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5/10/21 23:56:38
Name 요짐보
Subject 3경기 변칙전략이 결과적으로는 승인이었다.
박지호처럼 큰 무대에 서본 경험이 없는 선수들은, 보통 둘 중의 하나입니다.  지레 주눅들어 그르치던가, 아니면 오바해서 망하던가.  그래서 로열로드가 어려운가 봅니다.  우승자들, 특히 로열로드를 걸은 선수들의 공통점이 바로 경기중의 얄미울정도의 냉정함이죠.  목을 물었으면 결코 쓸데없이 "관광"할 생각 안하고 그냥 냉정하게 숨통을 끊어버립니다.

겜큐시절부터 임요환선수 경기는 거의 봐 왔기 때문에 소위 말하는 임요환의 전략이란걸 봐도 별로 놀랍지가 않습니다.  예전 이재훈 선수와의 경기때도 반드시 바카닉으로 나올것이라는 예상을 했기 때문에 소위 엠씨용준의 현란한 랩에도 그냥 "이겼구나" 하는 생각만 했죠.

오늘도 3경기 시작하면서 80%의 확률로 변칙러쉬를 할것이라는 예상을 했습니다.  불리한 맵, 불리한 조건에서의 예상못한 변칙러쉬가 임요환 선수의 특기니까.  그러나, 인터뷰 내용처럼 박지호선수는 다 파악을 하고 있더군요.  임선수를 잘 아는 플겜머 출신 코치가 도와줬다고 하던데, 정말 준비 많이 한 것 처럼 보였습니다.

그러나, 제 생각에는 이게 결국 독이 되어 최종 패인이 되었다고 봅니다.  야구든, 격투기든, 축구든 승부를 내는 스포츠 경기를 해 본 사람은 아마 그 짜릿한 쾌감을 알 겁니다.  상대가 이런저런 특기와 장점, 필살기가 있는데, 그걸 전술적으로 완전히 제압했을때의 마약보다 더 강한 그 느낌.

그렇게 준비 많이 해와서 1,2경기 완벽하게 제압을 하고 3경기의 임요환의 회심의 일격까지 완벽하게 기선제압을 해놓고는 오바를 해버린거죠.  꼬라박이라는 자신의 별명을 썩 좋아하는것 같진 않지만, 그런 별명이 지어지게 된 자신의 스타일에 대해서는 대단한 자부심이 있는 선수니까요.

결국 어.. 어.. 하다가 5경기 가고, 경험부족인 선수들은 전 경기를 머릿속에서 지우질 못하기 때문에 결국 백년묵은 여우인 상대에게 당황한 표정이 역력하게 그만 져버렸습니다.

오늘 경기는 박지호선수에게 아마도 좋은 약이 되었을 겁니다.  박지호처럼 화끈한 성격의 파이터에게는 오늘같은  경험을 하는것이 오히려 더 좋거든요.  두고보십시오.  지금까지도 사실 기형적이고 돌연변이적인 성장을 해 온 선수지만, 앞으로는 그 속도가 더 빨라질거라고 확신합니다.

아무튼, 임요환 선수 정말 오래 봐 오지만 그 아스트랄함의 끝은 어디일까 궁금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꿀꿀이
05/10/22 00:04
수정 아이콘
솔직히 3경기때 배럭 보고 저라도 아 이겼다.. 라는 생각이 들면서 몸이 마음대로 않댔을거같내요..몸이 마음대로 않댈때 경기가 한번꼬이면 한없이 꼬이죠..
난언제나..
05/10/22 00:04
수정 아이콘
오늘 0:2 상황에서 역전.. 그것도 3경기 그렇게 힘들게 까지 갔다가 역전승을 하다니. 그분 말이 필요없죠. 아스트랄함의 끝이 안보입니다
I have returned
05/10/22 00:06
수정 아이콘
맞습니다 3경기는 오히려 임요환 선수의 변칙전략이 통하지 않은것이 박지호 선수의 방심을 불러일으키면서 전화위복이 되었네요
박지호 선수가 3게이트로 돌파하려는 욕심을 내지 않고 그냥 앞마당 빨리 먹으면서 물량전을 준비했다면 결코 물량에서 밀리지 않았겠지요
그게 아니더라도 앞마당을 돌리려는 테란의 탱크 1기 잡으려고 드라군 6기를 잃지 않았더라도 뒤의 아슬아슬한 교전에서 그 드라군 6기가 큰 일을 했을꺼구요
또 삼룡이를 확보한 임요환 선수를 상대로 최대한 병력을 센터에 모았어야 했는데 벌쳐 몇기에 휘둘리는 동안 센터를 내준것도 방심이였죠
정말 초고수간의 대결일수록, 그리고 역전의 종족 테란과 역전의 명수 임요환 선수가 상대일수록 단 한순간도 긴장의 끈을 놓아서는 안되는거였는데.. 박지호 선수가 많이 후회할듯 싶네요
05/10/22 00:06
수정 아이콘
실이 되든 독이 되든 그게 스타일인거죠.
하지만 스타일로 승부하는 것만큼 팬에게 어필하는건 없을겁니다.
오늘이 아마도 박지호 선수가 앞으로 선수생활하면서 큰 밑거름이 될겁니다.
글루미선데이
05/10/22 00:08
수정 아이콘
무엇보다 얼마나 가치있고 실력있는 선수인지
스스로 증명했습니다

