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5/08/09 17:30:10
Name 문제출제위원
Subject 적절하게 어려운 삼국지 퀴즈입니다.
주관식 3문제에 객관식 7문제.총 10문제입니다.

1.다음 사건들을 시기가 빠른 순으로 나열하면?[3점]

  ㄱ.원술의 천자 사칭 ㄴ.여포군의 하비성 전투 ㄷ.손책과 태사자의 대결 ㄹ.관우 천리행

①ㄱ-ㄴ-ㄷ-ㄹ ②ㄴ-ㄱ-ㄷ-ㄹ ③ㄷ-ㄱ-ㄴ-ㄹ ④ㄹ-ㄷ-ㄱ-ㄴ ⑤ㄴ-ㄷ-ㄹ-ㄱ

2.다음 지문을 보고 알수 있는 것이 아닌것은?[4점]
---중략---
"내가 오늘 밤 천문을 보니 삼대성에 객성이 침범했는데 그 빛이 몹시 밝은 데 비해 주성은 빛을 잃고 흐려져 있었다. 그 주성 주위에 있는 모든 별들이 어둡고 흐리니 그런 천상을 보아도 내 명을 짐작할 수 있다."
  
①주성은 제갈량의 수명과 연관이 되는 별이다.
②삼대성은 사마의 부자를 의미하는 별이다.
③제갈량은 이 이야기 이후 제단에서 수명을 늘리는 기도를 한다.
④주성 주위에 있는 모든 별들이 어둡고 흐림은 제갈량의 수명이 얼마 없음을 의미한다.
⑤오장원 전투가 일어나기 전에 있었던 일이다.

3.다음 보기의 단어들을 보고 생각나는 인물 혹은 장소를 쓰시오 [주관식] (5점)

[보기] 조휴 - 문빙 - 조홍 - 장합 - 하후연
                                                                                      (               )

4.다음 지문에서 빈칸에 들어갈 계책의 명칭으로 알맞은 것은?(4점)

[-중략-......조조는 측근들을 불러 유비를 칠 작전을 짜기로 했다.
"유비란 놈이 서주를 날로 먹더니 이젠 여포까지 옆구리에 꿰차고 말았소.
만일 그 두 놈이 합세하면 우환덩어리가 될 거요.
무슨 좋은 방도가 없겠소?"
허저가 우렁찬 음성으로 말했다.
"저에게 무사들을 주시면 당장 달려가 놈들의 목을 따오겠소이다."
그러자 순욱이 반대하고 나섰다.
"공의 용맹이야 천하가 아는 사실이지만 용맹으로 해결할 일이 아닙니다.
더구나 무황성을 옮긴지 얼마 안 된 터에 큰 싸움을 벌이는 것은 좋지 않다고 봅니다."
조조가 눈을 가늘게 하며 물었다.
"그럼 다른 방안이라도 있소?"
순욱의 눈이 빛을 발했다.
"ㅁㅁㅁㅁㅁㅁ을(를) 쓰면 됩니다."
-중략-
"유비가 서주를 차지했다고 하지만 아직 본성으로부터 작위를 받지 못해 명분을 세우지 못했습니다.
주공께서는 칙지를 주청하여 유비에게 작위를 내리십시오. 아울러 여포를 죽이라는 밀지를 내리십시오. 일이 잘되면
유비는 맹장을 잃게 되는 것이고, 설사 실패한다고 해도 이번에는 여포가 유비를 죽이려할 테니
이것이야말로 ㅁㅁㅁㅁㅁㅁ인 것입니다."
"오호라!"
조조는 무릎을 치며 기뻐했다. 순욱의 계책이야말로 힘 하나 안 들이고 눈엣가시를 제거할 수 있는 상책 중의 상책이었다.
그는 당장 실행에 옮기기로 했다......]


