새벽에 박찬호 공 던지니까 4시에 깨워줘~."

문득 엄마가, 그리고 가족이 너무 보고싶었습니다.
석탄일~일요일 연휴를 간만에 고향에서 보냈는데도 너무 보고싶더랬습니다.
피곤할 때, "1시간 있다가 깨워줘"라는 말을 남기고,
어김없이 1시간 후에 절 깨워줄 엄마를 믿으며 잠들 수 있었던 그런 모습이 너무 그리웠습니다.

가족과 떨어져 혼자 객지에서 지낸지 만 6년이 지났네요.
갑자기 한 번씩, 아빠, 엄마, 누나가 가슴에 사무치도록 보고싶을 때가 있습니다.
그리고 고향에 두고온 영희 순이 은영이 진경이 선주 은숙이 민아...... 도 너무 보고 싶.. 컥! 헉! <- 삭제

저처럼 가족과 떨어져 혼자 살아가시는 분들은 오늘 제 기분 잘 아시겠죠.
가족이 곁에 있다는 것- 제가 믿을 수 있고, 저를 믿어주는 그런 가족이 곁에 있다는 것.
붙어 있으면 지지고 볶고 싸우더라도 1시간도 안 돼서 같이 웃을 수 있는 그런 가족이 곁에 있다는 것.
...'가족이 곁에 있다는 것' 얼마나 소중한 축복인지 느끼게 되는 하루였습니다.

가정의 달이라 그런가요? ㅆㄹ부대에 입대해서 그런가요?
엄마랑 아빠랑 누나랑 같이 살던 흙투성이 어린 시절이 많이 그립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The Drizzle
06/05/11 18:33
수정 아이콘
음... 저는 '깨워주세요~' 는 못해봤지만... 그래도 가족이 곁에 있다는 것이 정말 소중하다는 것을 떨어져 살면서 느끼게 되네요.

특히 밥을 먹을때, 그리고 아플때 가장 가족생각이 많이 나더라구요. 우리집의 김치맛, 된장맛... 이런것들이 그립고...[그래서 항상 집에 내려가면 된장과 김치만 잔뜩 먹고 옵니다.]
夢[Yume]
06/05/11 18:35
수정 아이콘
객지생활 하는도중에
몸도 마음도 힘들때
어머님의 "아들~"목소리가 너무나 듣고싶은적이 있었답니다..
Silent...
06/05/11 18:39
수정 아이콘
전 아직 가족과 떨어져 있서 본적이 없어서 잘은 모르겠지만 글쓴님의 심정을 알것도 같네요... 그나저나 인태님의 유게글은 정말 이해안되요 --;;
아레스
06/05/11 18:49
수정 아이콘
제 애인이 엄마가 없습니다..
간혹, 공익광고같은데서라도 "아무리 힘들지만, 엄마가 있어서 행복해요"라는 문구만나와도 가슴이 많이 아픕니다..
가족의 소중함은 없을때 더 표시나는것같아요..
느림보
06/05/11 19:03
수정 아이콘
저는 부모님과 떨어져 5년넘게 지났는데..솔직히 처음 1달정도 제외하면 아무렇지도 않더군요..;; 불효자라 그런가..ㅡㅡ
06/05/11 19:14
수정 아이콘
덕분에 부모님께 안부 전화 드렸네요..
이럴때만 생각나는 불효자..ㅠㅠㅠㅠ
김인태
06/05/11 19:25
수정 아이콘
Silent...님, 이해하려 하지 마세요. 이해하는 순간 주변사람들로 부터 유머 없다고 '따'당하실 지도 몰라요.
밀가리
06/05/11 20:14
수정 아이콘
유학생입장으로 공감되는 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3237 첫 평점 매기기의 느낌. [20] 산적3585 06/05/14 3585 0
23236 최강.천재.이윤열선수.... 아쉽네요 [43] 베컴6152 06/05/14 6152 0
23235 오늘 온게임넷 김원기vs이윤열 선수 해설은 어땠습니까? [156] RedStrAp9386 06/05/14 9386 0
23233 내가 사랑하는 Q&A게시판. [3] Q&A"글설리"3969 06/05/14 3969 0
23232 영화 "손님은 왕이다"를 보고...(꼭 영화 본 분들만 봐주세요.) [5] 깐따삐야13060 06/05/14 13060 0
23230 무섭게 변해버린 ktf [27] 올빼미5179 06/05/14 5179 0
23228 ★ PgR 평점시스템 평가위원 공지(수정) ★ [41] 메딕아빠4989 06/05/13 4989 0
23227 어제 벌어졌던 희대의 명승부. FA컵 결승전-다들 보셨나요...? [25] Wanderer4383 06/05/14 4383 0
23226 KOR이 좋다..^^ [15] may0544435 06/05/14 4435 0
23225 테니스와 스타크레프트 [19] 낭만토스4034 06/05/14 4034 0
23223 응원하던 선수의 은퇴는..... [9] Finale3402 06/05/14 3402 0
23221 착!착!착! CJ~♡ [26] 호수청년4488 06/05/14 4488 0
23220 [sylent의 B급칼럼] <백두대간>에 침을 뱉어라? [19] sylent5442 06/05/14 5442 0
23219 난 기대한다... 당신이 반드시 성공하길.... [12] Solo_me3807 06/05/14 3807 0
23217 5월 31일은 투표하는 날입니다. [29] 로망 프로토스3604 06/05/13 3604 0
23216 즐겁게 맞이할 주말이 왔습니다. [6] Cazellnu4101 06/05/13 4101 0
23215 황제....... 러시아워에서 괴물을 잡아라!!! [16] SKY926507 06/05/13 6507 0
23214 대한민국 월드컵 도전사와 독일에서의 16강 가능성 [52] 바둑왕3587 06/05/13 3587 0
23212 815에서의 박명수 선수... [29] 김인태4778 06/05/13 4778 0
23210 빌드 간의 상성 차이를 과연 실력으로 벌충할 수 있는 걸까요? [203] 수달슈댤6373 06/05/13 6373 0
23209 공중파MBC 심야스페셜 "황금알을 낳는 승부사, 프로게이머의 힘"방송안내 [5] 마술사4577 06/05/13 4577 0
23207 난 나의 글을 이렇게 쓰고자 한다. [3] sAdteRraN3879 06/05/13 3879 0
23205 답답한 마음에 - 황우석 박사 관련 [61] 루나파파4597 06/05/13 459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