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12/02/23 14:35:02
Name possible
Subject 단기 s급 포스와 장기 A급 포스 중 여러분은?
잠깐 등장해서 역대 모든 기록을 갈아치우는 s급의 포스와

장기간 꾸준히 A급으로 활약하는 것중 여러분들은 어떤 것을 더 선호하십니까?

말그대로 둘중 어떤 것이 우위가 아니라 단지....선호하는 것을 물어보고 싶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장기간 A급을 더 선호합니다.


그리고 실제로 스포츠뿐만 아니라 모든 분야를 망라해서 위와 같은 예를 찾아보면 어떤 것이 있을까요?

개인뿐만 아니라 팀도 찾아본다면...

여기서 분야가 어떤거냐에 따라 기간이 좀 애매하긴 한데....

대략 단기는 2-3년, 장기는 5년 이상으로 기준을 잡으면요.

뭐 여기서 벗어나도 상관은 없읍니다만....

그리고 말도 안되게 s급 포스를 장기간 동안 유지한 경우도 있을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흰코뿔소
12/02/23 14:39
수정 아이콘
루헨진 이종범 선동렬 이승엽 정도면 장기간 S급 아닐까요?
Eluphant Bakery
12/02/23 14:39
수정 아이콘
저는 단기 S급 포스를 더 좋아합니다.
임이최마가 단기 S급 택뱅+명이 장기 A급이라고 생각하구요.
축구에서는 현재 메시가 장기 S급 진행중으로 보이네요.
호나우도/호나우딩요가 단기 S급으로 보면 되지 않을까요?
거기다 이윤열선수는 단기 S급 + 장기 A급 정도로 보이구요.
12/02/23 14:44
수정 아이콘
말도 안되는 S급 포스라면 이창호 사범님이 있네요.
방과후티타임
12/02/23 14:44
수정 아이콘
제가 야구선수중 가장 좋아하는 송진우, 정민철 선수가 장기 A급 포스에 끼려나요?물론 간간히 특출나게 잘한 년도들이 있긴 하지만 리그를 홀로 씹어드신 적은 없으시기에.......특히 은근슬쩍 콩라인 탄 정민철코치님......
Cazellnu
12/02/23 14:44
수정 아이콘
굳이 야구로 따지면 심정수와 양준혁정도가 아닐까 싶은데
(이승엽, 이종범등등은 장기S급이라 등급외)
웃으며안녕
12/02/23 14:45
수정 아이콘
장기 s급 포스 많을껄요? 아무래도 개인종목이 많을껄로 예상..
테니스,골프,탁구.양궁,바둑,유도,레슬링 등등
페더러,마이클조던,타이거우즈,소렌스탐 등등
Eluphant Bakery
12/02/23 14:48
수정 아이콘
그런데 단기와 장기를 저렇게 기간을 딱 정하기에는 스포츠마다 활동시기와 전성기에 차이가 커서 좀 무리가 있을것 같아요.
12/02/23 14:48
수정 아이콘
말도 안되게 장기 S급이라면 이창호 사범을 절대 빼놓을 수 없겠죠..
12/02/23 14:49
수정 아이콘
핸드볼의 윤경신 선수도 역시 마찬가지구요.
Monde Grano
12/02/23 14:50
수정 아이콘
단기 S급을 좋아합니다. 대표적으로 마이크 타이슨이 있겠죠. 전성기는 3~4년정도였으니까요. 마이클 오웬도 끼워줄 수 있겠군요.

말도 안되는 장기 s급 포스라면 역대최강은 카렐린이라고 생각하고요, 그 외에 미하엘 슈마허 정도가 적당한 인물로 보입니다.
그늘진청춘
12/02/23 14:53
수정 아이콘
마이클조던, 알리, 지단(펠레나 마라도나는 직접 뛰는걸 보지 못해서...제가 본 선수중에 은퇴때까지 S급 기량을 유지한건 지단 밖에 떠오르지 않네요.) 정도면 장기 S급으로 봐야되지 않을까요.
야구는 팀빨도 어느정도 있어야되고, 시즌별로 기복이 굉장히 심하다고 생각하기 떄문에 잘 모르겠네요.
저 같은경우는 단기 S급포스를 더 좋아합니다.
선동렬감독이 말한 2등은 꼴지와 같다는 말이 스포츠계에서는 어느정도 의미가 있는 말이라고 생각하거든요. (물론 저 말 뜻 그대로가 맞다는게 아닙니다)
그리고 사실 단기 S급이 몰락하더라도 예전만 못해서 욕먹는거지 A급 활약은 펼치는 경우가 대부분이구요.
켈로그김
12/02/23 14:54
수정 아이콘
제가 한다고 해도 단기S,
누군가를 본다고 해도 단기S,
일단 흥미롭죠.
부스터온
12/02/23 15:04
수정 아이콘
단기 s가 훨씬 나은거 같습니다
세간의 평가도 그렇구요
단적인 예로 박재홍 선수와 비교해도 약간 모자르지않나싶은 이종범 선수가
매번 양준혁 해설과 비교대상으로 오르라내리락하는 것보면
평가도 그렇고 s급을 단기로 찍어주는것이 임팩트가 강한것같아요
12/02/23 15:08
수정 아이콘
한 선수나 팀의 팬심으로 응원하고 시청할 땐 장기 A급을 좋아합니다.
정상의 자리에서 내려와서 폼이 되돌아오지 않는 (과거의) 단기 S급을 장기간 응원한다는 것은
너무 마음고생이 크고 팬심을 발휘할 원동력을 유지하기도 쉽지가 않습니다.
반면 장기 A급은 경기, 대회에도 꾸준히 출전하고 자기관리와 마인드도 좋기 때문에
응원하는 재미와 보람을 오래도록 느낄 수가 있죠.

