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5/02/11 19:55:44
Name Ace of Base
Subject 저그유저의 변천 그리고 미래 - 어느 회원으로부터의 이야기

이 글은 피지알 회원분중 한 분이 메일로 저에게 올려달라며 보내주신 글입니다^^




저그라는 종족의 이른바 대세가 되어버린 두명의 선수
"박성준, 박태민"(이하 4세대저그)
그리고 아직도 잊지 못하는 과거의 그윽한 향기를 남기는 선수들
"최진우, 국기봉, 강도경, 임정호"(이하 1세대저그)
한시대를 풍미했던 선수들 그러나 그들의 어깨는 무거웠다
"장진남, 홍진호, 성학승"(이하 2세대저그)
그들이 있어 저그가 있었으나 그들의 영광이 채 빛을 보지 못한 선수
"조용호, 박경락"(이하 3세대저그)

이 저그게이머들을 보면 저그의 과거 그리고 미래가 있다.

일단 이 중심 부분을 보기 전에 몇몇의 관점을 말해보고자 한다.
저그게이머들에게 부족했던 면면이기도 했다.



1. 유닛의 다양성 부족
- 초기 저그게이머들에게 아주 극심히 나타났던 부분으로 조합이라고도 볼 수 있는
부분이다. 당시 경기들을 보면 Only 뮤탈, Only 히드라, Only 저글링등의 단순한
유닛형태를 일컬으며 이 유닛형태의 전형을 망가뜨리고 조합이란걸 강제시킨
두 선수가 기욤패트리, 임요환 이 두 선수라고 할 수 있겠다. 다만 이 조합을 너무
강조하고 강제하다가 패배를 많이 맛본 선수가 있으니 임정호 선수라고 볼 수 있다-
(후반부에 자세히 살펴보자)

2. 배짱부족
- 3세대 저그게이머까지 안고 있다가 4세대에 들어오며 극복되기 시작하는 부분이고
사실 우승의 가장 가로막이가 바로 이 배짱부족이라고 필자는 생각된다.
왜 우승의 최대 걸림돌인지 본문에서 자세히 살펴보기로 하겠다.

3. 판 전체를 아우르는 컨트롤의 부족
- 3세대 저그부터 좋아지기 시작한 부분이다. 이 판 전체를 아우르는 컨트롤의 시작은
속칭 "경락마사지 저그" 박경락 선수의 시작이다. 이부분 역시 후반의 3세대 저그부분에서 자세히 다뤄보자.

4. 타이밍 고르기의 실패
- 4세대 저그부터 갓 좋아지기 시작한 부분이다. 3세대 저그까지는 타이밍이 있어서 그
타이밍이 되야 그 저그가 숨을 펼 수 있게 되는데 그 타이밍을 만들지 못하면 무조건
패하는 부분이 있었다. 이부분은 3,4세대 저그쪽에서 자세히 다루겠습니다.
  
1세대 저그 : 최초의 저그의 희망봉 두명 "최진우, 국기봉"

이 두선수를 보면 아스라히 남은 오리지널 스타의 모습과 브루드워 초창기의 저그를
가장 잘 보여주는 두 선수로 생각된다. 지금으로 따지면 최진우 선수는 박성준스타일의
시초 즉 공격적 스타일의 저그 플레이의 시작이라고 볼 수 있고, 국기봉 선수는 박태민
스타일의 시초 즉 운영적인 저그플레이의 시작이라고 볼 수 있다.

이 둘의 플레이는 그 당시로는 센세이션을 불러 일으켰고 분명 그 당시로는 저그는 분명
지금의 저그보다는 "매우 좋다"라는 공식하에 있었지만 분명 무언가 부족했고, 그렇게
게임 자체의 밸런스가 좋았음에도 불구하고 저그유저들에게 있어 지금 4세대와 비교해서
8% 부족한 무엇이 계속 발견되 어떤 리그에서도 잘 나가다가 4강 이상의 다판승제
(3전 2선승이상)에서 족족 패하게 된다.

