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2/03/03 13:24:57
Name BaDMooN
Subject 삼국지 12 클베 체험담
지난 24일부터 진행된 삼국지 클로즈 베타 서비스가 일주일을 맞았습니다. (15시부터 23시까지 게임서버 오픈)
대략 일주일정도 즐기면서 클베 소감에 대해 알려드리고자 미숙하지만 글을 써봅니다

1. 게임은 어떻게 진행되는가



누구나 공평하게 처음에는 이와 같이 장수카드를 부여 받습니다
조운, 전위, 태사자, 화흠, 공융, 손건으로 창병, 궁병, 기병 각각 2병과씩  6개의 장수카드가 주어집니다.
그리고 클베에서는 한게임을 치룰때마다 무작위로 장수카드를 한장씩 줍니다 (중복O)
무슨 게임이 처음부터 S급 장수들을 이렇게 뿌려대나 생각이 드실 수 있겠지만, 이게임 역시 프로야구매니저 (이하 프야매)처럼 동일인물이라 할지라도 그 등급이 다릅니다.
이 게임에서 카드는 총 4가지 등급으로 나뉘어 있고 카드테두리의 색깔을 통해 그 등급을 구별하실 수 있습니다
(SR: 슈퍼레어 [황금색] R: 레어 [은색] UC : 언커먼 [동색] C : 커먼 [녹색])

프야매를 해보신 분들은 손쉽게 이해하실 수 있는 비슷한 시스템인데
그림에 각 장수의 코스트가 있고, 현재 클베에서 그 코스트는 장수의 숫자는 최대 6명, 코스트의 합은 최대 24까지 가능합니다.
총 코스트 24/24 옆에 병력은 장수들이 거느린 병력의 합을 의미하고, 그 옆의 예비병은 처음에 주어지는 본진의 병사입니다



장수카드를 이용해 부대편성을 마치고 현재 대전을 신청한 다른 유저와 연결해줍니다
연결에 성공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뜹니다
나와 상대의 병사수, 구성된 장수들을 볼 수 있고, 맵은 랜덤으로 선택됩니다.
현재 클베에서 사용되는 맵은 총 3가지 맵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비책선택버튼을 눌러 이맵에서 내가 사용할 비책을 고르게됩니다



遠望の策 (원망의 책) : 일정시간동안 전맵을 밝혀줍니다
伏兵の策 (복병의 책) : 일정시간 전 아군부대가 복병이 됩니다
援兵の策 (원병의 책) : 출진중인 아군부대에 성안의 예비병으로부터 병력을 증원합니다
帰陳の策 (귀진의 책) : 아군의 모든 부대가 본진으로 귀환합니다
鼓舞の策 (고무의 책) : 일정시간 아군의 전투력이 상승합니다
禁帰の策 (금귀의 책) : 일정시간 적군은 본진으로 복귀할 수 없습니다

비책을 고르고 개전버튼을 누르면 전투가 시작됩니다


2. 전투화면에 대한 소개

스샷보다는 동영상 한번 보시는게 더 빠른 이해가 될거라 생각해 유튜브에 올라온 영상을 참고 하겠습니다



올린시기를 보면 클베 초기로 추정되네요



좌측하단이 아군 우측상단이 적군의 정보입니다.
좌측상단을 보시면 아군과 적군의 총병력과 본진의 병력수가 표시 됩니다
유닛의 조작은 스타크래프트로 모인 PGR유저분들은 매우 쉽게 익힐 수 있는 조작법입니다. (짤은 제갈량의 튜토리얼로 대신합니다)
마우스로 좌클릭으로 유닛을 선택하고 우클릭으로 이동시킵니다
단축키도 지원하기 때문에 일일이 유닛을 클릭하기 귀찮다면 숫자키 1~6을 입력하면 해당번호의 장수가 선택됩니다
좌측하단의 육각형은 자신이 고른 비책을 사용할 수 있는 버튼이고, 좌측하단 밑의 게이지바는 장수가 보유한 전법을 발동시키는데 필요한 지휘포인트입니다.