①구호탄랑지계  ②이호경식지계 ③격장지계 ④조호이산지계 ⑤이일대로지계

5. 적벽대전 당시, 주유는 제갈량을 죽이려 여러차례 시도를 하다가, 결국 그를 죽이는 것을 포기한 후, 서로 만나 계책을 의논한다. 그 때 주유와 제갈량은 서로 손에 계책을 써 서로 손을 펴본뒤 한 바탕 웃는데,둘의 손바닥에 써져잇는 한자가 같았기 때문이었다. 두 사람에 손바닥에 써져있던 한자는 무엇인가?(3점)

    ①水      ②木      ③夜       ④馬      ⑤火

6.보기는 어떤 인물의 열전중 일부이다.보기의 인물의 일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것은?(4점)
[보기]자가 덕윤(德潤)이고 회계군 산음 사람이다.
집안 대대로 농민이었다. 그는 학문을 좋아했지만 생활이 빈곤하여 학비가 없었으므로 항상 다른 사람을 위해 필경(筆耕)을 하였으며, 베끼는 일을 마쳤을 때는 또 그 전체를 암송했다. 그는 스승을 좇아 토론하고 연구했으며 많은 서적을 두루 열람하고, 동시에 역법과 천문에도 통달하여, 이로부터 명성이 드러났다.

①적벽대전에 앞서 황개의 거짓 항복문서를 조조에게 전달하였다.
②일생의 말년에는 왕자교육과 계절과 날짜를 바로잡는 일을 하였다.
③머리카락을 잘라 조휴를 속이고 위군을 대파하였다.
④이릉전투에 앞서 육손을 적극추천하여 유비군을 격퇴하는데 공헌을 하였다.
⑤243년 겨울에 숨을 거두었다.

7.장료가 800명 남짓한 결사대를 이끌고 10만의 손권군을 맞아 크게 이긴 전투의 이름은?(3점)
①합비전투   ②유수구전투  ③동관전투  ④합비신성전투  ⑤양평관전투

[주관식]
8.육손이 어복포에서 이 진을 헤매다 황승언의 도움으로 빠져나갔으며,휴(休)·생(生)·상(傷)·두(杜)·경(景)·사(死)·경(驚)·개(開)의 여덟 개 문으로 이루어진 이 진의 이름은?(3점)
  
                                                                                     (                  )

9. 보통 효렴 이라는 것은 20세가 되야 보통 천거해서 벼슬길에 나갈 권한이 생긴다고 한다. 하지만 이 인물은 손권을 15세 때 효렴에 추천하게 되는데, 과거 손견 시대때부터 손가를 섬겼던 중신들 중 한명이다.이 인물은 누구인가?(4점)

