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9/10/14 19:49
왜 다른거냐면.. 씨가 다른거니까요;; 쌀과 보리가 다르듯, 일반쌀(멥쌀)과 찹쌀은 종자 자체가 다릅니다..
찹쌀쪽이 끈기가 더 많아서 밥으로 해먹는 경우보단 (찰밥이라고 해먹기는 합니다..) 가루내서 떡으로 해 먹습니다..
09/10/14 20:09
쌀 색깔로도 구별이 가능하죠.
그냥 쌀이 불투명 무색이라면,찹쌀은 흰색이 진하답니다. 보통 촌에서 찹쌀은 가족간 먹을정도만 심는걸보면 일반쌀보다 비쌈에도 수익성이 없나보더군요.(수매를 안해서 그런것일수도 있겠네요.)
09/10/14 21:55
forangel님// 수요가 적으니까요.
당연히 사람들이 매일 3번씩 꼬박꼬박 먹는 (요즘은 안그렇지만....) 멥쌀이 찹쌀보다 수요가 많겠죠...
09/10/14 23:00
앵콜요청금지님// 저.. 정말 죄송합니다만 말씀하신 부분에 약간의 오류가 있어서 첨언합니다.
글루텐은 밀가루에 들어 있는 것이고 찹쌀의 끈기는 아밀로펙틴 성분 때문입니다. 글루텐은 단백질, 아밀로펙틴은 당 성분입니다. 밥을 해 먹는 멥쌀은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펙틴이 고루 분포하고 있지만 찹쌀은 아밀로펙틴만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런 특성을 나타내게 됩니다. 물론 앵콜요청금지님께서 말씀하신 글루텐 또한 아밀로펙틴과 비슷한 성질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제빵이 가능한 것이기도 합니다.
09/10/15 13:22
질풍노도님//제가 말한부분은 단위 면적당 찹쌀과 일반쌀의 생산량이 동일하다면,
찹쌀의 생산량이 지금보다 훨씬 많아야 할텐데 그렇지 못하다는 것이죠. 그 원인이 찹쌀의 생산량이 일반쌀에 비해 못미치거나,수매를 해주지 않아서 판로가 없는게 아닌가 하는거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