이때 부족했던 것이 다양성 부족과 배짱부족이였다. 뭐 이때까지만 해도 테란이나
프로토스 게이머 역시 위에 지적했던 판 전체를 아우르는 컨트롤의 부족부분은 산재했고
타이밍은 아직도 프로토스에게는 쥐약으로 남아있는 부분이기도 하므로 일단 넘어가기로
하고 일단 다양성 부족이란 부분이 절실히 실감나는 경기들이 꽤 많았다.
현 팬텍엔큐리텔의 정영주선수만이 이 Only세대의 마지막 남은 게이머인데 정영주선수
하면 생각나는건 뮤탈이였을 정도로 한 유닛에 대한 집중이 심해져 공략 또한 쉬워진 상황
이였다. 정주영,봉준구 하면 뮤탈, 국기봉 하면 히드라라는 공식이 성립될 정도였으니
말이다. 배짱부족은 사실 1세대 보다는 3세대때 가장 아쉬운 부분이였다. 3세대때 이 배짱
부족이 왜 아쉬웠는지 3세대 가서 이야기를 하도록 하자.

이 1세대 저그의 경기를 지금 보면 다양성 부족은 눈에 띌 정도로 심했다.
그게 간파되면서 절대 저그는 우승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고 테란의 약세에 힘입어
프로토스는 당대 최대의 힘을 유지하는 위업을 달성하기도 했다

2세대 저그 - 1세대에서 더 빛을 보지 못하고 넘겨준 그들의 어깨는 무거웠다.

1세대 저그와 크게 차이나는 부분이 별로 없다. 여러 방면에서 조금씩 나아지는 모습은
보였다.그러나 이때부터 조금씩 테란유저들의 약세가 시작되며 테란에서 거장을 배출해
낸다. 바로 테란의 황제 임요환이였다. 이 임요환선수의 등장으로 밸런스를 무시한
테란의 무시무시한 침공이 시작되며 번번히 실패를 맛보게 되고 좌절을 맛보게 된다.

테란에게 배짱이 생기고 판을 아우르는 컨트롤이 나오면서 멀티플레이의 진정한 시작을
알리는 시기이기도 했다. 이 멀티플레이가 시작되면서 저그는 무지 힘든 시기에 빠진다.
좌절의 시작이기도 했고 고통의 시작이기도 했다.

이 임요환 선수의 등장과 더불어 테란진영에서는 착실히 테란의 주역들이 눈을 뜨게되는
준비의 시기이기도 했는데 이 글은 어디까지나 저그중심 글이므로 일단 넘어가고 보면
이때부터가 바로 배짱부족으로 인해 많은 좌절을 겪는 시기였다

풍성하게 모여진 저그 유닛이 있어도 테란의 다변화 플레이가 겁나서 절대 치고나오지
못하는 상황이 터졌고 테란을 정확히 분석하지 못하고 모은 유닛 덕에 싹쓸이 되기도 하
는 어처구니 없는 상황이 많이 발생했다.

글을 쓰다 보니 2세대 저그를 뭔가 평가해 주고 싶어도 답이 안나온 시대였다.
더 가면 비판보다는 비난에 가까워질 느낌이 들어 3세대로 넘어가겠습니다.



3세대 저그 - 발전의 시작 그러나...

임요환선수를 필두로 해서 이윤열, 서지훈, 김현진이란 테란의 슈퍼스타들이 배출되면서
그 슈퍼스타들에게 익숙해진 저그들 나름대로 발전의 시기를 가진다.
그것이 바로 조진락의 조와 락. 조용호선수와 박경락 선수이다.
이 둘의 업적은 화려했다. 적어도 2세대보다는 많은것을 이루어 냈다.
따지고 보면 홍진호 선수는 2.5세대 저그에 가까운데 굳이 2세대로 분류한것은
시기상의 분류일 뿐입니다. 이해를 바라고요,

