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10/04/02 12:48:46
Name 앵콜요청금지
Subject 준위는 진급이 사실상 없는건가요?
'황당' 여권, 고 한주호 준위를 소위로 강등?
한나라의 1계급 특진 제안, 유족들 불쾌해 하며 고사
2010-04-01 23:31:47

--------------------------------------------------------------------------------

천안함 실종자 구조작업을 하다가 순직한 고 한주호 준위(53)에게 정부여당이 1계급 특진을 하려다가 유족들에게 거부당했다. 정부여권은 선의에서 '준위'를 '소위'로 특진시키겠다고 했으나 이는 실제 군 서열상 소위는 준위보다 낮은 것이어서, 정부여당이 군 서열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게 아니냐는 눈총을 사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은 고 한주호 준위 순직과 관련, 최고의 예우를 하라고 지시했고 이에 정부는 보국훈장 광복장을 추서하고 장례를 해군장(5일장)으로 격상하는 등 최고의 예우를 하려 애썼다. 문제는 한나라당이 고인의 직위를 준위에서 소위에서 1계급 특진시키려 한 것. 이에 대해 유가족 측은 “그렇게 해주지 않아도 된다”며 정중히 고사했다.

'준위'는 명목상 군 서열상 '소위'보다 아래다. 그러나 실제 군 서열상 서열은 다르다. 소위는 장교로 간 입대 초년생이 받는 직급이다. 반면에 준위는 직업군인의 최상위 직급이다.

한주호 준위는 군에서 33년간 복무했다. 때문에 그는 군에서 신참병인 소위는 말할 것도 없고, 중위·대위도 극도로 존중하는 것은 물론, 소령 이상 영관급 중견간부들도 존대하는 직업군인 최고참이다. 그런 그에게 정부여당이 예우를 하겠다면서 신창병 직급인 소위로 특진시키겠다고 했으니, 유족들이 내심 불쾌감을 숨기며 이를 고사한 것도 당연한 일이다. 내용적으로는 특진이 아니라 '강등'에 다름 아니기 때문이다.

정부여당이 고인을 특진시키겠다는 것은 물론 '선의'였다. 문제는 그러나 정부여당이 사실상의 군 서열조차 모르고 있었다는 사실이다. 가뜩이나 정부여당 고위관계자들이 대부분 병역면제자라는 점 때문에 세간의 눈총이 따가운 시점에 또다시 이처럼 황당한 일이 벌어져, 정부여당에 대한 불신은 더욱 증폭되는 양상이다.

천안함 사태를 계기로 지도층의 군 병역 문제가 다시 수면위로 급부상하고 있다. 참고로 '병역의 의무'를 채택하고 있는 외국의 경우 공직에 들어갈 때 병역 수료 여부가 최대 검증 잣대가 되고 있다. 싱가폴의 경우는 병역 의무를 이행하지 않은 자는 원천적으로 공직자가 될 수 없다.




------------------------------------

이 기사를 보고 생긴의문인데

저도 계급상 소위가 준위보다 높다는건 들어본것 같은데

부대에 근무할때 수송관이 준위였는데 사실상 부대에서 실세였거든요. 대위인 포대장들도 별말 못하고

사실상 대대장한테도 별 꿀릴게없다는 느낌을 많이 받았었습니다.

준위가 되게되면 별 문제없으면 그냥 준위로 전역하는 건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똘똘이 숨어푸
10/04/02 12:50
수정 아이콘
준위는 호봉만 올라가는 걸로 알고있는 예비역1인입니다.. 솔직히 소위는 일병정도 수준아닌가요.?
부대 마다 좀 다를 수도 있겠지만요 :)
10/04/02 12:51
수정 아이콘
보통은 그렇죠. 부사관과 사관(장교) 사이에 있는 계급이 준사관급이고 준사관은 준위 하나 뿐이죠.
다른 군도 비슷할 거라 생각하는데 공군의 경우 원사를 달고 나서 몇몇 조건을 충족시키면 시험을 봐서 준위가 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사실상 부사관으로 올라갈 수 있는 최고 계급인 거죠.
뿌지직
10/04/02 12:53
수정 아이콘
준위는 특수한 보직입니다. 부사관도 아니고 장교도 아닌 어중간한 위치에 있어서 준사관이라고도 하는데.. 준위 위로 올라가는 계급은 없을 겁니다. 그냥 준위로 전역하는거죠..

군대는 계급도 중요하지만 짬밥도 중요합니다. 당연히 짬밥 높은 준위에게는 중대장, 대대장도 함부로 못하죠...

