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5/05/17 10:05:53
Name 총알이 모자라.
Subject 팀의 색깔

어제 플러스와 코리아의 경기를 보다보니 플러스는 자신들의 색깔이 분명하다라는 느낌

이 들었습니다. 이제는 플러스를 떠났지만 박지호 선수와 박성준 선수는 플토와 저그의 물

량의 대표주자였습니다. 그것이 그들의 특징이고 개성이라고 생각했는데 어제 경기를 보

니 그것은 플러스의 색깔이라는 느낌이 강하게 들더군요.

물량이라는 것이 게임을 단순하게 만드는 경향이 있는 건 사실입니다. 그리고 물량을 뽑아

내기 위해 사전작업을 하다가 허무하게 패배하는 경우가 많은 게 물량 중심 플레이의 한계

였죠.

플러스 팀의 선수들도 이런 경향에서 벗어나지 못했던 것이 사실입니다. 언제나 조정웅 감

독은 자신감 있었지만 뭔지 모를 중압감에 선수들은 아쉬운 플레이만을 연출하다 지기 일

수였습니다. 플러스의 선수들의 아쉬운 패배의 원인이 무엇인지를 이제는 그들 스스로 답

을 찾아낸 것 같습니다.

물량을 뽑기 위해서는 두 가지의 요소가 필요합니다. 시간과 배짱이죠.

서로 같은 시간 내에 누가 더 많은 유닛을 뽑아내는가를 팀 단위로 시합한다면 아마 플러

스팀이 1위를 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렇기에 상대선수들은 그들에게 시간을 주지 않

으려합니다. 상대가 게릴라를 하건 말건 자신들의 유닛을 꾸준히 모아서 한번에 밀고 또

미는 것이 이전까지의 플러스 팀의 스타일이었습니다. 그러나 스토브리그 기간 동안 그들

은 자신들의 색깔을 살짝 바꾸었습니다. 이전까지는 시간을 기다리는 입장이었다면 이제

는 시간을 버는 입장으로 말입니다.

오영종 선수는 질럿이 나오자마자 과감하게 달렸고, 김정환 선수는 빈집털이를 시도했습

니다. 그렇게 번 시간으로 그들은 물량을 준비했고 그것으로 승리를 거두었습니다. 하지

만 팀플의 모습보다 인상적이지는 않았죠. 초반에 저글링을 잃고 불리할 것만 같았던 시점

에서 테란은 자신에게 주어진 시간을 상대를 견제하기보단 조금 더 물량을 모으는데 투자

를 합니다. 승부에 조급하지 않는 배짱을 보인 것이죠. 그리고 6배럭에서 쏟아내는 병력으

로 결국은 상대를 압도해냅니다.

플러스는 한번도 강자의 이미지가 아니었습니다. 스토브기간에도 팀의 주축을 두 명이나

이적시켜야 했습니다. 그러나 그를 통해 그들은 자신들의 색깔인 물량형 플레이의 중요요

소인 배짱을 키웠고 승부에 대한 집착을 키웠습니다. 그들의 승전보가 일회성 폭풍으로 끝

날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더 이상 그들은 1승의 제물이 아닌 강력한 팀으로서의 이미지를

가지게 되었음을 부정할 수 없을 것입니다. 개개인보다는 팀일 때 더욱 강한 한빛처럼 그

들이 프로리그의 또 하나의 영웅으로 자리잡기를 기원해봅니다.

그들의 색깔이 더욱 선명해지길...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lilkim80
05/05/17 10:21
수정 아이콘
플러스 스피릿.. 멋졌습니다. 특히 어제 팀플은 우와소리가 절로나왔죠..
KOR선수들의 지난친 자신감도 있었지만 그보다는 플러스의 배짱에 더 많은 점수를 주고 싶네요.
05/05/17 10:40
수정 아이콘
요즘 응원하는 팀이 플러스입니다. 우주닷컴에 정보 보면 예전 Is가 전신이었다고 나와있네요. 감독은 바뀐듯한데.. 얼굴만 바뀐건가? 어쨌든 예전의 명성을 다시 찾았으면 하네요. 비록 선수는 달라졌지만 말이예요.
GrandSlammer
05/05/17 10:49
수정 아이콘
플러스팀.. 이 기세를 몰아서 SKT1까지 꺾는다면 정말 이번 프로리그에서 파란의 주인공이 될 가능성도 높아보입니다.
05/05/17 11:07
수정 아이콘
IS
IS, 임요환(IS로부터 독립)
SG(구 IS), 오리온(구 임요환)
SG, PLUS(IS로부터 독립), 4U(구 오리온)
P&C(구 SG), PLUS, SKTelecomT1(구 4U)

