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6/02/18 14:59:15
Name 세르니안
Subject 방송경기에서 Third-Party Program의 사용은 어떨까요
몇일전 Sulla-Felix님이 써주신 리플을 보고

문득 생각이 나서 방송 옵저버가 서드파티프로그램을 이용해서 더욱 편리한 중계를

하면 어떨까 생각이 들어 모자란 글솜씨지만 한번 써봅니다.

일단 서드파티프로그램의 정의는

1. First-party program : 게임 제작사에서 배포한 게임 프로그램

2. Second-party program : 게임 제작사에서 배포한 게임의 원활한 진행을 도와주는 게임 외적 프로그램

3. Third-party program : 게임 제작사에서 배포하지 않은 게임 외적 프로그램

이렇게 되는데요 퍼스트 파티 프로그램이 스타크래프트라면 세컨파티 프로그램은 맵에디

터 같은 류고요 서드파티 프로그램이 바로 제가 다루고자하는 펭귄 Or 맵핵류입니다.

특히 중점적으로 말하고 싶은 프로그램은 유명한 맵핵 프로그램인 inhale 인데요

이 프로그램의 장점이 바로 옵저빙을 하면서도 선수들의 드랍병력 , 업글진행상황, 생산

상황등을 볼 수 있다는 겁니다. 그 예로 초반에 상대의 본진으로 날라가는 드랍쉽을

보았을때 현재 중계상황으로는 마메드랍인지 단순한 정찰용인지 아니면 벌쳐탱크 드랍인

지 잘 모르겠지만 서드파티프로그램들을 사용하면 쉽게 알고 더욱 편리한 중계를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inhale에 있는 상대방의 인구수 & 최대인구수 보기 기능덕분에

선수가 일꾼을 버려서 200을 채워야 하는지 아니면 200을 채우기 직전인지를 알고

중요한 부분에 촛점을 맞춤으로써 현재 일부 비판받고 있는 옵저빙의 변화를 꾀할 수 있다

고 생각합니다.

물론 선수들의 사용은 엄격하게 금지되어야만 하지만 옵저빙시점에서의 사용은

어느정도의 편리함을 가진 방법같아서 이런 글을 써봅니다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6/02/18 15:04
수정 아이콘
맵핵기능이 포함이면.. 그림자로 가려지는 부분이 첨부터 없어지는건가요
Den_Zang
06/02/18 15:08
수정 아이콘
없앨수도 있고 (완전히 맵이 다 보이게) 선수들 시점만 볼수도 있고 한거라고 알고 있네요 그리고 괜찮은 제안인것 같은데 과연 방송에서 게임 외적인 프로그램을 사용할지는 좀 ;; 게다가 그게 블리자드가 의도한 방향과는 좀 많이 상반된 맵핵 프로그램이라는게 걸리긴 하네요..
나도가끔은...
06/02/18 15:22
수정 아이콘
e-sports가 진정한 스포츠가 되려면 간단한 게임룰만 알면 누구나 재미있게 볼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과연 농구나 축구를 보면서 현재 선수들의 스탯과 작전, 전후방 라인의 움직임, 선수컨디션을
꼼꼼히 따져가며 보는 사람들이 얼마나 될까요?
마니아들이 모인 pgr의 특성상 여러가지가 논의될 뿐이지 같이 열심히 보는 제 친구들만하더라도
누가 이겼는지가 중요하지 어떤과정을 통해 이겼는지에는 관심이 없습니다.
7파일런 10,11게이트만 5년째하고 있는 녀석들이거든요.
전 차라리 방송에서는 워3처럼 유닛을 가까이 비춰줄 수는 없어도
좀더 넓게비춰줄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었습니다.
토나오는 물량전인데 탱크 반부대 드라군 한부대만 겨우 비춰주는 현재 화면...맘에 안듭니다...ㅡㅡ;;
renewall
06/02/18 15:23
수정 아이콘
경기를 보는 재미중 하나가 의외성입니다. 예측률이 높아질수록 경기를 볼때 조마조마함은 떨어질 것입니다.
06/02/18 15:24
수정 아이콘
저작권 침해의 소지가 있는 민감한 문제 같습니다.
서드파티 프로그램이 메모리에 상주된 스타 프로그램의 코드를 변형시키는 것들이기때문이죠.
블리자드에서 핵사용 유저들의 계정을 초기화하거나 시디키를 블럭할 수 있는 근거도 그것이죠.
블리자드사가 허락하지 않는이상 불가능한 방식입니다.
암울송
06/02/18 15:25
수정 아이콘
모르는게 오히려 재미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그게 오히려 스타의 매력이라고도 생각하고요~
06/02/18 15:26
수정 아이콘
그리고 사실상 블리자드가 그것을 허락할 리가 없죠.
로비를 통해서 블리자드가 방송용 옵저버모드를 지원하는 세컨드파티 프그램을 만들도록하는 방법이 있겠으나...
밸런스 패치도 안해주려는 블리자드사가 그런데까지 신경써줄리가 없겠죠.
사고뭉치
06/02/18 15:26
수정 아이콘
오히려 그런 세세한 상황까지 다 알게 된다면, 리플레이를 보는 기분이 들것 같습니다.
전 리플을 볼때 실제 경기보다 집중력이 배 이상 떨어지거든요. -_-
그래서 안돼!!! 라고 외치고 싶습니다. >_<
Sulla-Felix
06/02/18 15:39
수정 아이콘
저부분은 신중한 논의가 필요한 부분이라 생각하지만...