홍진호 선수는 배짱부분에 있어서 많은 진화를 거듭했고 조용호 선수는 다양성 부분에서
많은 진화를 거듭했다. 다양성 부분에서 따질 부분은 유닛을 언제 어떤 요소에 써야 하나를 잘 보여주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임정호 선수의 매직저그류는 분명 당시 1세대 저그게이머들에게 있어서는 아웃사이더
저그의 표방이였으나  컨트롤 부족과 적소배치의 미비로 인해 많은 패전이 있었죠.
그러나 3세대 저그의 다양성 부분에서는 많이 쓰이지 않던 유닛 디파일러와 퀸의 적절한
사용이 시작되었고 이로 인해 저그에게 빛을 보이게 했다는 것 그리고 중요한것은 박경락
선수의 판을 아우르는 컨트롤의 시작이 바로 제일 중요한점 아닐까 싶습니다.

저그는 지금까지 대부분 그냥 방어에만 신경을 썼지 너무 공격에 둔해져 버렸습니다.
테란의 드랍쉽이란 유닛덕에 말이죠. 그런고로 결국은 테란한테 지는 스토리를 보여줬는데. 박경락 선수의 경락마사지류 드랍과 난전을 유도하면서 조금씩 조금씩 이득을 챙겨서
승리를 거두는 그런것이 주요하기 시작했고 이 판을 아우르는 기술에 홍진호 선수의 폭풍
류가 가미 되면서 더욱 빛을 보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그러나 이 3세대 저그에게는 가장 아쉬운건 역시 배짱부분과 타이밍잡기인데 많이
나아졌다고는 하나 아직 확실한 개선이 된 모습은 절대 아니였습니다. 그것이 결국 패인
이 되어서 다판승제에서 패를 기록하면서 사기가 꺽이고 결국 꺽인 사기로 인해 운영에
있어서 금이 가버리는 이유로 결국 우승의 문턱에서 자주 좌절을 겪게 되는 일이 생기는데요

그 대표적인 예가 파나소닉배 OSL과 KPGA투어에서 열린 두 선수간의 결승 조용호 대
이윤열전이 그 대표적인  예가 될 수 밖에 없겠습니다. 조용호 선수는 모든것을 다 잘
했습니다만 결국 테란의 몇몇 유닛들을 겁내서 진출타이밍을 너무 뒤로 잡은터라 실패가
많았습니다. 그리고 홍진호선수는 그때까지만 해도 초반에 너무 폭풍처럼 몰아치다가
막히면 너무 힘없이 지는 모습을 많이 보여줬고 박경락선수는 함부로 진출하지 않고
방어에 주력하면서 역게릴라를 많이 해 주거나 극초반에 노리면 자체적으로 무너지고
절대 소생할 수 없는 모습을 많이 보여줬죠.

그러나 3세대는 분명 2세대 보다는 저그에게 있어서 무언가 많은 결과물을 제시해준
저그였고 이 3세대 저그를 토양으로 하여 저그는 드디어 꽃을 피게 됩니다.


4세대 저그 - 전성기의 시작

질레트배 스타리그 우승, ITV랭킹전 우승, 프리미어2차리그 우승,
엽기발랄 홀인원 당신은 골프왕배 MSL우승

메인리그에서 이룬 첫 4세대 저그의 초반 성적표입니다. 이 기간은 달랑 6개월 정도만에
이루어진 것으로 놀라운 결과입니다.

최진우, 임정호에서 시작해서 홍진호로 이어지고 박경락으로 이어진 계보가 탄생시킨
다분히 공격적이면서도 놀라운 후반운영 판 전체의 경영면에서도 절대 나쁘지 않은
게이머 박성준.... 그의 탄생으로 인해 저그는 저그 3세대에 처음으로 만들어진
완성형 테란에 이어 완성형을 보유한 종족이 되었죠.