①정보  ②한당   ③황개   ④주치   ⑤장흠

[고난이도 주관식]
10. 다음 보기를 보고 보기의 숫자들을 모두 더한 값을 쓰시오. [주관식] (5점)
-----------------------------------------------------------------------------
유비의 아들 수  //  사마의가 살았던 햇수(몇 살까지 살았느냐) // 삼국무쌍4의 플레이가능 무장 수//제갈탄이 수춘에서 난을 일으킨 연도//관우가 천리길을 떠나면서 벤 장수의 수//사수관에서 화웅에게 죽임을 당한 장수의 수//손권이 제위에 오를 당시의 나이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Daviforever
05/08/09 17:39
수정 아이콘
1. 3
2. 2
3. 동작대
4. 2
5. 5
6. 3- 이 인물은 감택인데, 3번은 주방이죠.
7. 1- 우는 아이도 장료의 이름만 들으면 울음을 그치는...
8. 팔문금쇄진(정확한지...)
9. 찍겠습니다. 4번-_-;;
10번 패스-_-;;;
양정민
05/08/09 17:40
수정 아이콘
흐....어렵군요.ㅠ.ㅠ
문제는 다 풀어봤는데 반도 안맞을거 같아서 못올리겠습니다.^^:
05/08/09 17:47
수정 아이콘
1.1 2.2 3.장판파 4.1 5.5 6.2 7.2 8.팔괘진 9.1 10......사람이 풀 문제의 난이도가 아닌듯-_-
gonia911
05/08/09 17:49
수정 아이콘
Daviforever님//
6번에 3번은 주방 맞는데 1번이 감택일껄요..? 황개가 주유에게 곤장 맞고서 감택이 편지 전해준걸로 기억..
음 .. 저는 대부분 찍...엇는데, 문제출제위원님 채점해주세요~
1. 1
2. 1
3. 동작대
4. 2
5. 5
6. 1
7. 4
8. 팔괘진 - 미로같은 .. 그거죠? 제갈량 장인이 구해준.. 팔괘진 맞나..~_~?
9. 저도 찍.. 2번
10. 아는건 유비의 아들수 세명,, 최악의 난이도 -_-
서정호
05/08/09 17:49
수정 아이콘
3 , 2 , 조조 & 동작대 , 1 , 5 , 1 , 1 , 팔진도 , 4 , ??
폭풍의승리다
05/08/09 17:52
수정 아이콘
1. ③
2. ⑤ 이건 좀 난해한데요;; 오장원전투 라는것이 오장원 옮긴 다음부터를 의미하는것인지, 아니면 가짜 공명에 속아 사마의가 패배한 전투를 의미하는 것인지..??
3. 동작대에서 활대결에서 활을 쑨 순서 하후연 다음에 서황.
4. ①-구호탄랑지계이후에 이호경식지계를 썼었나??-_-;;
5. ⑤-조조를 이기는 계책으로 두명다 화공을 선택
6. ③-감택의 이야기인데 ③번은 주방의 이야기
7. ①
8. 팔진도
9. ④- 이건 진짜 모르겠는데요;; 그냥 찍어봤어요
10. 삼국무쌍 4는 해본적도 없어요.-_-;;
WizardMo진종
05/08/09 17:59
수정 아이콘
2
3
적벽
1
5
1
4
팔진도
2
10번은 풀라고 만든문제가 아니므로 답은 없음
견습마도사
05/08/09 18:00
수정 아이콘
관우가 죽인 장수는 6명;;
박의화
05/08/09 18:03
수정 아이콘
삼국지라면..? 맛있겠다.
푸하핫
05/08/09 18:08
수정 아이콘
1.1
2.2 (모르고 4번이라고 써서 수정;;;)
3.동작대
4.2
5.5
6.3
7.1
8.팔괘진
9.1
10번은 모르겠어요 ;;;
쥐마왕
05/08/09 18:17
수정 아이콘
2
5
동작대 ( 조조군 휘화의 활의 명수들 )
1
5
4
1
팔진도
1
전혀 알길이 없습니다 ..
꿈꾸는사냥꾼
05/08/09 18:32
수정 아이콘
1번 ③
2번
3번 동작대
4번 ②
5번 ⑤
6번 ③
7번 ①
8번 팔진도
9번 ④
10번 Skip~-_-
퐁퐁저그
05/08/09 18:58
수정 아이콘
1. 3번
2. 4번
3. 위에 답들이 있지만.. 몰랐음..
4. 2번?? 찍기...
5. 5번
6. 3번
7. 1번
8. 팔진도
9. 4번..찍기..
10. 패스~ 하하~
네고시에이터
05/08/09 19:01
수정 아이콘
1. 3번
2. 2번
3. 조조군 장수,동작대
4. 1번
5. 5번
6. 감택 답은 3번
7. 1번
8. 팔진도
9. 4
10. 427
유비의 아들- 4명
사마의 사망 나이- 73세
삼국무쌍 무장 수- 48명
제갈탄이 수춘에서 난을 일으킨 연도- 257년
관우가 천리길을 떠나면서 벤 장수의 수- 2명(?)
사수관에서 화웅에게 죽임을 당한 장수의 수- 2명?(포충,조무)
손권이 제위에 오를 당시의 나이- 41세
나야NaYa
