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5/02/06 20:25:42
Name 바카스
Subject 팀달록.. 제2의 임진록이 될 것인가..?
지금 벌어지고 있는 5차 엠비씨 메이저 스타리그 당신을 골프왕 파이널.

4:1로 박태민 선수가 우승하나 했으나 역시 구름싸베는 사기라는 것을 입증하는 또 하나의 경기였습니다.

여튼 스코어는 3:2로 이윤열 선수가 아직 벼랑 끝에 서 있는 것이
사실이긴하나 역전의 명수 이윤열 선수가 또 어떤 사고를 칠지 모르죠.

허나 박태민 선수 역시 이를 가만히 용납할 선수도 아니구요^^;


04~05년 들어서 이상하게 박태민vs이윤열의 대진이 많았는데요.

2차 프리미어 리그에서 박태민 선수가 루나에서 당시 연승 행진을 하던 이윤열 선수를 꺾은 뒤 되려 자신이 방송경기 19연승을 하는 기묘한 일도 있었죠.

여튼 5차 메이저 승자 결승에서 3:2로 아쉽게 박태민 선수의 패배.
지금 펼쳐지고 있는 파이널도 3:2의 박빙의 승부.

게다가 이번주 금요일이면 아이옵스 온게임넷 스타리그 4강에서도 이 두 선수가 격돌을 하게 됩니다^^;

물론 예전 이윤열 선수가 한창 대회를 휩쓸 때 조용호 선수가 거론되며 제2의 임요환,홍진호 구도다 라는 말도 많았지만 통합 전적과 경기에서의 내용을 보면 조용호 선수가 원사이드한 경기가 더 많았습니다.

그러나 이번 팀달록은 정말 뭔가가 다르군요.
임진록처럼 매 경기경기가 정말 대박입니다.
(특히 승자 결승 1, 5차전과 지금 파이널 1차전은 정말 할 말이 없게 만들어 버리는군요^^乃)



아무튼 박태민 선수가 6경기를 잡음으로써 4:2로 종지부를 찍든
아니면 7차전까지 가서 두 선수 중 한명이 4:3으로 우승하든

정말 게임을 사랑하는 대한민국의 두 사나이가 멋지게 한판 붙었다는 것과
앞으로도 계속 그럴 것이라는 것을

팬들은 영원히 잊지 않을 것이고
당연히 그럴 것이라는 것을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이윤열 선수. 박태민 선수!!
파이팅입니다 ^ㅁ^//




뱀다리
왜 이윤열 선수와 박태민 선수의 대결을 팀달록이라고 하는 것인가라고 물으신다면
DC에서 두 선수의 닉네임이 수달, 팀민이고 그것을 줄여서 "팀달록"이라고 답할 수가 있겠군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edelweis_s
05/02/06 20:27
수정 아이콘
제가 본 3차전까지는 정말 멋진 경기들이었습니다. 다음은 실시간이 끊겨서 보지 못했지만. 팀달록이라... 어감도 좋고 귀여운 느낌이 들어서 좋네요.
Ace of Base
05/02/06 20:28
수정 아이콘
관심도는 임진록이고
경기력은 팀달록이 훨씬 앞서죠...
이미 대세 - -...