그러나 특정 선수나 팀의 팬이 아닌, 종목의 일반팬으로서는 단기 S급을 선호합니다.
다른 선수들과는 차원이 다른 플레이를 보여주기 때문에 보는 즐거움을 극대화시킴은 물론이고
'도대체 어디까지 올라갈까?' '누가 저 선수를 무너뜨릴까?'
라는 호기심에 경기에 대한 기대감과 흥미도 훨씬 높아지죠.
스포츠를 보며 가장 짜릿한 경험은 단기 S급의 경이로운 플레이를 보며 감탄하는 순간인 것 같습니다.

정리하자면 신규 팬을 유입시켜서 판을 넓히고 활성화시키는 것은 단기 S급,
유입된 팬들이나 매니아들을 유지시키고 판의 깊이를 더하는 것은 장기 A급
정도로 각자의 역할을 하고 있지 않나 생각합니다.
에휴존슨이무슨죄
12/02/23 15:37
수정 아이콘
더 좋아하는건 단기 S
더 어려운건 장기 A 가 아닐까하고 생각합니다
정 주지 마!
12/02/23 17:23
수정 아이콘
단기 s급의 팀으로는 아스날이 갑자기 스치네요..
디레지에
12/02/23 19:24
수정 아이콘
장기A급의 선수가 후에는 더 고평가되겠죠. 저는 장기A급에 점수를 주고 싶습니다.
우던거친새퀴
12/02/24 23:59
수정 아이콘
오히려 이승엽보다 양준혁이 장기 S급에 더 가까울지도 몰라요
양자의 커리어하이의 OPS+ 비교시 양준혁이 훨씬 높거든요.

S급이라면 시즌 3손가락안에 드는 수준.. 좀 양보해도 5손가락정도로 생각하는데
류현진, 이종범은 이안에 드는 성적 많이 찍진 못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33450 어벤저스 질문입니다. (스포유) [5] possible2184 12/04/30 2184
133171 넬이 인디 (언더?)인가요 오버인가요? [7] possible2249 12/04/27 2249
132313 인디씬에서 공중파 가요프로그램 1위한 적 있나요? [6] possible2185 12/04/18 2185
131832 배틀쉽 어떤가요? [5] possible1763 12/04/12 1763
131652 여러분 마음속의 걸그룹 노래 best 5는? [37] possible2210 12/04/10 2210
131197 한글 문서 프린트하면 이상하네요.. possible1763 12/04/04 1763
129369 바람의 검심 어떻게 봐야하나요? [5] possible5491 12/03/14 5491
129286 3대 기획사 sm, jyp, yg의 역대 top3는? [28] possible3201 12/03/13 3201
128554 유로 2012 득점왕은 누구로 예상하시나요? [18] possible2241 12/03/03 2241
128354 현재 유럽 4대 리그 베스트 11은 어떻게 되나요? [16] possible2325 12/03/01 2325
128261 SM, YG, JYP 출신 가수는 누가 있나요? [25] possible5481 12/02/29 5481
127731 단기 s급 포스와 장기 A급 포스 중 여러분은? [20] possible2649 12/02/23 2649
127678 랩퍼 주석은 어떤 평가를 받나요? [9] possible2225 12/02/22 2225
127489 입냄새때문에 미치겠습니다. [7] possible2462 12/02/20 2462
127252 앵그리버드 어디까지 나왔나요? [1] possible1817 12/02/17 1817
126891 가수 이외의 연예인이 노래 불러서 가장 성공한 사람은 누구인가요? [37] possible2534 12/02/13 2534
126613 목소리가 좋거나 이상한 연예인은? [20] possible4505 12/02/09 4505
125380 윷놀이 룰에 대해... [14] possible9943 12/01/25 9943
124850 식당에서 음식남기고 벌금 물으신 분 계시나요? [3] possible2556 12/01/18 2556
124029 오디션 프로그램에서 목상태 최악이라는 말은 사실? [3] possible2219 12/01/08 2219
123891 블랙박스 설치비용 관련 [2] possible3542 12/01/06 3542
123493 자동차 관련 두개 질문 [5] possible1760 12/01/02 1760
122547 지그재그 모양 차선 뭔가요? [2] possible2520 11/12/21 252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