계급상 원사보다 소위가 높지만 소위가 원사한테 함부로 하지 않죠..

군대가 계급사회이긴 하지만 어느정도 나이대접은 해줍니다.

사담으로 준위같은경우는 특수한 역할을 하다보니 돈을 많이 번답니다. 듣기로 공군 준위가 월 800 이상을 번다고....
부엉이
10/04/02 12:53
수정 아이콘
하는 일이 다른관계로....생산직부장을 관리부막내로 데려가는 느낌이죠.
10/04/02 12:55
수정 아이콘
그냥 계급 상으로 따지면 준위 바로 위가 소위인데

소위는 그냥 장교시작하면 달아주는게 소위고 준위는 거의 군생활을 30년 내외로 한분이 달죠(보통 부사관 상, 원사에서 준위로)

그냥 비교자체가 안됩니다.

받는 돈도 천지 차이고 ROTC\와 동급이되는...?
10/04/02 12:56
수정 아이콘
특수 보직이죠... 준위가 머리 총맞지 않는이상 소위로 진급할 일은 없죠..
권보아
10/04/02 12:59
수정 아이콘
사관학교, ROTC, OCS를 통과해서 임관하는 장교는 소위를 달고 임관하게 됩니다.

준위는 부사관으로써 올라갈수있는 최고 계급입니다.

상,원사에서 시험을 쳐서 임관하게되고

해군의 경우 사관회의, 사관식사는 장교들만 하게 되어있는데

부사관 출신으로써 유일하게 참가할수있는 계급이 준위입니다.

준위는 각종 장교대우를 받게 되어있으며 계급장도 장교의 표식인 다이아몬드를 달게 되어 있습니다.

계급서열이 준위가 소위보다 낮기에 준위가 소위에게 존대를 하는게 원칙입니다.

허나 소위 역시 군복무를 오래한 준위에게 존중차원에서 존대를 하게 되고,

근무년수가 비슷한 대령이상 영관급이 아니면 하대하기 어렵습니다.

공무원의 경우 7급이상 시험을 통과한 공무원이, 오래 근무한 공무원들보다 위에 있는경우랑 동일합니다.

각종 나라에 공을 세운 병장들이 순직하여 1계급 특진하면 하사가 되는것처럼 생각했던 정부지만

병 -> 부사관 이나 부사관 -> 장교으로써의 신분전환 차원의 특진이었다면 별문제가 없겠으나

부사관 최고계급 -> 장교 최하위계급 로써의 특진이었기에 말이 나온것입니다.
필요없어
10/04/02 13:13
수정 아이콘
그냥 군대 안간거 인증한거죠. 웃기는 나라입니다.
10/04/02 13:14
수정 아이콘
미군 같은 경우 준위와 동계급인 WO(warren officer)가 CW1(CWO, Chief Warren Officer), CW2, CW3, CW4까지 진급합니다. 사실상 호봉 개념으로 올라가는 셈이죠. 이걸 2LT 만들어 버렸으니...
10/04/02 13:23
수정 아이콘
한준위님이 살아서 공을 많이 세워서 소위로 특진했다면, 과연 사람들이 그를 다른 소위들과 똑같이 대할까요?
여기는 '다른 소위들과 똑같이 대할' 분들이 많이 계신듯 하네요.
10/04/02 13:30
수정 아이콘
살아 있을때 큰 공을 세웠다고 하더라도 준사관에서 장교 막내계급으로 특진을 추진했을 리가 없다고 보고요.
만에 하나 그렇다고 하더라도 본인이 특진을 사양했을 겁니다...
준사관은 기술직이고 그 분야에서는 누가 대신해 줄 수 없는 자리에 한해서 있으니까요.
계급은 소위 바로 아래일지라도 대우나 자부심은 소위와 비교할 것이 못됩니다.
제가 있던 처부의 담당관이 대대에 2명 있던 준위 중 1명이었는데요.
특전사에서 통신쪽 상사하다가 시험 보고 합격하셔서 오셨거든요. 대대장 외 다른 장교들이 하대를 하지 못합니다...