05/08/09 19:08
수정 아이콘
1. 3번
2. 3번
3. 동작대
4. 1번
5. 5번
6. 3번
7. 2번
8. 팔진도
9. 4번
10. 모르겠어요~
05/08/09 19:28
수정 아이콘
1. 3
2. 3
3. 동작대, 조조
4. 1
5. 5
6. 3
7. 1
8. 팔진도
9. 1
10. 통과-_-;
잃어버린기억
05/08/09 19:29
수정 아이콘
8번에 팔진돈가요?.. 팔문 금쇄진으로 알고 있는데..
05/08/09 19:45
수정 아이콘
팔문 금쇄진은 조인이 신야성을 공격할 때 펼쳤던 진법 아닌가요? 서서가 유비에게 인정받는 계기가 돼죠.
부산저그
05/08/09 19:50
수정 아이콘
1번 3, 2번 5,3번 적벽대전,4번 1,5번 5,
6번 2(찍기),7번 1,8번 팔진도,9번 3(찍기)
10번 즐쳐드셈~(ㅜ.ㅜ,
카이져
05/08/09 20:15
수정 아이콘
1. 3
2. 5
3. 동작대
4. 4
5. 5
6. 3
7. 1
8. 팔진도
9. 4
10. 433(???)
05/08/09 22:05
수정 아이콘
1. 3
2. 4
3. 동작대 (동작대에서 아마 비단가지고 싸웠죠?)
4. 2
5. 5
6. 3
7. 1
8. 팔진도
9. 1
10. Good Game
퐁퐁저그
05/08/09 22:12
수정 아이콘
근데 정확한 답은.....??
너는강하다
05/08/09 22:15
수정 아이콘
관우가 천리길을 가면서 죽인장수는.. 오관참육장이라 해서 다섯 관문에서 여섯명을 죽였죠.
Has.U-N-ZERG
05/08/09 22:23
수정 아이콘
와..이런문제 좋아하는데.. 잘 알지는 못해도
공부가 되죠..ㅇㅅㅇ//
05/08/09 22:45
수정 아이콘
1.3번
2.어렵네요,, 전 3번
3.동작대 ,, 활쏘기 시합순서 같네요
4.1번
5.5번
6.3번 ,, 3번은 주방이죠
7.1번
8.팔진도
9.1번
10. 너무 난감한-_-; 패스
4.
로니에르
05/08/09 23:35
수정 아이콘
1.3번
2.2번
3.동작대
4.1번
5.5번
6.3번
7.1번
8.기억이 안나네요-_-팔뭐시긴데..
9.1번(손가를 대대로 섬겼다면 정보정도..)
10.이걸 풀라고 내시다니..-_-
05/08/10 12:52
수정 아이콘
1. 3
2. 2 (삼태성 : 삼공을 상징하는 별)
3. 동작대
(동작대 완공후 조조가 잔치의 여흥으로 활솜씨를 평가해 비단을 내린다고 했을 때 발생한 사건이죠. 조휴가 첫번째에서 한 가운데를 맞추었고 그후에 문빙이 마찬가지로 한 가운데를 맞춥니다. 문빙이 비단을 갖기 위해 가려 할 때, 조홍이 다시 그 과녁에 화살을 맞춥니다..
그때 장합이 나서서 몸을 완전히 틀어서 쏘는 방법인 '번신배사'로 과녁을 맞추었고 여유있게 비단을 취하려할때 하후연이 나섭니다.
말을 타고 금이 그어진 곳에서 몸을 완전히 비틀어서 비스듬히 있는 중에 활을 쏘아서 정 가운데에 맟추었는데, 얼마나 활이 강했던지 여태까지 쏘았던 장수들의 활이 다 떨어졌다 합니다. 이 일이 하후연을 위군 중 최고의 활솜씨를 지녔다는 평가를 받게하는 근거가 되었죠.)
4. 2(이호경식-두 호랑이를 서로 잡아먹게 함. 여포와 유비라면 호랑이는 호랑이죠.)
5. 5(뭐... 적벽하면 불!!)
6. 3 (덕윤은 감택의 자. 감택은 문사죠. 찾아보니 삼국지 8편에서 능력치는 56 84 86 74 91.)
7. 1
(http://blog.naver.com/sajavint/140004810499에서 퍼옴.
역사적 전투명 : 합비 전투
전투명 (한자) : 合肥 戰鬪
개요 : 공명의 책략과 위,오의 격돌
공격군 : 오군(吳軍) - 선봉[여몽(呂蒙),감녕(甘寧)],중군[손권(대장),능통(凌統),주태(周泰)],후위[장흠(蔣欽)]
수비군 : 위군(魏軍)- 유인부대[악진(樂進)],
기습부대[이전(李錢),장료(張遼)]
손권을 꼬드긴 유비
합비(合肥)는 지금의 안휘성(중국 동남부)의 중앙에 위치한다. -현재는 성도(省都)-. 안휘라는 지명은 청나라때의 안경과 휘주, 두곳의 머릿글자를 따서 합성된 것이다. 그 곳은 양자강 남부와 양자강 유역인 중앙부 그리고 회하유역인 북부, 이렇게 세군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그 중 중앙부에 있는 합비라는 이름은 <수경주(水經注)>의 <여름물이 넘치면 시(施)가 비(肥)에 합쳐진다(合). - 시(施)와 비(肥)는 강이름 ->에서 유래되었다.