[관우의 전법인 천리행. 6지휘포인트를 사용한다]


3. 전투는 어떻게 진행되는가

현재 클베에 등장하는 병과는 창병, 기병, 궁병 세종류입니다.
장수마다 고유의 병과를 지니고 있고 각 병과는 상성이 존재합니다
(창병 > 기병> 궁병 > 창병)
상성이 앞서는 병과로 공격하면 특수공격 효과가 나타나 하위병과에 큰데미지를 줍니다
아무리 좋은 장수라도 병과가 상극인 유닛을 상대로는 효율적인 전투가 어렵기 때문에 항상 신경 쓰면서 조작해야합니다

병과에 이어 이번에는 장수 고유의 특기를 소개하겠습니다
특기는 총 9가지로 다음과 같고 기본적으로 발동되며 전법처럼 지휘포인트를 별도로 필요로하지 않습니다

豪傑(호걸) : 동종병과를 상대로 특수공격이 발동됩니다. (다시 말해 기병과 기병이 붙어도 기병 궁병이 붙는 효과)
一騎(일기) : 일기토시 필살과 반격을 사용할 확률이 증가합니다
神速(신속) : 부대의 기동력이 상승합니다
水練(수영) : 개울가에서도 기동력이 떨어지지 않습니다
遠射(속사) : 궁병의 발사속도가 빨라집니다
攻城(공성) : 적의 본진을 공격시 본진이 받는 데미지가 커집니다
冷静(냉정) : 부대가 전장에서 동요하지 않습니다
軍師(군사) : 사용한 전법의 유지시간이 길어집니다
鬼謀(귀모) : 복병상태로 전투에 임합니다




한장수가 최대로 보유할 수 있는 특기는 5가지입니다.
그림의 SR조운은 UC조운이 보유한 일기와 신속뿐 아니라 호걸과 냉정도 가지고 있어 쓰임새가 더 다양하네요


특기에 이어 주요 전법을 소개해 보겠습니다.
특기가 없는 장수카드는 존재하지만 전법은 코스트의 고저 카드등급과 관계없이 모든 무장은 하나씩 전법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전법은 위에서도 말했듯이 각기 발동되는데 지휘포인트가 필요합니다
지휘포인트는 시간이 지나면 자동적으로 찹니다만 특정 조건에 의해 차는 속도가 달라집니다
위에 있는 전투 동영상이나 제갈량이 있는 짤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피아 본진 사이에 여러개의 진이 보이실겁니다.
이 진은 아군 유닛을 이동하여 점령할 수 있는데 점령된 진이 많을수록 지휘포인트가 차는 속도는 더 빨라집니다
각 장수의 전법은 전투의 양상을 뒤바꿀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면 진을 많이 보유하면서 전투에 임하는 것이 좋습니다
발동된 전법은 한정된 시간안에 발동되는 것으로 한번 발동했다고 계속 유지되지 않습니다
본론으로 돌아와 대표급 장수의 전법을 말해 보겠습니다



[주요 네임드 장수의 자신만을 강화하는 전법]
※ 명칭옆의 숫자는 발동하는데 필요한 지휘포인트입니다

천리행6 : 자신의 공격, 파괴, 무력을 상승. 상성을 무시하고 전 병과에 특수공격 (SR관우)
만인적6 : 자신의 공격, 방어, 무력을 상승. 상성을 무시하고 전 병과에 특수공격 (SR장비)
단기구5 : 자신의 공격, 방어, 기동력을 상승 (SR조운)
공방일체4 : 자신의 공격, 방어, 무력, 지력이 상승 (SR하후돈)
속맹사4 : 자신의 사정거리와 시야가 상승. 상성을 무시하고 전 병과에 특수공격 (SR하후연)
철벽4 : 자신의 방어100%, 무력이 상승. 동요로부터 회복 (SR전위)
돌파4: 자신의 공격, 파괴, 기동력이 상승 (문추, 기령)
복병신속4 : 자신의 공격, 기동력이 상승하며 복병이 된다 (희지재)
노익장4 : 자신의 전투력이 장시간 상승한다 (황개)