이런 구도일듯 합니다. 제 기억에 의존한 내용이라 조금 시기가 다를 수도 있습니다. ^^; SG는 스폰서에 따라 Toona SG일때도 있었는데 그냥 SG로 적었습니다. (사실은 기억이 잘 안나서...)
05/05/17 12:03
수정 아이콘
SG보다 PLUS가 먼저라는 생각이 드는군요...
머뭇거리면늦
05/05/17 12:45
수정 아이콘
오..읽고보니 그런 것 같네요^^ 근데 물량이 팀의 색깔이란게 조금 어색하게 느껴지는것 같은데..아닌가요? 나만 그런가..하하 죄송^^::
GrandSlammer
05/05/17 13:24
수정 아이콘
SG Family가 PLUS보다 더 이전이죠.
PLUS이전에는 KTEC이라는 팀명으로 활동했던 걸로 알고 있습니다.
KTEC은 스폰서였죠.
_ωφη_
05/05/17 15:55
수정 아이콘
그냥 요번1라운드에서 이변이 발생해도 재미있을듯 하네요..
빅3팀중에서 하나가떨어져도 상당히 흥미진진할듯..
05/05/17 20:23
수정 아이콘
왠지 지오팀의 팀 성향은 차분함같아요.
05/05/18 23:39
수정 아이콘
KTEC PLUS가 정식 팀 명칭이었습니다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3098 스타리그 개인리그에 대한 의견.. [20] 라임O렌G4495 05/05/22 4495 0
13097 프로 게이머의 군 문제와 프로리그 활성화를 위해서 [21] 토스희망봉사4686 05/05/22 4686 0
13096 아주 조금비슷한 프로게임머와 만화 캐릭터들 [48] 올빼미6680 05/05/22 6680 0
13095 이번주 스니커즈 사진+후기 입니다^^ [13] Eva0107742 05/05/22 7742 0
13094 [픽션] 오늘은 즐거운 일요일! T1이야기 [10] 청보랏빛 영혼6968 05/05/22 6968 0
13093 너무 한심한 기사 아닙니까? [28] 박의화8568 05/05/22 8568 0
13092 군대에 가 있는 시간동안... [24] 오래오래~4966 05/05/22 4966 0
13091 04/05잉글랜드 축구의 마지막 이벤트 fa컵 결승.. [12] hyun52805039 05/05/22 5039 0
13089 제5공화국과 불멸의 이순신간의 대결 [15] 피터팬4777 05/05/22 4777 0
13088 같은 종족대결시 옵저버에게 아쉬운점 [11] 불타는 저글링5551 05/05/22 5551 0
13087 NY팬들을 경악시킨 쿠!!! 쿠 화이팅!! [14] 서녀비5397 05/05/22 5397 0
13086 You're My Best... [2] TheMarine...FlyHigh4364 05/05/22 4364 0
13085 [픽션] 안녕하세요. 여기는 T1 입니다. [9] 청보랏빛 영혼6036 05/05/22 6036 0
13084 목숨을 걸어라! [8] ryoma5016 05/05/22 5016 0
13083 PGR 오프라인 모임 후기입니다^^ [49] 새벽오빠6271 05/05/22 6271 0
13082 정모 후기입니다^^ [42] 정희석4435 05/05/22 4435 0
13081 난 플토인데 박태민이 좋소.. [30] 비엔나커피6170 05/05/22 6170 0
13080 애처로운 프로토스;; [17] swflying4744 05/05/22 4744 0
13079 PgR in IRC 두번째 이야기... [3] greatFAQ5649 05/05/22 5649 0
13078 천재왈 "괴물과 황제와 붙는게 가장 긴장되고, 재미있다."(경기결과유) [30] 한방이닷8465 05/05/22 8465 0
13077 줄기세포와 그 파장 ..... [14] 오크날다4486 05/05/22 4486 0
13076 무엇이 승패를 가르는가.. [3] 박영록4082 05/05/21 4082 0
13075 방심이나 운 다 실력입니다. [5] might5139 05/05/21 513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