오늘 내용을 보면 박지호 선수 그냥 패자 이런 거 절대 아니였죠
승자와 종이 한끝으로 갈린 아쉬운 정말 아쉬운 패자였죠
상대선수의 팬인 나도 그의 발전과 강함은 인정하고 싶습니다
김평수
05/10/22 00:17
수정 아이콘
3경기..박지호선수로선 정말 제일 기억에 남을 경기일듯 싶네요
동네노는아이
05/10/22 00:46
수정 아이콘
3경기 정말 너무 너무 아쉬운 경기 였네요
무언가 홀릿듯한 경기 운영이었을 듯 싶네요
승리에 대한 욕심이 너무 앞서버린거 같아서 보는 입장에서 많이 안타까웠습니다. 경험 부족이 너무나 아쉬원
미야모토_무사
05/10/22 00:55
수정 아이콘
1경기 임요환 선수 후반운영도 사실 이해하기 힘든 부분이 있었죠. 지나치게 유닛들을 낭비해버린... 상호간에 1,3경기가 가장 아쉬웠을듯 합니다.
까꿍러커
05/10/22 01:30
수정 아이콘
3게이트 갈 때 저거 한번 막으면 역전하겠다 싶었습니다. 유리할 때 멀티를 했으면 어땠을까 싶었는데.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7863 주간 PGR 리뷰 - 2005/10/22 ~ 2005/10/28 [11] 아케미6568 05/10/29 6568 0
17862 드디어! 조정웅 감독이 해냈군요^^ [13] 뚱땡이4382 05/10/29 4382 0
17861 스타크부문의 우승을 기원하며.(블리자드 최대이벤트 '블리즈컨') [153] 애송이5598 05/10/29 5598 0
17860 오늘 스타리그 결승전이 있었습니다. [7] Radixsort4370 05/10/29 4370 0
17859 제국 또다시 습격을 받다 [4] 해맏사내5194 05/10/29 5194 0
17858 피지알 여러분들도 모바일 게임 좋아하시나요? [6] 하늘높이^^4430 05/10/29 4430 0
17857 운수 없는 날 [2] Still3569 05/10/29 3569 0
17856 주훈 감독 봤습니까??? [41] 히또끼리8132 05/10/29 8132 0
17855 잠이 안오네요 .. 전 진짜 연성빠인가봐요 [36] OOv4323 05/10/29 4323 0
17854 사신.. 오영종.. [6] 천재를넘어4254 05/10/29 4254 0
17852 서구의 남성들이 결혼하기 싫어하는 이유. [73] 루루6282 05/10/29 6282 0
17851 이번시즌 최대진기록 단일종족전 최다연전신기록&테테전이 단한경기도 없었음+알파 [21] 초보랜덤4687 05/10/29 4687 0
17850 결승전 및 3,4위전의 승자 투표-(1)토요일 오전-모두 투표해보아요! [35] legend4325 05/10/29 4325 0
17849 <응원글> 왜 너만 없는거야? [37] 狂的 Rach 사랑4283 05/10/29 4283 0
17847 최연성선수에 대해....(수정) [43] Epilogue4903 05/10/28 4903 0
17846 오영종 선수의 별명을 제안해 봅니다 [57] 연성,신화가되5071 05/10/28 5071 0
17845 휴대폰을 잃어버렸습니다. [11] 아이드5169 05/10/28 5169 0
17844 (4강 2주차 관전후기) 심리... 실력.. 그리고 운.. [10] 케타로4411 05/10/28 4411 0
17843 임요환 선수의 결승전. 정말 후회없는 경기가 되길 바랍니다. [25] 스트라이커4557 05/10/28 4557 0
17841 가을의 전설과 반란.. [19] 작곡가인구4180 05/10/28 4180 0
17839 결승에 쏠려있는 관심을 하루전 3,4위전에도 분산을^^ [10] 초보랜덤4488 05/10/28 4488 0
17838 귀맵논란..앞으론 메가웹도 타임머신을 쓰는게 좋겠습니다. [89] 김호철6338 05/10/28 6338 0
17837 '물량'이 아닌 '전략'에서 갈렸다 [10] 빤따4570 05/10/28 457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