만인적을 발동하는 장비

[주요 네임드 장수의 범위내 아군을 강화하는 전법]

위무의강7 : 범위내 아군의 공격,방어,무력,지력이 상승 (SR조조)
의용병8: 범위내 아군의 공격,방어력을 상승, 부상병 회복 (SR유비)
기병신속7 : 범위내 아군 기병의 공격, 기동력이 상승 (SR공손찬, 마등)
전군맹공7:  범위내 아군의 공격, 파괴력이 상승 (SR손견, 동탁)
궁병강사6:  범위내 아군 궁병의 방어, 시야, 사정거리 상승 (SR노식)



전군맹공을 발동하는 동탁

[주요 네임드 장수의 범위내 적군을 약화하는 전법]

인중여포10 : 범위내 적에게 무력차만큼 데미지를 입히고, 동요하게 만든다 (SR여포)
화계8 : 범위내 적에게 지력차만큼 데미지를 입힌다 (SR순유)
매복의독7: 범위내 적에게 지력차만큼 데미지를 입히고 전투력을 저하시킨다 (SR이유)
허허실실7: 범위내 적의 공격을 저하하고, 적의 타겟을 자신으로 향하게 한다 (SR전풍)



매복의독을 발동하는 이유

※ 참고로 이외에도 더 다양한 전법이 존재합니다. 그리고 비네임드 장수들의 전법은 타장수들의 전법과 비슷한 경우가 많습니다



게임의 승리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적의 병력을 0으로 만들 것
2. 적의 본진병력을 0으로 만들 것
3. 적의 장수가 모두 사망할 것
4. 승패가 가려지지않고 주어진 시간이 모두 종료된 경우 상대보다 많은 총병력을 보유할 것


위에서 언급한 각 병과, 장수들 고유의 특기와 전법 그리고 단한번 사용이 가능한 비책으로 위의 승리조건을 하나만 만족시키면 게임에서 이기실 수 있습니다.
현재 클베에서 주로 나오는 승리조건은 2번과 4번입니다

1번의 경우는 클베 초기에는 자주 있었습니다. 유저들이 게임을 처음하다보니 조작도 서툴고 부대들이 나눠서 이동한다기보다는 우루루 한타로 싸우고 그걸 감상하는듯한 전투가 일상적이였기때문에 병력소비가 잦았습니다.
하지만 게임을 하면서 어떻게 해야 승리할 수 있는지 이해와 요령을 알게되면서 자신에게 유리한 상황을 만들어 전투를 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그러다보니 정해진 시간안에 한쪽의 병력이 0이되는 것은 보기 어려워졌습니다

3번의 경우는 처음부터 많지 않았는데 동영상에서도 보시면 아시겠지만 병력을 다 잃었다고 장수가 사망하는게 아닙니다
병력을 다 잃은 장수는 주어진 체력 100을 가지고 본진으로 퇴각하는데 이 장수를 처리하지 못하고 퇴각시키게 허용하면 일정시간 뒤에 본진의 병력을 이용해 재출격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클베 초창기에는 24코스트로 고코 위주의 장수 3,4명으로 구성해서 싸우는 유저들도 많았지만 현재는 많이 보기 어렵습니다.
최소한 5명정도는 되야 6명으로 이뤄진 부대를 상대로 싸울때 진지 확보나 상성싸움에서 유리하게 싸울 수 있기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정해진 시간안에 적장수를 모두 사살하는 것은 매우 드문 경우입니다

2번의 존재가 이게임을 온갖 심리전을 연출하게 해줍니다
전투가 개시되면 기본적으로 본진에 예비병 5만이 주어집니다.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장수들이 병력을 다시 충원하기 위해 혹은 기병들의 빠른 본진 러쉬로 예비병은 3만 이하로 떨어지게 됩니다
게임이 후반부에 진입되면 초반보다 장수의 숫자도 줄고, 병력의 숫자도 줄어든 상태이고 모아둔 전법포인트도 쌓여있어 양측의 수비가 약화되게 됩니다.
타임아웃을 의식해서 병력을 전장에 다 퍼붓다가는 공성 특기나 파괴력 상승을 지닌 전법을 지닌 장수들에게 본진공격을 허용하게 되고, 위와같은 장수들에게 본진공격을 당하면 한번에 3000가까이 병력이 닳기때문에 그 타격은 어마어마합니다
그렇다고 공성에 치우치게 되면 상대에게 진지를 다 허용하게 되어 전법포인트 축적이 떨어져 게임후반 상대의 공세에 역전당하기 쉽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게임도 끊임없이 정찰하면서 상대의 의도를 파악해야합니다.