메이저 데뷔 이후 첫 완성저그 박성준은 무시무시한 결과를 낳습니다.
저그에게 질것 같지 않던 포스의 소유자 두명 서지훈, 최연성 이 두 거목 테란들을
8강과 4강에서 차례로 격파하며 결승에 올라오면 지지 않는다가 거의 정석인 종족인
프로토스를 상대로 우승을 하게 됩니다. 그것도 영웅토스 박정석 선수를 상대로 말이죠.

그러면서 전투적인 그 기질로 인해 그에게는 투신(투쟁의 신)이란 별명까지 붙게 되죠.

그 이후 며칠 후에 바로 열린 ITV랭킹전의 최초이자 마지막 야외결승이 된 랭킹전7차리그 결승에서 역시 최연성 선수를 3:1로 셧아웃 시키며 또한번 우연히 이룬 우승이
아니란걸 보여주기에 이르죠.

국기봉, 봉준구에서 시작해서 장진남으로 이어지고 조용호로 이어진 계보가 탄생시킨
컨트롤은 최극강류는 아니나  운영에 있어서는 타의 추종을 불허하고 숨고르기를
자연스럽게 할 수 있는 또다른 완성형 저그가 태어나니 박태민선수입니다.

WCGC우승때의 박태민선수의 모습은 이제 그에게서는 찾아볼 수 없습니다.
왜냐 그때는 분명 제1세대 저그게이머들의 모습이 보였고 그 모습은 지금 보면 그다지
화려하지도 않고 멋있지도 않은 지금 아마추어 고수라면 충분히 할 플레이들이
많았습니다. 지금의 박태민 선수에게는 운신(운영의 신)이란 별명이 쭈욱 붙어다니고 있죠.

또하나의 완성저그 박태민 선수는 아쉽게도 첫 개인전 결승인 2차프리미어리그에서는
우승을 차지하지는 못했습니다. 그 2차 프리미어리그의 우승은 첫 완성형 저그인 박성준
선수였으니까요. 그러나 심기일전 개인전 결승에서의 그 떨리는 문제를 말끔히 해결하고
당신은 골프왕배 MSL에서 제3세대 저그에게 그렇게 눈물을 뿌리게 했던 이윤열 선수를
상대로 4:2라는 더블스코어를 만들며 우승을 차지하게 되죠.

이 두 선수에게는 제3세대 저그까지 문제점으로 지적된 3가지의 요인이 말끔히 나아지고
그들만의 힘으로 타이밍을 언제 어디서라도 잡을 수 있고 기복을 조절할 수 있는 운영을
보여주기에까지 이릅니다. 말 그대로 저그의 꽃이 피고 열매가 맺기 시작한거라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아직도 타이밍면에서는 4세대도 조금은 부족한 편입니다.
배짱도 과거 제1세대부터 제3세대 보다는 많이 나아졌습니다만
이제 2%도 아닌 배짱은 1.5% 부족할 뿐입니다.
이 두 부분을 메꾸는 저그가 또 나올지 아니면 제4세대 저그가 그 단점마저 보완하고
진짜 이 스타일을 전파시킬 완성타입의 저그가 될런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그리고 제3세대 저그도 절망할 필요는 절대 없습니다.
왜? 저그의 특징은 바로 흡수 아닙니까?
그들도 제4세대 저그인 저 둘의 특징을 흡수해서 당장은 아니겠지만 결국 완성타입
저그가 될 것이라고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그리고 저 시대저그의 최정상에 있지 않은 저그 게이머들이라 하더라도 더 열심히 해서
저들의 특성을 얼른 흡수해서 더 좋은 저그게이머들이 많이 등장하기를 기원합니다.

----------------

from. Darkstar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료코/Ryoko
05/02/11 20:10
수정 아이콘
제가 알고있는 투신은..
전투(쟁)의 신인데 둘다 맞는거죠?
05/02/11 20:15
수정 아이콘
문득 이 글을 보고 흡수란 말을 보니까.....

저그란 종족 자체의 컨셉이 흡수란 말이 떠올랐다는...

