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5/06/18 23:14:57
Name sylent
Subject [스타리그 관전일기] 강민, 변화의 목적
스타리그 관전일기 - 스니커즈 올스타 리그 2Round 결승전(2005년 6월 18일)


강민, 변화의 목적

‘패러다임’이란 우리가 세상을 보는 방식을 말한다. 다시 말하면 우리가 세상을 볼 때 시각적인 감각에서가 아니라, 지각하고, 이해하고, 해석하는 관점에서 이 세상을 보는 것을 말한다. 기나긴 백일야에서 깨어나(?) 팬들을 다시 한 번 꿈속으로 안내하려 하는 ‘몽상가’ 강민 선수는 저그를 상대하는 프로토스의 패러다임을 통째로 바꿔버릴 셈인가보다, 마치 우리가 화학구조식의 어느 한 부분을 바꿈으로써 그 결과의 본질 자체를 바꾸는 것과 같이.

지난 6월 8일, <포르테>에서 1시간 남짓한 혈투 끝에 ‘운영의 마술사’ 박태민 선수를 잡아낸 강민 선수는, 적어도 저그를 상대하는 이상, 긴 호흡의 경기 운영이 ‘선택’이 아닌 ‘필수’라는 결론에 합의한 것 같다. (그 강도가 예전만 하지는 못할망정, 상대는 ‘폭풍 저그’이자 KTF매직엔스의 한 식구인 홍진호 선수였음에도 불구하고 모든(!) 경기를 ‘더블 넥서스’로 풀어가려 했던 것이 바로 그 증거이다) 강민 선수가 이토록 갑작스럽고 고집스러운 패러다임의 변화를 추구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안타깝게도, 지금처럼 가다가는 프로토스 플레이어들이 점점 더 신음하게 되기 때문이다.

인정하든 인정하지 않든, 저그에게 미네랄 한 덩이를 덜 주기 위해 혹은 저그보다 미네랄 한 덩이를 더 차지하기 위해 질럿을 내던지고 사이오닉 스톰을 뿌려댄 결과에 대해, 선수들과 팬들 사이에는 거대한 연대가 형성되어 있다. “일관된 운영으로 지상에서 저그와 힘을 겨루는 것은 대체로 무모하다”는 것이다. 물론 ‘영웅’ 박정석 선수도, ‘악마’ 박용욱 선수도 해내지 못한 ‘일괄된 운영’에 도전한 선수가 있었다. ‘안전제일’ 전태규 선수이다. 전태규 선수는 안정적인 플레이 패턴만으로도 저그와 충분히 상대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기대를 심어주었지만, 그 기대는 저그 플레이어들의 진화에 발맞춰 수그러들기 시작해 어느새 자취를 감추고 말았다.


“인간의 감각에는 물리적인 한계가 있다”

‘긴 호흡의 운영이 필수‘라는 결론의 결정적 근거는 “인간의 감각에는 물리적인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우리는, 필살의 하드코어 질럿 러시나 신이 허락한 리버 드랍으로 경기의 주도권을 확보하지 못하면, 경기가 적당히 무르익었을 때쯤 저그에게 난도질당하는 프로토스의 숙명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경기의 스케일을 무제한으로 늘려야 한다는 강민 선수의 경기 운영에 동의할 수밖에 없다.

요점은 간단하다. 20개의 해처리를 보유한 저그 플레이어가 10개의 해처리를 가진 저그 플레이어보다 정확히 2배 더 강하지는 않다는 것이다. 저그 플레이어의 물리적인 감각, 예를 들어 한 번에 인지할 수 있는 맵의 범위, 유닛을 생산하고 동시에 컨트롤 할 수 있는 손 빠르기 등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저그 플레이어가 보유한 자원과 그 전투력은 어느 수준까지는 정비례 할지 모르지만 특정 수준 이상의 자원은 의미가 없어지는 순간이 온다는 것이다. 우리는, 손이 빠르기로 유명한 ‘퍼펙트 테란’ 서지훈 선수 혹은 ‘저그신동’ 조용호 선수의 개인 화면에서조차 1000 혹은 그 이상의 자원이 남는 경우가 허다하다는 것에서 그 증거를 확인할 수 있다.