4. 현재 클베에서 인기가 있는 장수들

이 게임도 게임인만큼 주류를 타는 장수들이 있습니다.

기병에서 가장 인기가 있는 장수는 관우와 조운을 꼽을 수 있겠네요.
관우는 클베에 나온 장수들중에 유일하게 특기를 5개 모두 꽉채운 장수입니다. (호걸,일기,신속,수영,냉정)
게다가 전법인 천리행을 발동시키면 파괴력도 상승하기때문에 공성전으로도 가치가 있는 장수입니다
게임을 전투 혹은 공성전 하나로만 생각하지 않게 해줄 수 있는 장수이기때문에 많이 애용됩니다.

조운은 이미 삼국지 매니아들 사이에서는 조벌쳐 혹은 킬러조로 불리고 있는데
단기구를 발동시키면 기동력이 상승해서 (기병+신속+단기구) 삼12에서 가장 빠른 유닛이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병력을 잃은 장수들이 퇴각할때 쫓아가서 완전히 숨통을 끊는데 가장 적합하게 사용됩니다
적장수를 사망시키면 전장의 장수들은 동요로 혼란에 빠지게 됩니다.
동요하게 되면 상성도 무시되어 전투로 큰 병력을 잃을 수 있기때문에 전투에서 유리한 상황을 연출할 수 있습니다
SR조운은 특히 기병을 하나만 사용하시는 분들이 선호합니다.
조운 하나로 충분히 정찰과 진지확보가 가능하다고 생각하고 다른 궁병이나 창병으로 전면전에서 더 압박할 용도로 사용하시는거 같습니다

UC조운도 많이 사용되는 유닛입니다.
6코기병으로 신속까지 달려있는 유닛으로 유일하기때문에 시야확보나 상대를 몰아서 포위하면서 싸우는 용도로 많이 이용됩니다
주로 2기병체제에서 선호된다고 보이네요

저코중에서는 변씨와 채염이 많이 쓰인다고 봐야겠네요
변씨는 특기중에 도발이 있습니다. 도발은 범위내 상대 유닛을 자신에게 향하게 하기 때문에 전략적으로 많은 가치가 있습니다.
(이를테면 적이 병력차를 감안해 공성수비를 위해 2~3명의 창병을 본진주위에 세워놨을경우 변씨로 도발을 걸고 걸린 유닛들을 성 바깥쪽으로 끌고나오는 동안 공성공격 유닛이 성 본진으로 침투하듯이 말이죠)
채염이 쓰이는 이유는 1코 기병입니다. 다시말해 완전히 정찰용도로만 사용됩니다



전법과 너무 잘 어울리는 포즈를 하고 있는 변씨


창병에서는 SR전위가 가장 많이 쓰입니다. 전위는 특기에 호걸이 있어 궁병을 제외하고는 특수공격이 발동되는데, 전법인 철벽을 발동시키면 방어력이 엄청나게 올라가 상성에서 우위인 궁병의 공격을 받아도 데미지가 적습니다. 게다가 동요로 인해 혼란에 빠져도 철벽을 발동시키면 바로 회복되기때문에 매우 공략하기 어려운 캐릭터입니다.
그래서 상대를 전위와 소수의 장수로 압박하면서 다른 다수의 장수들로 다른 곳을 공격하는 그런 전략이 많습니다.

기령도 인기있는 창병장수로 공성전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창병이지만 신속이 있어 기동력이 떨어지지않고, 전법을 발동시키면 일정시간 파괴력과 기동력이 상승되어 상대 본진을 무빙샷으로 공격할 수 있어 공성전을 목적으로 짠 유저들에게 인기가 높습니다.