리버나 템플러의 킬수,
그 게임에서 최고의 킬수를 기록한 유닛,
경기에서 '죽은' 일꾼수,
경기도중 먹은 자원의 총량,
이런 경기내용에는 큰 상관을 하지 않지만
재미를 더할수 있는 요소들을 기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은 어떨까요?

솔직히 리버죽으면서 날린 스케럽이 대박나면 킬수 정말 궁금하지 않나요?
06/02/18 15:40
수정 아이콘
이렇게 기계적인것 보다는 틀려도 그냥 조마조마하게 있는게 더 재밌을꺼같네요 ^-^
Sawachika Eri~
06/02/18 16:12
수정 아이콘
힘들듯..
06/02/18 16:26
수정 아이콘
간단히 무리일듯 합니다.
[couple]-bada
06/02/18 16:43
수정 아이콘
예전에 중계진들한테도 물어봤었죠. 리플레이 중계와 그냥 게임상 중계에 대해.. 리플 중계의 단점중 하나가 바로 업그레이드 상황이나 드랍 내용 등.. 너무 자세한 내용을 알 수 있다는 것이었죠. 스타 중계는.. 그러니까 우리의 실력을 높이기 위해서라기 보다는 그저 잘하는 사람들의 실력을 보는 것에 재미를 두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의외성을 두고 중계를 하는것이 더 재미있죠.

팩토리의 애드온이 막 돌아가고.. 입구에선 드래군과 대치중에 있습니다. 평소 중계라면 "시즈모드는 언제되나요!! 이제 되었군요! 막아냅니다" 정도로 중계감이 있다면.. 다른 모드에서는 "한.. 5초정도면 시즈모드 되겠는데요. 막아냅니다" 정도가 될까요.

뭐가 재미있느냐는 개인의 취향이지만.. 전 개인적으로 전자를 더 좋아합니다.
yurayura
06/02/18 17:10
수정 아이콘
저도 늘 생각했던 부분입니다..맵핵쓰면 안되나 하는거죠..맵키는것만 제외하면 자원상황이나 현재 업그레이드 뭘 눌렀나..이런것들..나오면 더 좋지 않을까 생각하거든요.. 물론 재미야 조마조마 한게 더 재밌긴하지만
좀 답답한 점도 있습니다.
그리고 아쉬운건 스타 판은 한국이 다 키웠는데..
펭귄이나 7x patch .. bw런쳐..맵만드는 프로그램등..오히려
외국에서 좋은 프로그램이 훨씬 많이 나온다는겁니다..
pgtour도 외국꺼죠..
써드파티 프로그램도 한국에서 좀 나왔으면 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1304 임요환 선수의 그파1차전알포인트 맵에서의 전대미문의 그 전략에 대해서 생각해보았습니다. [46] 19996840 06/02/27 6840 0
21302 시대를 휩쓴 팀플최강멤버들 [41] 공공의적6201 06/02/27 6201 0
21299 [亂兎]안녕하십니까, 난폭토끼입니다. [19] 난폭토끼5168 06/02/26 5168 0
21298 박경락, 김선기 선수? [9] 마동왕4567 06/02/26 4567 0
21296 apm이 500이 넘는 시대도 올까요? [57] 박서야힘내라6888 06/02/26 6888 0
21295 오늘 프라이드 보신 분 없으시나요?? [22] 블루 위시3980 06/02/26 3980 0
21293 오늘의 프라이드31 경기들.(스포일러 가득) [26] 이브4488 06/02/26 4488 0
21292 Fly High… [3화] [3] ☆FlyingMarine☆4063 06/02/26 4063 0
21291 저는 KTF 선수들이 이해가 됩니다. [68] 6605 06/02/26 6605 0
21290 쇼트트랙이라는 스포츠에 대해서 [17] tossgirl3996 06/02/26 3996 0
21289 안톤오노에 당한 또 다른 피해자 [24] genius5195 06/02/26 5195 0
21287 PGR21에 대한 추억... [6] 해피4235 06/02/26 4235 0
21286 팀원이라는 소속감을 높이는 방법으로 이건 어떨까요? [4] 물빛은어5175 06/02/26 5175 0
21285 아쉬움.. [1] Gidday4072 06/02/26 4072 0
21284 KTF팀 선수분들.. 수고하셨습니다. [3] stila4191 06/02/26 4191 0
21283 한국쇼트트랙. 김동성 선수에대한 추억.. [12] sOrA4100 06/02/26 4100 0
21282 통합 프로리그, 다음 시즌에 바라는 것들(+옵저버에 대한 작은 아이디어) [22] 날아와머리위5054 06/02/26 5054 0
21281 늦은 결승후기 - 장충체육관에 다녀왔습니다. ^^ [10] 세이시로4217 06/02/26 4217 0
21280 무겁게 누르고 계십니까 [25] Den_Zang4001 06/02/26 4001 0
21278 KTF와 SKT T1의 어제 경기 [16] intothesnow4816 06/02/26 4816 0
21277 2006시즌 T1의 최대견제세력 4팀+알파(삼성칸) [42] 초보랜덤5333 06/02/26 5333 0
21276 군대갔다와서 사람된다... 그렇다면 예비역 여러분은 얼마나 사람이 되셨나요?? [43] 황제팽귄4708 06/02/26 4708 0
21274 메이져리그 구단과 게임단의 비교... [24] EzMura4981 06/02/26 498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