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6/03/07 19:42:59
Name 泳昊
Subject [잡담]가식이라는 것
얼마전에 피지알 가족중 피지알에 염증을 느껴 떠나겠다고 하신 글을 읽었습니다.

이유인 즉슨, 피지알이 스갤이나 여타 커뮤니티에 비해 가식적이다는 것인데,

피지알을 너무나도 사랑하는 한 사람으로 참 가슴이 많이 아팠습니다.

가식 : 속마음과 달리 언행(言行)을 거짓으로 꾸밈

무엇이 가식이고 무엇이 가식적이지 않은 것일까요? 저는 잘 모르겠습니다. 그냥

우리가 태어날 때 어머니의 자궁에서 아무것도 손에 쥐지 않고 태어났던 그 때가

가장 가식적이지 않고 자연그대로의 모습이 아닌가 하고 생각은 드는데 말이죠.

사람들은 말합니다. 가식을 벗어던지자고 모든 것을 훌훌 털고 자연 그대로의

모습으로 돌아가자고 말입니다. 그래서 어떤 사람들은 발가 벗고 발가 벗은

사람들 끼리 사는지도 모르죠 ^^;; 그 노력과 뜻이 이해가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만

그렇다고해서 진정 가식이 사라지는 것은 아닌 것 같은데 말이죠.

저는 인간의 본성이 정해져 있다고 믿는 편은 아닙니다. 하지만 인간이 자연에서

아무런 강제적 손길이 없는 환경에 방치되어 있다면, 인간 스스로 파멸해버릴 것만

같다는 건 저만의 생각일까요? 그래서 인간은 가식을 창조해낸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서로에게 가식이란게 전혀 없다면 사회는 유지되지 않을지도 모르거든요.

저는 가식을 두둔하는 편입니다. 그래서 가식적인 피지알이 너무나도 좋습니다.

엄격한 규칙이 존재해서 글을 하나 올리는 것 하나에도 많은 생각과 고민을 해야하고

조심스러울 수 밖에 없는 이 시스템이 말이죠. 이런 시스템이 많은 사람들이 싫어하는

가면을 만드는 원동력이 되긴 하지만, 그래도 마냥 좋습니다. 피지알 식구들이 가면을

하나 혹은 여러개 쓰고 있되, 하지만 글을 읽고 쓰는 사람은 가면이 아니라 자기

자신이기 때문입니다.



p.s 1 한참 다 썻는데 저장을 잘못해서 다 날아갔어요  ㅠ ㅠ

p.s 2 3년간의 눈팅 끝에 하고싶은 말을 풀어 놓았네요; 하지만 쉽지 않습니다. 생각을
      글로 표현 한다는 것은 말이죠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6/03/07 20:24
수정 아이콘
진짜 가식은 유승준이 보여준 그런 모습 아니였던가 싶은데
물론 솔찍하지 못한면이 조금 있지만 그걸 가식이라고 할꺼 까진
궂이 속이려고 하진 않는것 같은데
그걸 가식이라고 하긴 좀 그렇더군요

어쨋던 사람마다 가치관과 기준은 다르니까요
06/03/07 20:27
수정 아이콘
그렇죠. 가식과 예의를 구별해야죠. 무조건 솔직한게 좋은것도 아니고요.
pgr이 가식적이라고 욕하는 사람들은...교수나 선생님 또는 팀장이 짜증나게 할때 솔직하게 다 표현하고 그러는지 궁금하네요..
후추상사
06/03/07 20:29
수정 아이콘
가식이라기 보단 더 '예의'와 '매너'가 있는 곳이라고 봅니다.
먹자먹자~
06/03/07 20:31
수정 아이콘
가식과 격식의 차이
06/03/07 20:33
수정 아이콘
솔직히 가식도 있죠. 그것도 pgr만의 특성이라 봅니다. 각자 정도껏 받아넘기면 되죠.
율리우스 카이
06/03/07 21:57
수정 아이콘
가식과 격식의 차이.. 대공감..