윗 분들이 그렇게 말씀하시는 것은
특진을 추진한 주체가 군 계급의 특성 및 상황을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에
1계급 특진 이야기를 한 것이 명백하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몽키.D.루피
10/04/02 14:04
수정 아이콘
군대는 짬입니다. 대령 헌병대장에게 별들이 경례하는 곳이 군대입니다.(참고로 그 헌병대장님의 동기는 군단장(별3개)이였음)
1년 반 짬밥 먹은 병장들에게 물어보세요. 소위 달고 싶냐고..
10/04/02 14:06
수정 아이콘
제가 기무대 나왔는데, 저희 부대장(중령)님도 준위분들께는 존댓말 했습니다. 나이도 나이지만 능력 없으면 준위 못 달아요.
소령은 말할 것도 없고 중령,대령들도 함부로 못합니다.
10/04/02 14:13
수정 아이콘
공익으로 마친 제가 아는 얘기를 저런식으로 하는 분은 또 첨보네요 크크크크크크크

준위서 소위 진급하는 사례를 만들자니

그럼 상사->원사->준위 계급도 일반 위관 계급 달듯 확확 바뀌어야 된다는 소리 입니다.

결국에는 부사관 장교 라인 모두 없애버리고 한 굴레서 묶자는 말씀을 자연스레 하시는 군요.
DeepImpact
10/04/02 14:17
수정 아이콘
계급체계상 장교가 부사관보다 높다 하나 이것이 실제로 통용되는건 아니죠 -_-
부사관과 장교단은 서로 untouchable입니다. 건드리지도, 간섭하지도 않죠.
하물며 부사관으로서 오를수 있는 최고의 계급인 준위에 오른사람에게 소위로 진급할꺼냐고 물어보십쇼 한번
백이면 백, 천이면 천 진급안합니다.
대령도 원사에게 존대써주는데 하물며 준위는 오죽할까요
DeepImpact
10/04/02 14:19
수정 아이콘
장교로서 오를수 있는 최고의 계급이 대장이라면
부사관으로서 오를수 있는 최고의 계급은 준위입니다.
물론 둘을 비교하는것 자체가 많이 에러이긴 하지만
부사관으로서 오를수 있는 최고의 자리에 오른사람에게 장교단막내로 시작하라고하면 과연 그 누가 할까요?
10/04/02 14:25
수정 아이콘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2&aid=0000002544
미안합니다. 선례가 있었는데 몰랐습니다.
The xian
10/04/02 14:42
수정 아이콘
Blanc님// 국방일보 기사입니다.

http://kookbang.dema.mil.kr/kdd/PolicyTypeView.jsp?writeDate=20030820&writeDateChk=20030818&menuCd=3001&menuSeq=1&kindSeq=1&menuCnt=30911

육군은 지난 14일 공중 중계소 운용 훈련중 순직한 이들의 고귀한 희생정신을 기리기 위해
'방호준 준위를 제외한' 순국장병 6명에게 지난 14일 1계급 특진을 추서했다.

군대의 일에 뭐가 가장 정확할까요? 두말 않겠습니다.
10/04/02 14:51
수정 아이콘
잘못알고 있었네요. 라고 말하시면 서로 기분좋게 해결될일을..
Illskillz
10/04/02 14:52
수정 아이콘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이 맞긴 맞네요
10/04/02 15:11
수정 아이콘
이래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타인의 의견을 수용할 줄 아는 태도가 필요한가 봅니다..
信主SUNNY
10/04/02 16:20
수정 아이콘
장교 부사관 제도는 과거에 발생한 제도입니다. 귀족들이 군에 참전할 때는 소위부터 시작하고, 평민이 참전하는 경우 짬이 되더라도 원사가 되는 것이지요. 그러니 소위는 원사보다 높은 것이고, 당시에는 원사가 공을 새웠을 때 '귀족으로 인정하는' 소위로의 특진도 가능했을지 모르겠습니다.

애초부터 '준위'라는 계급이, 원사를 장교로 인정하고자 할 때 소위를 줄 수 없으니까 발생한 계급이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준위는 그냥 장교급으로 인정받은 원사입니다. 원사와 준위조차 사실상의 차이를 안두는 경우가 많은데(준위가 되면 계급은 위가 되지만, 대신 휘하가 없어집니다.), 소위와의 비교는 말도 안되는 겁니다. 명목상으로도 말도 안되는 것이구요.
10/04/02 16:33
수정 아이콘
이쯤되니 제가 군 생활하던 시절, 지금은 전설이 되어버린 한 소위와 원사의 이야기가 생각나는 군요..

임관 첫 주,
소위 : (지나가다 부대 주임원사를 보고) "어, 그래. 자네가 우리부대 주임원사인가?"
주임원사: "..."

3분 후 대령 호출.