병력의 산술적인 양에 비해 상대적으로 효율이 높은 프로토스 유닛들이기에, 강민 선수는 판을 키우고 키워 프로토스 플레이어가 100% 활용할 수 있는 정도의 최대 자원을 확보 할 수 있는 시점까지 경기를 끌어내려 노력한다. 물론 저그는 더 많은 자원과 해처리를 보유하고 있겠지만, 저그 플레이어 역시 사람이기에 소화할 수 있는 자원과 유닛의 양에는 한계가 있기 마련이고, 그 임계점을 경기 내내 유지할 수 있다면 결국 ‘소모’라는 태생적 한계를 지닌 저그가 무릎을 꿇게 되는 것이다.


아쉬운 패배

[스니커즈 올스타 리그 2Round] 타이틀을 홍진호 선수에게 빼앗긴 것은, 비록 이벤트 성 대회이기는 하지만, 프로토스에게도 밝은 청사진이 있을지 모른다는 기대를 품은 골수 프로토스 팬들에게는 아쉬운 결과임에 틀림없다. 강민 선수는 앞에서면 자신의 키가 작아지기도 하고 커지기도 하며, 몸이 뚱뚱하게 보이기도 하고 홀쭉해 보이기도 하는 ‘요술거울‘ 같은 선수임에도 불구하고 맵의 특성을 충분히 살리지 못하고 딱딱한 초반을 고집한 것이 패배의 가장 큰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분명, 자기 성장은 부서지기 쉽고 신성한 영역이지만 이 세상에 이보다 투자 가치가 있는 것은 없다. 그러므로 강민 선수는 탐구를 중단해서는 안 된다. 이런 탐구의 귀착지는 프로토스라는 종족의 근본에 도달하는 것이며, 또한 바로 그 근본을 처음으로 깨닫는데 있기 때문이다.

끈질김은 성공의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외롭겠지만, 오랫동안 음악을 연주한다면 그리고 그 음악의 멜로디가 진실을 울릴 수 있다면 결국 누군가 노래를 부르게 될 것이다. 그것이 바로 얼터너티브 프로토스Altanative-Protoss의 운명이자 사명이다. 한 걸음이 모든 여행의 시작이다. 한 단어가 모든 기도의 시작이다. ‘강민의 꿈’은 이제 막 시작되었다.


by sylent, e-sports 저널리즘.