격식이 불편해 떠나는 거면서 "가식적"이라고 한마디 던져야 맘편한 사람들이 있죠.. ..
06/03/07 22:51
수정 아이콘
굳이 '가식'이라고 할 필요까진 없죠. 그냥 '예의' 라고 하면 될 것을...저는 이 '예의'가 많이 부족한 사람이기는 하지만, 특별히 pgr이 가식처럼 느껴지지 않습니다. 어차피 다 할 말은 하는 거 같은데 말이죠.
터져라스캐럽
06/03/07 23:00
수정 아이콘
가식과 격식의 차이.. 공감리플이네요~
LemOnDream
06/03/08 03:28
수정 아이콘
제 생각에는 그런 것 같아요, 사람은 자기가 어떤 장소에 있느냐에 따라서 행동이 약간씩 바뀌지 않나요? (제 경우에는 그런면이 있어서요.) 그 분위기에 따라 흘러가는 면이 분명 있다고 봅니다, 가식이라기 보다는 학교에서는 학생의 위치를 지키되 집에 와서는 막내노릇을 톡톡히 하는 ... ?! 표현력이 부족합니다 T_T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1672 소설 홍진홍 1~6. (완결) [16] 3672 06/03/11 3672 0
21670 8차 MSL 16명의 선수들을 기다리며...... (15)-GoRush 박태민 [10] SKY924200 06/03/11 4200 0
21666 사랑, 그 변화무쌍함 [17] 두번죽다3908 06/03/11 3908 0
21659 차기 통합리그 문제에대한 생각 [8] 가승희3914 06/03/10 3914 0
21657 잡담...(1) [2] Anything For you3966 06/03/10 3966 0
21655 네이버뉴스 “누가 슈퍼스타 효리를 욕하는가”…신해철,이효리 적극 옹호 [86] 물빛은어5106 06/03/10 5106 0
21654 E-Sport 대상 시상식에 대한 아쉬움 [15] The xian4018 06/03/10 4018 0
21652 간지가 일본어 잔재라고요? [73] 6073 06/03/10 6073 0
21651 대한민국 e 스포츠 대상 1회 수상자, 팀들 모두모두 축하드립니다. [25] 마녀메딕3557 06/03/10 3557 0
21650 [잡담]I'm OK. [44] Davi4ever4217 06/03/10 4217 0
21649 해설진의 말이 절대 100% 진실은 아니다... [20] 연정4814 06/03/10 4814 0
21648 Knockin'On Heaven's Door (천국의 문을 두드려라) [12] 진리나그네6203 06/03/10 6203 0
21647 대한민국 e 스포츠 대상을 보는데..... [27] ktsun4313 06/03/10 4313 0
21644 8차 MSL 16명의 선수들을 기다리며...... (14)-Slayers_'Boxer' 임요환 [12] SKY923883 06/03/10 3883 0
21643 WBC 멕시코:캐나다 경기 결과 및 16강 중간 순위 [21] lotte_giants4316 06/03/10 4316 0
21642 프로리그 방송사간 갈등에 대한 해결책 (온게임넷 MBCGAME 관계자분들이 이글을 꼭 보셨으면) [24] 초보랜덤3674 06/03/10 3674 0
21640 이번 스타리그 개편으로 인해 엠겜의 행보에 관심이 가는군요 [14] Vocalist3554 06/03/10 3554 0
21638 개편되는 스타리그 방식에 따른 일정 예상해보기. [17] 수경3999 06/03/10 3999 0
21636 온게임넷 스타리그가 24강으로 개편된다고 합니다.(+수정) [206] 가루비7551 06/03/10 7551 0
21634 르까프팀 창단을 긍정적으로 볼 수 밖에 없는 이유 [30] 삭제됨4998 06/03/10 4998 0
21633 임요환 선수가 FD의 원조? [97] Sulla-Felix7818 06/03/10 7818 0
21631 [Next StarLeague, 톱을 노려라!] 03. 송병구 [4] 날아와머리위3562 06/03/09 3562 0
21629 술자리. [60] Anything For you4370 06/03/09 437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