스타크래프트에서 스토리 상으로 저그란 종족이 왜 최강의 종족이 되었는지에 대한 이유가 떠오르더군요.

모든 종족들의 이점들을 흡수해나가 자신들 종족으로 귀화시켜버리는 무서운 종족 저그...

아마도 흡수란 종족 본능때문에 스타크 최강의 종족이 되지 않았나 싶습니다.

물론 스토리 상으로 저그가 우주를 좌지우지하는 세력으로 말이죠...

어찌보면 지금 박성준 박태민 이 저그들을 능가하는 계속되는 흡수를 통한 발전이 저그라는 종족에게서 계속 나타날지도 모르겠네요.

저그란 종족 이념 자체가 흡수이니 말이죠...
지수냥~♬
05/02/11 20:17
수정 아이콘
멋진 글이네요 ㅇ,.ㅇ!!

저그유져로서 .. 뭐랄까 찡 하다고나 할까요?
그런느낌이 들었어요
05/02/11 20:22
수정 아이콘
플토 유저로써... 저그 참 징그럽습니다. -_-;;

싱글 미션 깨가면서 오버마인드가 프로토스 종족을 흡수하려고 하는 실험.... 그걸 듣고 오싹했다는....

참 타 종족 입장에서 보면.... 징그러운 종족이에요 -_-;;

결국에는 오버마인드가 소멸되어서 실패로 끝나기는 했지만 그나마 테란 고스트 케리건 양을 흡수했잖아요....느무느무 징그러웠음 ㅠㅠ

브루드워 보너스 레벨에서 프로토스와 저그의 융합체에 관한 메시지를 보고 덜덜덜...

스타2 나오면 저그랑 프로토스가 융합되는 종족이 나올수도 있겠다는...

암튼 저그라는 종족 정말 무섭네요...
NeverStop
05/02/11 20:30
수정 아이콘
박태민 선수는 4세대라고 보기엔;;;
지금만큼이야 성적이 안나오긴 했지만, 엄연히 따지면 박선수도 2세대
minyuhee
05/02/11 21:13
수정 아이콘
저그 프로토스 융합종은 저그의 의지가 아니었죠.
그걸 만든 듀란은 살아남은 젤 나가일 거라는 설이 많지요,
Judas Pain
05/02/11 21:21
수정 아이콘
다듬어진 글은 아니지만, 직관적으로 상당히 흥미로운 생각들이 글쓴이의 머릿속에 있음을 느낄 수 있는데요.,,

쪼금만 더, 쪼금만 더... 하면 뭔가 잡힐듯한 그림이 보여집니다

글쓰신 분의 저그변천사에 대한 '완성형' 버젼을 기대합니다

생각해 보면 저그의 1~4세대가 겪었던 변혁은

현 시점에서 한 유저가 저그로 실력을 쌓는다고 했을때 초보에서 고수로 점점 실력이 쌓이는 과정에서 겪게되는 변형과정으로 다시 축소되어 보여지게 됩니다

