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선거 기간동안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2/03/12 03:32:03
Name VictoryFood
File #1 1.jpg (55.3 KB), Download : 9
Subject [일반] 6공화국 역대 대통령 다 선출한 지역.jpg


선게가 닫히기 전에 가벼운 애기도 해봅시다

직선제가 시작된 1987년 13대 대통령 선거 이후 모든 선거에서 1위 후보가 우세를 보인 지역입니다.

19대 대통령까지 7번 대통령 선출에 성공한 지역은 15곳이었는데 이번 선거에서 9곳이나 대거 탈락하는 바람에 6곳 남았네요.
특히 경기/인천 지역 전멸이 눈에 띕니다.

그래서 아직도 6공화국의 모든 대통령을 선출한 지역은

충북 청주시 상당구
충북 청주시 흥덕구
충북 증평군
충북 음성군
충북 옥천군
충남 금산군

입니다.

충청도만 남았네요.

청주시도 자치구가 아닌 일반구인 것을 감안하면 기초자치단체 중에서는 증평, 음성, 옥천, 금산 단 4곳 뿐이구요.

다음 대선에서는 이 중 몇개 지역이 또 대통령을 선출하게 될지 궁금하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지락곰
22/03/12 03:46
수정 아이콘
신도시 영향으로 인한 표심 변화로 수도권 지역이 전멸해버렸군요.
사이먼도미닉
22/03/12 03:58
수정 아이콘
남양주는 보수 성향의 지역으로 알고 있었는데 별내, 다산 신도시로 변해버린 게 있는 거 같아요.
22/03/12 18:50
수정 아이콘
안성, 평택, 남양주 원래 다 보수 성향이었는데 신도시의 영향으로 3040인구 유입이 많았습니다.
포인트가드
22/03/12 05:16
수정 아이콘
증평 바로미터는 공중파 티비에서도 얘기하더라구요
티모대위
22/03/12 05:38
수정 아이콘
역시 균형의 수호자 충북..
22/03/12 06:18
수정 아이콘
sbs개표방송에서 이거 언급하던데
이번대선빼고는 구리시가 득표율까지 가장 근접하게 맞추었다고 하더라고요
구리시는 이번대선은 1번50퍼 2번46퍼로 광탈했습니다
활화산
22/03/12 06:39
수정 아이콘
저는 대통령 선거한 이래로 5번 모두 적중인데, 혹시 7번 다 적중하신 분 계시면 댓글 달아주시면 좋겠습니다.
곰돌이푸
22/03/12 06:45
수정 아이콘
나의 구리시가... 대선 결과만큼 궁금했는데 아쉬웠습니다.
새벽목장
22/03/12 08:33
수정 아이콘
이쯤되면 멍청도라 부를수없엇..!
wish buRn
22/03/12 09:04
수정 아이콘
기만자들
22/03/12 19:41
수정 아이콘
실눈캐같은 거네요
StayAway
22/03/12 10:59
수정 아이콘
난 잘 모르겠슈~~~ (수정구를 돌린다..)
22/03/13 00:14
수정 아이콘
빵 터졌네요 크크
시나브로
22/03/14 15:23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크
22/03/12 11:12
수정 아이콘
이런거 보면 볼수록 안희정이 멀쩡하게 나왔으면 볼것도 없었겠단 생각이 드네요
사이퍼
22/03/12 11:17
수정 아이콘
갈등의 시대에 연정, 통합을 강조한 사람이라 더 좋았겠다는 생각도 듭니다
마감은 지키자
22/03/12 14:34
수정 아이콘
충청도 정확성 보소…
22/03/12 18:50
수정 아이콘
충청도를 잡아야 대선에서 이기는것은 국룰인듯 합니다.
스덕선생
22/03/12 21:3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역대 선거를 보면 전라광주 vs 대구경북 + 강원은 고정이고 경남이 5~6대 3~4 정도 비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런 만큼 충청도에서 표를 얼마나 가져올 수 있느냐가 대선의 승부처인듯 합니다.

민주화 이후 대선 중 유일한 언더독의 역전승이라는 16대 대선에선 충청도를 겨냥한 행정수도 공약이 있었고 엄청난 반향을 이끌어냈죠.
5년 전 15대 대선에선 이인제 + 이회창의 충청도 지지율은 도합 65%에 달했는데, 16대 대선에선 40% 안팎에 그쳤을 정도로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904 [일반] 전장연, 23일까지 인수위 답변 없으면 24일부터 지하철 시위 재개 [68] 아이n10823 22/03/14 10823
5903 [일반] 찻잔 속 태풍이라던 성별갈등 [124] 치느12363 22/03/14 12363
5902 [일반] 한국의 정치, 그리고 선순환 [19] 烏鳳5153 22/03/14 5153
5901 [일반] 민주당 비대위원직을 수락한 조응천 의원의 수락의 변 [76] 트루할러데이10441 22/03/14 10441
5900 [일반]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예측 (국민의힘이 방심할 수 없는 이유) [141] 퇴사자10052 22/03/14 10052
5899 [일반] 윤석열 당선인이 여가부 폐지 입장을 공식적으로 재확인했습니다. [138] giants17546 22/03/13 17546
5897 [일반] 광주에서 38%가 나온 투표소가 있다? [53] Leeka12252 22/03/13 12252
5896 [일반] 민주당은 정말 여성표를 더 받았나? [110] Leeka14210 22/03/13 14210
5895 [일반] K-페미니즘의 행보 [69] 르블랑10357 22/03/13 10357
5894 [일반] 민주당이 비대위 명단을 발표 했습니다 [188] 서브탱크13595 22/03/13 13595
5893 [일반] 선거 패배 후 솔직하게 써보는 민주당 비판+국힘 비판 [166] Crochen13250 22/03/13 13250
5892 [일반] 더불어민주당 권리당원 가입 신청 했습니다 [51] MovingIsLiving10603 22/03/12 10603
5891 [일반] 1번남? 2번녀? - 페미니즘 해소에 관하여 [57] 삭제됨7571 22/03/12 7571
5890 [일반] 20대 대선 즈음의 정치 지형에 대한 소고 [96] 과수원옆집10749 22/03/12 10749
5889 [일반] 윤 당선에 '출산 보이콧' 하는 2030 여성 [158] 아이n15708 22/03/12 15708
5888 [일반] 문재인 대통령은 왜 부동산 문제는 자신있다고 장담했을까? [110] ifantasora11625 22/03/12 11625
5887 [일반] 6공화국 역대 대통령 다 선출한 지역.jpg [19] VictoryFood6801 22/03/12 6801
5886 [일반] 이번 대선 윤석열 당선에 결정적인 기여를 한 세대 [33] 지락곰9366 22/03/12 9366
5885 [일반] 아무리 공약이라도 정말 이걸 할까요 [113] 잉명12017 22/03/12 12017
5884 [일반] 이재명 후보가 3일전에 각 커뮤니티에 올린 홍보영상. [47] 달리와8272 22/03/11 8272
5883 [일반] 원희룡은 영리병원의 선구자인가? [47] 아이n6406 22/03/11 6406
5882 [일반] 흥미로워 보이는 민주당 당원 가입 폭증 [98] 치느10803 22/03/11 10803
5881 [일반] 이번 대선후기 왜 2번을 선택했는가? [15] TAEYEON5153 22/03/11 515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