건안 19년(214), 유비는 익주의 목(지방장관)이 되었는데 익주는 지금의 사천성으로 현재 인구는 약 1억에 다다른다. 그곳의주위가 산맥으로 둘러싸인 하나의 큰 분지이다. 그리하여 옛부터 <천혜의 땅>이라 일컬어졌고 농산물을 비롯해 특산물도 풍부한 곳이어서 자급자족이 가능했다.
유비는 그곳에 본거지를 두었다. 이 말은 간단하게 그냥 본거지로 삼은 것처럼 들릴수도 있는데 사실은 그를 믿고 불러들인 유장을 배신하고 빼앗은 것이니까 음모라고 할 수 있겠다. 그러나 그 때는 양육강식의 시대였으므로 깨끗하기만 하여서는 살아남을 수가 없었다. 그 이후 위나라의 조조, 촉의 유비, 그리고 오의 손권은 형주를 무대로 삼았다.
그때의 형주는 지금의 호남, 호북, 두 성의 대부분과 사천, 귀주, 광서, 광동의 일부를 포함하였다고 한다. 일찌기 오나라의 지략가인 노숙은 손권에게 '형주를 손에 넣는 일은 제왕이 되는 첫걸음이다'라고 말했을 정도로 형주는 중요한 곳이었다.
유비는 신변이 늘 분주했고 조조는 한중의 양평관에서 장로를 물리치고 남하했다. 그러다가 손권의 수군의 위력을 보고 그랬는지 아니면 적벽에서의 뼈아픈 패전이 떠올랐기 때문인지 북쪽으로 돌아가 버렸다. 하지만 조조는 군대를 나누어서 합비방어만큼은 굳건히 하도록 하였다. 합비는 작파, 초, 업의 서북지역 제1전선으로서 위나라 본국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선상에 놓여져 있다.
그러던 중 이윽고 합비전투가 일어났다.
그 시초는 익주에 본거지를 확보했던 촉나라의 사정으로 인하여 일어난 것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촉은 조조가 남하하는 것을 두려워했고, 그래서 공명과 의논하여 이적을 오나라로 파견시켰던 것이다. 그리하여 손권을 만난 이적은,"지난번에는 장사의 삼군을 돌려줄 기회를 놓쳤습니다. 조만간 서류와 함께 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그런데 조조한테 사천의 동쪽을 빼앗겨서 형주가지 돌려드린다면 관우가 머무를 곳이 없어집니다. 그러하오니 귀국이 조조의 합비를 공격해 주신다면 저희는 사천의 동쪽을 되찾도록 하겠습니다. 그런 다음 형주를 돌려드리겠습니다." 라고 말했다.
손권은 유비가 조조를 철수시키려는 것이라고 판단하면서도 합비를 손에 넣는 것도 괜찮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대군을 동원하여 양자강을 건너 우선 환성을 노렸다.
그 곳은 조조가 노강 태수인 주광을 책임자로 삼아 둔전을 실시시키고 수전을 개간하며 합비에 식량을 공급했던 곳이다.
손권의 군대는 우선 그곳을 공격해야만 했다. 그리하여 손권은 여몽, 감녕을 선봉으로 삼고 장흠에게는 후위공격을 명령했으며 자신은 주태, 진무와 함께 중군을 담당했다. 그 후 양자강을 건너 맨처음 당도한 곳이 화성이었다. 그곳을 맡고 있던 주광은 합비로 지원군을 요청했는데 지원하러 달려온 장료가 도착하기도 전에 환성은 함락되어 결국 장료는 합비로 돌아갈 수 밖에 없었다.
이윽고 오나라의 10만대군은 합비를 향해 나아갔다. 그때 환성이 함락되어 몹시 괴로워하고 있던 장료에게 조조가 보낸 작은 상자가 도착되었다. 열어보니 그것은 군령서(진중의 명령서)였다. 이미 조조의 10만대군이 합비를 향했다는 급보도 전해져 왔다.
'손권이 도착하면 장료, 이전, 두 장군은 나아가 싸우고 악진장군은 성을 지켜야 한다'는 내용이었다. 그리하여 긴급회의가 열렸는데 장료는 '곧바로 공격하여 초장에 기세를 꺾어야 한다.'라는 파였고 악진은 '적수가 많다. 성안에서 농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라는 파였다. 그리고 장료와 사이가 좋지 않았던 이전은 잠자코 아무말도 하지 않았다. 그러자 장료가 딱 잘라 말했다.
"여러분은 자기자신의 일만 걱정하고 나라일은 돌보지 않고 있소. 그러니 나는 혼자서라도 내 생각대로 싸우겠소."
그 말을 듣고 이전도,
"알겠습니다. 장료장군의 지시에 따르겠습니다!" 라며 순순히 동의했다.
그리고 '다음날 아침 장료가 군대를 이끌고 소요진 북쪽으로 들어갔다. 그 곳에는 소사교라는 다리가 있는데 오나라 군대가 그 곳을 건너면 악진의 군대가 물러나는 것처럼 위장했다. 이를 본 오나라 군대가 그 뒤를 쫓으면 악진과 이전의 군대가 협공한다. 그 후 혼란한 적의 중군을 장료의 군대가 공격한다.' 라는 말하자면 악진의 군대는 미끼용으로서 먼저 오나라 군대와 접전한다는 작전을 세웠다.

