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5/10/07 09:38:48
Name 총알이 모자라.
Subject 가장 과학적인 만화 도날드 덕?!
1901년 캐나다에서 태어난 칼 바크스는 1930년대 초 만화가가 되어 1935년 디즈니 영화사

에 들어갔고 1942년부터 도널드 덕 만화를 쓰기 시작했다. 1967년 만화계에서 은퇴할 때까

지 총 500여권의 도널드 덕 관련 만화를 출간했는데 작가의 이름은 익명으로 되어있었다.

익명의 작가였지만 디즈니가 작가를 다른 사람으로 교체하려 할 때마다 수많은 독자들의

항의 편지를 받아야 했다. '훌륭한' 오리 인간을 돌려 달라는...



칼 바크스는 독자들을 무시하지 않는 작가였다. 1985년의 인터뷰에서 그는 이렇게 말했

다. "나는 만화책을 '사'보는 아이들이 아무것도 모르는 코찔찔이 아기나 다름없다는 편집

자들의 생각에 동의하지 않았습니다. 나는 내 만화의 독자들이 평균 열두 살에, 세상을 어

느 정도 알고, 이미 기계, 역사, 과학, 자연, 여행 등에 관한 지식을 꽤 많이 지니고 있다고

가정했습니다."

"글과 그림이 설득력 있고 믿을 수 있다면 어떤 연령의 독자든 간에 더 유쾌하게 즐길 것이

라고 생각했습니다."




도널드 덕은 명랑한 분위기에 밝은 이야기를 담고 있지만 그 속에 장면 장면은 특히 신중

한 고려를 통해 그려졌다.  1960년 1월 '북극 얼음밑' 편에는 도널드와 조카들이 잠수함을

타고 북극의 얼음 밑을 여행한다. 바크스는 잠수함을 묘사하는데 있어 실제로 북극의 얼

음 밑을 통과한 노틸러스호의 사진을 토대로 겉모습은 물론 내부가지 꼼꼼히 그렸다. 1963

년에 나온 잠수정을 이용해 수심 10키로미터까지 내려가는 만화에서는 1960년 수심 11키

로미터까지 잠수한 심해 잠수정 트리에스터를 모델로 그렸는데 그 만화에서는 잠수정을

부상시킬 부력을 얻기 위해 잠수정 위에 휘발유 탱크까지 그려 놓았고 그들의 위치는 수

중 음파탐지기로 계속 추적되고 산소가 희박해지자 이산화탄소 중독 때문에 환상이 떠오

른다는 대사까지 있었다. 1959년 출간된 유령선편에서는 남극의 빙산에 갖혀버린 유령선

의 정체를 밝히면서 극광(極光)과 인광(燐光) 때문에 수백킬로미터에 걸쳐 바다와 구름사

이의 공간에 배의 모습이 비치는 것이라는 원리를 훌륭하게 증명해낸다.

그러나 이런 내용들을 압도하는 가장 유명한 과학적 사고는 1945년의 해저에 가라앉은 배

의 인양에 관한 이야기이다. 예산이 부족했던 그들은 배안에 탁구공을 채우기로 하는데 탁

구공이 채워지면 배안에 물은 빠져나가고 부력이 생겨 배가 떠오른다는 아이디어였다. 하

지만 당시에는 황당한 이야기로만 여겨졌다.

그러다가 1964년 덴마크의 과학자인 카를 크로거는 쿠웨이트 항구 근처에서 침몰한 화물

선의 인양에 탁구공을 폴리스티렌 거품으로 대체해서 인양에 성공하자 상황이 달라졌다.

카를 크로거는 그 만화책을 읽고 아이디어를 얻었던 것이다. 나중에 특허신청을 했지만 15

년전에 만화책에 나온 아이디어라는 이유로 특허신청은 반려되었다.




칼 바스크는 독자에 대한 존중과 충실한 묘사 그리고 과학적인 사실에 대한 충실한 이해

를 바탕으로 탄탄한 스토리를 만들 수 있었고 그의 이야기들이 수 십년간 사랑 받을 수 있

는 원동력이 되었다. 허무맹랑한 이야기로 그저 순간적인 즐거움을 주기보단 보단 심도있

는 통찰력과 즐거움을 동시에 줄 수 있는 작가였음에 틀림없다. 한가지 아쉬운 것은 그의

만화중 이런 과학적 사고가 바탕에 깔린 이야기들은 우리나라에 소개되지 않았다. 너무 어

렵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의 말대로 독자들을 무시한 것 아닐까?