@sylent의 다른 글을 읽으시려면, 클릭하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헤이주드
05/06/18 23:16
수정 아이콘
1빠~ 장난이고;; 사일런트님 또 오랜만에 좋은글 남겨주시는군요
군생활 열심히 하세요
풀메탈테란
05/06/18 23:23
수정 아이콘
몇 시즌 전부터 대저그전을 장기전으로 끌고가는 프로토스들을 많이 보게 된 거 같네요. 결국 하드코어의 낭만은 시대에 역행하는 전략으로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는 걸까요...
최근 긴 호흡으로 저그를 상대하는 가장 이상적인 모습을 보여준 강민 선수가 대저그전의 "네오 프로토스"를 보여줄 수 있을지 기대됩니다.
초록나무그늘
05/06/18 23:25
수정 아이콘
참 애매합니다. 플저전을 위해 러쉬거리를 좀 단축시켜주면 목적에 맞지 않게 테란이 방방뛰게되죠. 그렇다고 멀게하면 저그가 방방 뛰게되고요. 애매모호한 문제..
ForeverFree
05/06/19 00:09
수정 아이콘
우와...글 진짜 잘쓰시네요...
멋집니다...어서 빨리 제대하세요 ^^
ForeverFree
05/06/19 00:21
수정 아이콘
제 싸이로 퍼갔는데 괜찮겠죠?^^
05/06/19 00:24
수정 아이콘
정말 멋집니다..
05/06/19 00:50
수정 아이콘
오랫만에 좋은글 보고 갑니다...
기다림의끝은
05/06/19 01:31
수정 아이콘
멋진글 반갑습니다. 제대 다 돼가죠^^
건강하세요
05/06/19 12:15
수정 아이콘
좋은 글 잘 읽고갑니다. ^^
05/06/19 20:39
수정 아이콘
관전일기 리포트 게시판에 올려야 하는데.. 실수했구만.. -_-bb 너답지 않다. 그래도 글은 굿~!!
05/06/19 20:47
수정 아이콘
박정석 선수 인터뷰 보면서 참 안타까웠는데 모든 플토 선수들에게 희망의 실마리를 안겨주는 강민 선수가 고맙네요.
Beyond your dream~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4068 슥하이배 후로리그.그 첫번째 리그를 알리는 개막전. [34] legend5321 05/06/28 5321 0
14067 프로게임단 감독의 역할과 자질 문제. [44] sora aoi7701 05/06/28 7701 0
14065 안경과 군대. [31] SSeri6128 05/06/27 6128 0
14064 KTF 의 승리를 축하드리지만...이윤열선수 힘내십시오 [28] 제일앞선6867 05/06/27 6867 0
14061 오늘경기에 미뤄본 에버 결승전 예상 [19] Gidday5575 05/06/27 5575 0
14060 수요일 프로리그 KTF VS GO 더더욱 기대가 되네요 [25] 초보랜덤6242 05/06/27 6242 0
14059 e네이쳐탑 팀의 병명은? [38] 결함6590 05/06/27 6590 0
14058 공포 영화에 대한 몇가지 소견(약간 섬뜩한 사진 있어요. 주의 요망) [21] 네로울프5306 05/06/27 5306 0
14056 [연재] Reconquista - 어린 질럿의 見聞錄 [# 26회] [2] Port5274 05/06/27 5274 0
14055 위대한 축구선수가 우리나라에 있었네요 [152] 에토13236 05/06/27 13236 0
14053 자게에 올라온 [개구리 소년]이란 글을 보셨습니까? [15] Ex_Edge6983 05/06/27 6983 0
14052 비가 오면 더 푸르른 숲처럼 [10] 총알이 모자라.5473 05/06/27 5473 0
14051 해외 다국적 선수로 구성된 ToT길드와 국내 길드인 Sea.길드의 대결 결과가 나왔네요... [40] 한방인생!!!8377 05/06/27 8377 0
14050 생겼다, 생겼다, 생겼다! [19] 사랑인걸...5378 05/06/27 5378 0
14049 이번주 올스타전 사진과 후기입니다 ^^ [9] Eva0104971 05/06/27 4971 0
14047 반갑다 내영원한라이벌.. [8] 우걀걀4930 05/06/27 4930 0
14046 [잡담] 베트맨 비긴즈 - 판타지의 실종(스포일러?) [31] My name is J5647 05/06/27 5647 0
14045 김동준 해설의 해설 스타일 분석. [54] 나야나♡6469 05/06/26 6469 0
14044 프로게이머 6월 랭킹이 나왔네요 [31] 마동왕8585 05/06/26 8585 0
14043 PRIDE FC 미들급 GP가 방금 끝났습니다. - 경기 결과 - [34] FTossLove6125 05/06/26 6125 0
14042 지식인에서본 재미있는 구단만들기 놀이~ -_-; [53] 히꾸임8262 05/06/26 8262 0
14039 ㅠㅠ 슥하이 후로리그 2005 9명만 추가 선발합니다. [14] 러브포보아5470 05/06/26 5470 0
14038 열두살소년이 어두운밤 푸른별을 가리킬때 처럼- [7] 컨트롤황제5248 05/06/26 5248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