용맹한 장군 장료앞에 무릎꿇은 오나라의 대군

앞에서 말한 작전대로 장료군과 이전군, 악진군은 군대를 이끌고 나아갔다. 상대 적인 오나라 군대의 선봉은 여몽과 감녕이 맡았다. 그리고 손권은 능통과 함께 중군을 지휘하여 합비를 공격하려 하였다.
그래서 여몽과 감녕은 악진과 맞붙게 되었는데 악진은 작전대로 도망치는 척했다. 그러자 선봉이 승리했다는 보고를 받은 손권이 소요진 북쪽으로 향했는데 그 때 갑자기 신호탄이 울려 퍼졌다. 연이어 오른쪽에서는 이전이, 왼쪽에서는 장료가 군대를 이끌고 밀려왔다. 손권은 아연질색하여 여몽과 감녕군을 구원하러 나섰다.
그 때 능통이 손권을 향해 외쳤다.
"서둘러 소사교를 건너십시오."
그러나 이미 이천명(팔백명이었다고도 한다)에 이르는 장료의 병사들이 물밀듯이 밀려왔고 능통은 남은 삼백명을 이끌며 필사적으로 이를 막아내려 했다.
한편 손권은 말을 달려 소사교로 향했는데 다리는 사라지고 없었다. 그가 당황하여 어쩔줄을 몰라 안절부절할 때 부장인 곡리가 외쳤다.
"일단 말을 먼저 보내고 힘껏 뛰어건너십시오."
그 말을 받아 들여 손권은 그대로 시도해 보았고 다행히도 무사히 건널수가 있었다.
그리하여 훗날 이 곳을 <비기교(飛騎橋)>라고 부르게 되었는데 그것은 손권이 목숨을 건 모험을 한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그리하여 손권은 후위부대인 서성의 배에 겨우 오를수 있었던 것이다.
한편 오나라의 중군은 필사적인 방어전을 펼쳤고 여몽, 감녕의 군대는 후퇴하는 위나라 군대를 뒤쫓았다. 그래서 중군이 위험에 빠졌다는 것을 알아차렸을 때는 이미 때가 늦었다. 그래도 급히 달려갔는데 그 앞에 이전이 가로막고 서 있었고 뒤쪽에서는 악진의 군대가 추격해 왔다.
그리하여 여몽, 감녕, 능통일행은 목숨만 부지했으나 피투성이가 되는 싸움을 계속할 수 밖에 없었다.
자연히 중군인 능통의 부대는 참담한 지경에 놓여져 단 한명의 생존자도 없을 정도였다. 이리하여 완전히 섬멸되었다고 말할 수 있을 정도로 오나라는 크게 지고 말았다. 이 전투로 말미암아 강남의 사람들은 장료의 강력함에 떨게 되었고 어린아이들까지도 그의 이름을 알게 될 정도로 이름을 날리게 되었다.
<료래래(遼來來) 료래래(遼來來) - 장료가 온다. 장료가 온다 -> 라는 노래를 부르며 엄마들이 아이들을 달랠 정도였다고 한다.
그 후 손권은 군대를 유수로 되돌려 병선을 정비함으로써 수륙양쪽으로 공격할 수 있는 태세를 갖췄다.
한편 이 소식을 접한 장료는 한중에 있는 조조에게 지원병을 요청했고 조조는 한중의 정군산을 하후연에게 맡긴 후 대군을 이끌고 강남의 유수로 급히 달려갔다. 말하자면 위나라는 유비와 공명의 책략에 걸려든 것이다. 왜냐하면 유비측 입장에서 본다면 위나라 대군은 손권과 승패를 결정짓기 위해 싸울 것이기 때문이다