우리는 만화나 영화 소설 등에서 황당한 이야기를 보아도 무감각하다. 만화니까, 영화니

까, 소설이니까 하고 넘어가는 것이다. 그러나 고바야시 모토후미나 칼 바스크와 같이 사

실적인 것에 충실한 것도 충분히 상상력을 발휘할 여지가 크고 탄탄한 스토리를 가질 수

있으며 더 오랫동안 사랑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제 우리에게도 세월이 지나도 변함없이 추천받고 인정받을 수 있는 작가들이 나올때가

되지 않았나 생각해본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5/10/07 10:06
수정 아이콘
야... 정말 도널드 덕, '사랑받아 마땅한 만화'네요
kiss the tears
05/10/07 10:50
수정 아이콘
어떻게 저런 것까지 알고 계실까...부럽습니다...
김영대
05/10/07 11:59
수정 아이콘
만화잖아~ 그냥 넘어가~ 이런거 정말 싫어요.
분명 그 만화의 세계관 안에서는 불가능한 일인데, 그걸 만화기 때문에 그냥 넘긴다는게 말이죠.
제가 맨날 얘기하는게, 드래곤볼은 프리더 나올 때부터 지구에서 싸우는것 자체가 아예 성립이 안 된다는 건데요;
그 때부턴 서로 싸우는 어떤 충격파(?) 같은 것 때문에라도 지구는 그냥 부서질 겁니다. -_-;
이유있음
05/10/07 12:33
수정 아이콘
일요일 아침 마니 봤었는데...
황금오리편은 아직도 기억하고요^^
유신영
05/10/07 12:38
수정 아이콘
김영대님//
그러고보니 대책 없이 스케일 커지는 것은 바스타드도 마찬가지죠. 근데 생각보다 말되게 해설하려고 노력하던데요. 절대영도나 에테르 같은 것으로 말이죠. 에거~
그러고보니 궁금한 것이 있는데..
텔레포트는 과연 가능할까요, 왜냐하면 사람들은 유물론보다는 이원론을 믿는데.. 그러면 물질인 육체만 텔레포트되지 정신까지 텔레포트 같이 된다는 보장이 없잖아요~
김영대
05/10/07 12:49
수정 아이콘
유신영님//
윽 무언가 대꾸를 해드리고 싶지만, 만화책은 많이 안 봐왔던지라, 바스타드가 뭔지는 잘 모르겠내요. ㅠㅠ
맞아요.
정말 작가가 대책없이 스케일 커지게 하는거....
제 생각에 원피스 작가분께서는 그리시면서 스토리를 짜시는게 아니신지;;;;;
호수청년
05/10/07 12:54
수정 아이콘
텔레포트라... 뇌를 보내면 정신까지 전송되지 않을까요?
어떻게 보내는가가 문제겠네요. 어떠한 형태로 짜를지도 중요하겠구요.
05/10/07 13:12
수정 아이콘
독자를 배려한다는 작가의 정신이 정말 멋져요!
강가딘
05/10/07 13:18
수정 아이콘
스머프도 공산주의를 다룬 내용이라고 하던데...
정테란
05/10/07 14:46
수정 아이콘
불후의 명작 톰과 제리가 가장 비과학적이지 않나요?
VoiceOfAid
05/10/07 14:51
수정 아이콘
유신영//육체가 하드웨어라면 정신은 소프트 웨어. 하드웨어를 전송하면 거기에 설치된 소프트 웨어도 같이 텔레포트될것 같군요. 어차피 정신이란것도 육체에 구속되는 것이니까요.
총알이 모자라.
05/10/07 15:37
수정 아이콘
문득 정신없는 놈이라는 말이 떠오르는
05/10/07 15:44
수정 아이콘
그런데 이 도날드덕이 돈에서 헤엄치는 그 도날드덕 만화 맞나요?
기억나는 건 그 장면 밖에 없는데...;
총알이 모자라.
05/10/07 15:55
수정 아이콘
돈에서 헤엄치는 건 도날드 덕의 아저씨인 스쿠르지영감입니다. 나중에 따로 나온 만화입니다.
05/10/07 16:15
수정 아이콘
제가 일본만화를 좋아하는 이유이기도 하죠. 바로 '전문성'.
그들은 만화를 그릴 때 그 분야에 대해서 철저하게 공부해서 만화에 접목시키더군요.
미스터 초밥왕만 봐도 알 수 있죠. 참 대단합니다. 신라 호텔 일식쪽 주방에선 요리사들 필독서라고 ㅡ.ㅡ;;
게임도 그렇죠. 역전재판이라고 아시나요? 누가 '열혈법정배틀' 같은 희귀한 장르에 도전하겠습니까;
제가 어릴때 둠이 인기를 끌자 하데스 등등 별의별 아류작들이 다 나오고 스타가 인기를 끌때도 국산 게임중에 비슷한 게임 정말 많았죠.
지금 MMORPG 쪽도 그렇고 너무 같은 작품들만 만들어 내는 것 같아서 좀 그렇습니다.
뭐 일본은 그만큼 기본적으로 인프라가 뒷받침 되는 것도 사실이지만..
TheInferno [FAS]
05/10/07 16:35
수정 아이콘
한국겜이 비슷한게 많았던 이유는 색다른 게임이 나오면 안팔렸기 때문입니다 -_-;;
한국시장은 비주류장르 게임을 받아들일 정도로 크지 않았죠