그런저런 여러점에서 볼때, 왠지 저그는 집단적으로 진화하는 듯한 느낌이 강하게 드는 종족입니다

덕분에 개성의 부분에서는 큰 두축을 제외하고는 특색이 잘 갈리지 않는듯 합니다


그리고 한가지 더 저그의 변천사에서 홍진호는 상당히 예외적인 존재라 생각합니다 가장 비저그스러운면서도 그때문에 저그만이 가능한 플레이를 해냈던 홍진에 대한 정확하고 상세한 가치평가가 저그 변천사를 완성시키는 키가 되지 않을까 합니다
마음속의빛
05/02/11 22:07
수정 아이콘
내용이 눈에 들어오는 1~5줄 글을 대충 확인하면서 제가 가장 좋아하는 형식의 글이라는 느낌이 들더군요... 개인의 주관으로 이루어진 글이지만, 읽는 재미가 있는 글이였습니다. 감사드립니다.
05/02/11 22:51
수정 아이콘
아주 흥미로운 글입니다.
다만 조금만 더 보완하셔서... 완결을 내주시면 어떨까 합니다.
그럴만한 가치가 있는 소재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저그유저이기 때문일지도 모르지만...)
저그ZerG
05/02/11 23:47
수정 아이콘
2% 부족한글이라는 생각이...
물론 저에게 쓰라고 시키신다면 이만한 글을 쓸 수 없겠습니다만... 조금만 다듬으면 정말 '굉장한' 글이 될 수 있었을텐데...
아쉽다는 생각이 드네요 ^_^
묵향지기
05/02/11 23:53
수정 아이콘
좋은글 읽고갑니다.^^
05/03/08 18:05
수정 아이콘
딴지는 아니지만 박경락 선수는 절대 공격적이지 않습니다. 일단 부자가 된이후에 몰아부치는 스타일이기에 조용호선수에 가까울지도 홍진호, 박성준 선수처럼 '드론'을 아껴서 절대 공격에 투자하지않습니다, '타이밍'을 아껴서 공격에 투자하지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1095 정녕 이렇게 살아도 좋은가? [12] 별마을사람들3368 05/02/17 3368 0
10963 오늘 병무청을 다녀왔습니다. [7] Flyagain3098 05/02/11 3098 0
10960 저그유저의 변천 그리고 미래 - 어느 회원으로부터의 이야기 [12] Ace of Base3985 05/02/11 3985 0
10947 사과드리겠습니다. 그리고 좀 다듬어서 글을 올립니다. [184] 작곡가인구6510 05/02/10 6510 0
10917 지율스님의 10가지 실수 [140] 정애숙7367 05/02/08 7367 0
10766 [亂兎]그분의 큰 뜻이, 드디어 이루어 졌습니다. [31] 난폭토끼3697 05/02/04 3697 0
10713 드디어 프로토스에도.. 미래가 보입니다... ..^^ [20] 파라토스★5231 05/02/01 5231 0
10673 '둘째'가 훌륭히 살아가야할 이유를 확인시켜 주신 분들께...감사 [24] 정일훈3853 05/01/31 3853 0
10608 나의 목표를 향하여... [7] Lunatic Love3695 05/01/26 3695 0
10588 지난 주 '눈을 떠요' 보셨습니까? [26] Timeless5028 05/01/25 5028 0
9965 선수발굴 능력과 여러가지 잡다한 생각들.... [44] 낭만메카닉3818 04/12/30 3818 0
9557 어떤말이 맞는 말이야?? (표준어사용) [1] [20] yoon_terran3229 04/12/09 3229 0
9240 잊어요. 잊어야만 돼요... (오타수정) [15] 요린★3204 04/11/23 3204 0
9192 1,2라운드는 3라운드를 위한 포석 [7] Ace of Base3264 04/11/21 3264 0
9150 @@ 황제의 아름다운 눈물...그리고 OOV 의 미래 ...!! [5] 메딕아빠3178 04/11/20 3178 0
8894 퍼온 글입니다. [32] Bright Size Life4706 04/11/12 4706 0
8753 테란,플토 뫼비우스의 띠의 전장 속으로.. [17] calmaja3640 04/11/03 3640 0
8682 이제는 아마와 프로간에 차이가 있어야 하지않을까? [42] SEIJI4685 04/11/01 4685 0
8579 밤비노의 저주가 풀렸군요. [16] 산적3180 04/10/28 3180 0
8499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 [주의] 엄청 깁니다. ) [6] 비롱투란3373 04/10/25 3373 0
8421 KTF팀에 대한 이상한 편견과... 루머와... 비난...? [31] 똑딱이4679 04/10/21 4679 0
8346 한 사람의 토스유저로서.. [5] 뉴[SuhmT]3830 04/10/18 3830 0
8223 미래의 스타리그.. 생각해보셨나요^^ [10] 뉴[SuhmT]3590 04/10/13 359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