갈굼에 싸대기까지 맞았다는 전설은 아니고 레전드 쯤 되는 일화..
앵콜요청금지
10/04/02 17:15
수정 아이콘
음 그냥두는게 좋은것이군요.많은의견 고맙습니다.
WizardMo진종
10/04/02 17:48
수정 아이콘
꽤나 재미있게 봤습니다 흐흐
클로서
10/04/02 18:10
수정 아이콘
군대를 안가신듯 하네요
아니면 명예와 짬에 대한 자긍심을 못느껴 보신듯..
응큼한늑대
10/04/02 18:21
수정 아이콘
전투장비지휘검렬때 부대 말년병장이 준위를 보고 격례안했다고
중대장님부터 뒤집어진 사건이 있었죠.
준위, 주임원사... 함부로 건들면 난리나죠.. 크크크..
군대 다녀오신 분들이면 계급 돌아가는거 어느정도 알텐데.. 씁쓸하네요..
romanson
10/04/02 20:18
수정 아이콘
이래서 가만히 있으면 반이라도 간단 소리가 있나보네요

군대부터 다녀오세요
10/04/02 21:36
수정 아이콘
주임원사되면 영관급들이랑 밥 같이 먹던데요.
상무대가보면 별들 천지라 아는데, 투스타,원스타,대령,중령,원사 이렇게 같이 밥먹고 그럽디다.
MiniAttack
10/04/02 22:11
수정 아이콘
군대 다녀오신 분이면 준위 포스가 어떠한지 다들 알고 있을텐데

미쳤다고 병장한테까지 무시받는 소위계급장을 달려고 생각하겠습니까.

명목상 소위가 더 높다고는 하지만

대학교 알티하다 군대 처음 와도 소위계급장 다는데요....

같은부대 사람들이야 군경력을알지만

다른부대 사람들이 그걸 알아볼까요...
양재원주민
10/04/03 00:34
수정 아이콘
정말 몰라서 용감하거나... 아님 본인이 쏘위?
도대체 아무도 이해할래야 할 수 없는 말들을 너무나도 떳떳이 하고 있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통합 공지사항 + 질문 게시판 이용에 관하여. [22] 항즐이 08/07/22 91169
163976 야구 질문입니다 [6] 一切唯心造75810 13/04/03 75810
163975 이런 계산이 가능한가요? [5] 시미군92771 13/04/03 92771
163974 4월말-5월초에 입고 나가기 좋은 스타일 어디서 볼 수 있나요? [2] 자음연타좀74518 13/04/03 74518
163951 쿼티폰 추천부탁드립니다 [11] 천둥64437 13/04/03 64437
163950 요즘 할만한 게임 뭐가 있나요? [10] 목화씨내놔69288 13/04/03 69288
163949 bm코드 짚기가 너무 어려운데 어떻게 하셨나요? [12] 뽀로로76032 13/04/03 76032
163948 여행사에 대해서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4] 소녀시대컴백59548 13/04/03 59548
163947 세들어사는집을 비워둔 상태인데 수도요금은 계속 내야하는건가요 ? [18] Ha.록74848 13/04/03 74848
163946 이렇게 하면 살을 얼마나 뺄 수 있을까요? [10] 연애박사71582 13/04/03 71582
163945 lol이 중고등학생 친목용 게임으론 최고인 것 같지만... [34] 창이96464 13/04/03 96464
163943 변 질문 ......... [1] 피지컬보단 멘탈58482 13/04/03 58482
163942 혹시 서울 재즈 페스티벌 가려고 계획하시는분 있으세요?! [5] Nujnah_Eab56341 13/04/03 56341
163941 류현진선수 대뷔전 [6] 가게두어라62005 13/04/03 62005
163940 노트북이 맛이 갔습니다. [1] 시지프스58313 13/04/03 58313
163939 축구 룰 질문드립니다 - 홈 & 어웨이 방식 [5] Dwyane56606 13/04/03 56606
163938 니달리와 트포에 대해서. [8] 자기 사랑 둘60720 13/04/03 60720
163937 [퍼드]60랭 진로조언+인벤 활용법좀 [5] 이즈리얼54895 13/04/03 54895
163935 악성코드 이건 어떤 프로그램이 좋나요?? [3] 김치찌개57633 13/04/03 57633
163934 경제 문제 하나 여쭤보고 싶습니다 [2] 643634632657208 13/04/03 57208
163931 미국 학생비자 질문드려요... [3] 神용재57516 13/04/03 57516
163930 발음과 발성은 후천적으로 고칠수 없나요? [12] H266773 13/04/03 66773
163929 저가형 헤드폰 하나 추천해주시겠어요? [3] azurespace52594 13/04/03 5259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