요즘이야 유료계정 만개만 확보하면 과거의 웬만한 히트작이 벌어들이던 액수를 벌 수 있으니 댄스배틀이나 길거리농구 해전 기타등등의 비주류장르가 많이 나오지만 아직도 업계1위는 MMORPG죠
Sulla-Felix
05/10/07 18:41
수정 아이콘
일본 만화가 전문성을 가질 수 있는 건 분업체계 때문입니다.
취재하는 사람이 따로 있고 그림도 나누어서 그리죠.
그러고도 이익을 내는 수익구조는 물론이구요.
이걸 한국만화는 혼자 다 해야 합니다. 기껏해야 어시 몇명
그것도 돈도 못주죠. 자본만 있으면, 시장성만 있으면 한국 만화도
그렇게 그릴 수 있습니다. '식객'을 보시면 잘 아실 겁니다.
VoiceOfAid
05/10/07 18:59
수정 아이콘
안타깝게 우리나라 만화시장은 죽었죠. 김성모작가 같이 다작을 해야 돈을 벌 수 있는 유통구조에선....-_-
하얀잼
05/10/07 21:09
수정 아이콘
cloz//그건 스크루지와 세조카아닌가요?(제목 불확실..ㅡㅡ;;) 도날드덕은 아닐겁니다. 확실하게는 모르겠네요 ㅠㅠ
청바지
05/10/08 04:42
수정 아이콘
정말 도날드덕에 그런 내용이 있는지는 처음 알았네요. 정말 작가분의 생각이 멋진 것 같군요.

유신영님// 사람들이 이원론을 선호하는 것 같긴 합니다만, 이원론은 결정적인 모순 때문에 최근에는 사장되었다고 하더군요. 그래서 현대 철학은 유물론 아니면 유신론이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7354 경부 운하에 대한 저의 생각 [118] 히또끼리4778 05/10/15 4778 0
17353 이 기사는 정말 꿈에서 본건가... [7] ICaRuStoTheSkY3875 05/10/15 3875 0
17349 새로운 맵 형식에 관하여. [9] K_Mton3650 05/10/15 3650 0
17348 주간 PGR 리뷰 - 2005/10/08 ~ 2005/10/14 [10] 아케미4403 05/10/15 4403 0
17347 슬램덩크 [SLAMDUNK] [52] Arata_Striker4987 05/10/15 4987 0
17346 청계천 가보셨습니까? [67] J.D4080 05/10/15 4080 0
17344 아싸~플토2명 올라왔군요~ [9] 한줌의재3432 05/10/15 3432 0
17343 [강추]스타크래프트 50대사건 네이버에서 펌~ [21] 톰과란제리7368 05/10/15 7368 0
17342 무제 [1] 일병3796 05/10/15 3796 0
17341 아~잊혀져 가는 바람이여... [10] mylove50023517 05/10/15 3517 0
17340 징크스 아닌 징크스 [19] 백야3777 05/10/15 3777 0
17338 가을과 태풍과 낭만의... 프로토스. [7] 8분의 추억4059 05/10/15 4059 0
17337 [잡담] 멋진 E-sports 망상을 해봅니다... [12] 워크초짜5359 05/10/15 5359 0
17336 논쟁을 일으키는 글을 잠시 쉬어주셨으면... [23] 김정화3338 05/10/14 3338 0
17335 우리는 왜 스스로를 비하하는가.. [21] 로미..3325 05/10/14 3325 0
17333 스타팬들의 냄비근성... [143] 못된녀석...5187 05/10/14 5187 0
17332 815맵에서 프토로스 대테란전에 키워드 "고테크유닛의 활용" [66] 체념토스3838 05/10/14 3838 0
17330 맵순서를 보고 예상해볼 이번 SO1 OSL 4강 예상 (2. 최연성 VS 오영종) [26] 초보랜덤4377 05/10/14 4377 0
17329 결과는 나왔다. 두 테란의 운명은? [28] The_Mineral3868 05/10/14 3868 0
17328 테란의 아비터 공략법 [79] skzl5219 05/10/14 5219 0
17327 맵순서를 보고 예상해볼 이번 SO1 OSL 4강 예상 (1. 임요환 VS 박지호) [35] 초보랜덤4042 05/10/14 4042 0
17326 제 자신의 냄비 근성. 진심으로 반성합니다. 죄송합니다. [69] 그때부터4503 05/10/14 4503 0
17325 so1스타리그 4강 예측해봅시다. [35] 애송이3759 05/10/14 375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