출처: 백미)
8. 팔진도(진삼국무쌍의 기억이...)
9. 1
10. 나이가 만 나이라 애매하지만 431.
유비의 아들 - 4명 유봉(양자-후에 처형)/유선/유리/유영
사마의- 72세인가요?(179~251)
진삼국무쌍4- 위(13인), 촉(13인), 오(14인), 기타세력(8인)
제갈탄의 난 - 서기 257년
관우천리행 하면 오관육참장이니 6명.
화웅은 포충을 죽이고-> 손견으로 착각한 조무를 죽였고 -> 이후 유섭, 반봉을 참. 연의로 따지면 4명.
-손권이 황제를 칭한 때는 222년. 40세
05/08/10 18:40
수정 아이콘
장료도 대단하지만 감념도 대단하죠~
장문원과 감흥패~!
참 좋아하는 장수입니다 ^^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7984 [잡담]만화 캐릭터의 이름들 [25] ~Checky입니다욧~7033 05/11/03 7033 0
17941 So1 결승전에 꼭 같이 가고 싶은 분이 있습니다. [56] 용살해자6015 05/11/01 6015 0
17825 사신(死神)......그에게 남은 것은 단 하나의 커다란 문. [27] steady_go!3704 05/10/28 3704 0
17704 영어, 과연 공용화되어야 하는가. [27] 레지엔4006 05/10/25 4006 0
17388 어떤 단어를 제일 좋아하세요? [37] EndLEss_MAy3662 05/10/16 3662 0
17314 [잡담]다 필요없어!! 이제는.. [5] 다쿠3816 05/10/14 3816 0
17050 K-1 2005WGP 결승전-조지명식 후기 [14] 못된녀석...4137 05/10/04 4137 0
17046 순희의 스타일기 3편 - '지호락' [8] 토돌냥3811 05/10/04 3811 0
16603 욱일승천 [10] kama4642 05/09/17 4642 0
16472 <프리미어리그 첫 데뷔전> 이영표의 데뷔전 분석 & 평가 - [13] 무지개고고4678 05/09/12 4678 0
16433 내일 드디어 최고의 오프닝이 등장합니다. [39] ΣOnegai6254 05/09/11 6254 0
16194 일본은 왜 한국을 싫어할수 밖에 없는가? [124] 라라란4759 05/09/04 4759 0
16111 팀플맵 철의 장막, 1:1전, 섬전 확률에 관한 수학적 고찰(?) [46] Mark-Knopfler5427 05/08/31 5427 0
15982 존중에 관한 짧은생각 [3] 비오는날이조3857 05/08/28 3857 0
15934 차재욱선수;; [22] S-ky.eA3878 05/08/27 3878 0
15777 벅스뮤직에서 들어본 10년전 히트곡들에 대한 소고 [23] 수선화4900 05/08/21 4900 0
15440 적절하게 어려운 삼국지 퀴즈입니다. [28] 문제출제위원8902 05/08/09 8902 0
14874 팀리퀴드에 올라온 브라이언 선수 인터뷰입니다. [23] 리니짐7251 05/07/23 7251 0
14655 [궁금]퇴근시간을기둘리며... 평소 굼금했던 것들 [37] [NC]...TesTER4087 05/07/16 4087 0
14569 Goodbye [5] 한량3971 05/07/13 3971 0
14512 스타리그 주간 MVP (7월 둘째주) [56] DuomoFirenze3800 05/07/11 3800 0
14361 영어보다 국어가 더 문제 [30] 총알이 모자라.4211 05/07/06 4211 0
14155 병무청홈페이지에서 한 공익신청후기... (?) [56] 사탕발림꾼5579 05/07/01 557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