그나저나 엠겜 실시간...에혀..
김평수
05/02/06 20:31
수정 아이콘
진정한 x맨은 엠겜 -_- 실시간 한숨나오죠
박서야힘내라
05/02/06 20:31
수정 아이콘
임진록도 옛날엔 만만치 않았죠.....최고였는데
벙커링3:0 때문에 좀 그랬지만^^
제리맥과이어
05/02/06 20:34
수정 아이콘
이윤열선수의 가장 유명한 역전은 KPGA 2차대회 결승전에서 홍진호선수에게 2:0으로 지고 있다가 2:3으로 역전우승한거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번에는 박태민선수가 훨씬 강해보이네요.
evergreen
05/02/06 20:39
수정 아이콘
박태민선수 위기입니다. 아...
evergreen
05/02/06 20:45
수정 아이콘
박태민선수 우승 바로 문턱까지 와있습니다. 여기서 못넘으면 이제 남은기회에 넘기가 힘들지도 모릅니다.
evergreen
05/02/06 20:45
수정 아이콘
문턱위에 올라선 박태민선수 이제 문을 넘기직전,.
evergreen
05/02/06 20:46
수정 아이콘
아 이윤열. 지는건 시간문제가 되버렸네요. 박태민선수멀티를 공격할 방법이 없어요. 반면 박태민선수는 엘리시켜버리려는것 같음.
evergreen
05/02/06 20:47
수정 아이콘
아! 멀티를 하나씩 파괴하는 이윤열. 어떻게 될지 정말 모르겠습니다. 도대체 어떻게 되는거야.
evergreen
05/02/06 20:48
수정 아이콘
힘드네요. 경기 98%정도 잡았습니다. gg는 시간문제인것같은 상황
상어이빨
05/02/06 20:51
수정 아이콘
승리가 눈앞에~~!! 박태민...아자자~!!! 드디어 우승이닷~!! 좀 더 아자~!
저그ZerG
05/02/06 20:56
수정 아이콘
박태민선수 우승!
뉴타입
05/02/06 20:59
수정 아이콘
머씨테란의 시대는 가고 박씨저그의 시대가 도래했습니다.
evergreen
05/02/06 21:02
수정 아이콘
박씨저그!!!!!! 박태민선수 드디어 드디어! 제대로된 우승컵을 품에 앉고 2005년은 저그의 해가 될것을 암시합니다.
샤프리 ♬
05/02/06 21:05
수정 아이콘
경기력은 개개인의 마음속에 있는거죠~
저의 마음속의 최고의 경기력 임진록 +_ +
리프린
05/02/06 21:46
수정 아이콘
제2의 임진록보다는 제1의 팀달록이 더 좋겠죠. 너무 멋진 경기 봐주셔서 두 선수에게 감사드리고 있습니다:D
05/02/06 21:58
수정 아이콘
팀달록.. 아무리 생각해도 말이 너무 이상합니다.. 두선수 팬인 저로선.. 괜히 꼬는 것같기도 하고 그렇습니다.
그리고 임진록이 대단한건 알겠지만.. 그들 팬이 아닌 사람에겐 또 그저 그런것입니다. 중요하지 않다는게 아니라..
예를 들어.. 제가 좋아하는 선수인 최연성 대 이윤열(최고 관심가는 경기)
혹은 강민 대 이윤열이라든지.. 서지훈 대 박태민 등등에 비해선 중요도가 낮을 수 밖에 없다는거죠.
그러니 제2의 임진록이니 이런말 별로네요.. 바카스님은 어떤 이야기를 하든지 임요환선수랑 연관시키고 싶어하는 것 같군요.
나른한 오후
05/02/06 22:09
수정 아이콘
달리님/임진록은 게임계에서 가장 각광받는 조합 중에 하나이고 그만큼 '팀달록이 재밌었다'는 얘기죠..^^; 요지는 재밌었다.. 비유로 임진록을 든 것 뿐..
.........
05/02/06 22:12
수정 아이콘
구름싸베가 사기라는것을 입증해준 경기였습니다..
구름싸베가 되기까지 하기도힘들죠? 무슨 사기입니까? 사베 안잡히는 컨트롤은 발로 하나요?
제로윈
05/02/06 22:16
수정 아이콘
나른한 오후/ 그냥 70만의 팬들이 가장 즐기는 임진록이라 하셔야지..
05/02/06 22:54
수정 아이콘
히럴하면 사베가 2부대라도 어택땅으로도 테란상대가능
하지만 레이드어썰트라는 히럴을 아예 금지시킨 맵때문에 구름사베가 거론되는거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915 피지알 말이죠^^ [38] 총알이 모자라.4500 05/02/08 4500 0
10914 드디어 오늘입니다. [16] 세상에서젤중4493 05/02/08 4493 0
10913 밤 10시가 다되어서 세중게임월드를 갔는데.. [10] 아..너무 많네4427 05/02/08 4427 0
10911 효도는 일찍 하는게 좋습니다 뒤늦게 후회하지 마세요 [14] 치토스4292 05/02/08 4292 0
10910 KTF 우승한지 2년이 넘었다...징크스인가? [26] 원가스울트라4858 05/02/08 4858 0
10909 pgr에서의 글을 '걸러' 읽는다는 것 [9] 롱다리최3780 05/02/08 3780 0
10908 '논리'라는 것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3] 비류3682 05/02/07 3682 0
10905 요즘 자게의 분위기... (제목수정) [30] RedTail3989 05/02/07 3989 0
10904 오늘 피터 선수 모습 멋있었습니다.. [24] 제로스3983 05/02/07 3983 0
10903 이젠 그들만의 게임중계는 지겹다. [102] bobori12348074 05/02/07 8074 0
10900 복수의 스타리그. [10] 하심군4128 05/02/07 4128 0
10895 프로토스의 이름으로 스타크레프트를 접수한다 [27] 상갓집개3818 05/02/07 3818 0
10894 Msl결승전....을 다녀와서. [19] 도루묵~!3656 05/02/07 3656 0
10893 저는 어쩔수 없는 윤열선수의 '빠'인가봅니다 [20] 하이메3892 05/02/07 3892 0
10892 ToT 클랜 과 Hyo 클랜 Regame 결과 올려봅니다.. [30] 제로스5685 05/02/07 5685 0
10890 저그와 테란 밸런스의 절정기를 달린다. 그리고 어느새 훌쩍 커버린.. [17] Ace of Base5181 05/02/07 5181 0
10889 Mozilla Firefox를 추천합니다. [18] 好色家3502 05/02/07 3502 0
10888 제 생각입니다. 시상식에서 [12] 청수선생3847 05/02/07 3847 0
10887 메가웹에서 느낀 장애우에 관한 글 입니다. [41] WinForHer★승주3531 05/02/07 3531 0
10886 VIP석은 왜 있는겁니까?? [31] 자갈치4991 05/02/06 4991 0
10885 [MSL 결승후기] 저그는 더 이상 결승의 제물이 아니다! [18] 하얀그림자5246 05/02/06 5246 0
10883 [잡담] 타이밍은 중요하죠. 굉장히요. [3] 안전제일4327 05/02/06 4327 0
10882 왜 프로토스는 성큰을 공성병기로 공략하지 않는 겁니까? [49] minyuhee6038 05/02/06 6038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