그외 창병장수들은 주로 저코 진리장수들이 인기가 높습니다.
창병은 기동력이 가장 뒤떨어지기때문에 아무래도 수비에 많이 이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특기가 많은 고코유닛들보다 보유한 병력이 많고 코스트가 많은 왕윤, 화흠, 간옹같은 장수들이 많이 쓰입니다.
여기에도 기병의 변씨같은 존재가 하나 있는데 배원소가 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창병의 경우는 기병에게 상성에서 앞서 있기때문에 보통의 유저들이 고코 기병장수를 하나씩은 꼭 넣어두는것을 고려하면 배원소로 도발하고 싸우는동안 그 기병을 쌈싸먹는 전술로 많이 이용됩니다



2코주제에 24000이라는 병력과 적절한 전법까지 갖춘 왕윤. 그래서 인기가 높다


궁병의 경우는 전면전으로 싸울경우 기병에게 바로 포위될 확률이 높아 저코들이 애용되지만
뭉친 궁병의 경우 일점사 효과가 크기때문에 6명의 장수중 궁병장수를 4~5장수로 사용하는 경우 고코 궁병장수들이 사용되기도 합니다
대표적으로 범위내 아군의 시야와 사정거리를 올리는 노식이 사용되는 편입니다.
하지만 위와같은 경우는 드문 경우고, 저코진리로는 동요로부터 회복시키는 전법을 가진 공융과 유일한 1코 궁병인 진림이 가장 애용되고 있습니다


먼저 게임 소감에 대해서 말해보자면 일단 재밌습니다.
유년기를 재믹스나 패미컴으로 시작한 게임1세대들은 지금쯤 게임불감증이란걸 가지고 계실텐데 정말 오랬만에 시간가는줄 모르고 즐긴 게임이였다고 봅니다 (물론 제가 삼국지를 좋아해서 그런 효과가 크겠지만요)
코에이가 싱글외에도 대전온라인용으로 따로 낼 수 있다는 말이 돌던데 부디 대전온라인은 한국에도 서비스되어 정식으로 즐기고 싶네요
스타크래프트로 인해 실시간 전략시뮬에 익숙하고 삼국지의 인기가 높은 한국 특성상 초반 인기는 무조건 확실하고 어떻게 재미를 유지시키느냐가 롱런의 관건이 될 것 같습니다


글을 조금씩 나눠 쓰다보니 삼국지12 클베기간이 연장됐습니다
코에이가 전투 밸런스를 맞추기 위해 장수들을 조금씩 수정하고 밸런스 패치를 하느라 연장했다고 하네요
윗부분에 쓴 내용중에서는 현재와 다른 부분이 있을 수도 있는 점은 양해바랍니다.
관심이 있는분들은 아프리카에 가셔서 방송하는 분들이 몇 계시던데 참조하시면 감을 잡는데 더욱 도움이 될거 같습니다
저는 친구들과 서로 갈구면서 입국지나 시연해봐야겠습니다 크크

한자어중에 우리말과 뭔가 괴리감이 느껴지는건 약간 수정했습니다
(ex.水練은 그대로 읽으면 수련이지만 뜻이 수영의 기술이고 게임내 효과와도 일치해서 수영으로 적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3/03 13:36
수정 아이콘
재미있겠는데.. 한글화될 가능성은 거의 없는 거겠죠? ㅠㅠ
비공개
12/03/03 13:41
수정 아이콘
삼국지 전투 시스템이 실시간으로 바뀌었군요~.

생각보다 스피디해보이고 재미도 있어보이네요~.
12/03/03 14:13
수정 아이콘
엄청 재밌어보이네요 흑..
New)Type
12/03/03 14:20
수정 아이콘
아이패드같은 태블릿 PC용으로도 멀티플랫폼 개발중이라는데, 한글화 꼭 됐으면 좋겠습니다.
아이패드로 내면 정품 구매자도 많을텐데 ㅠ
동면곰
12/03/03 15:19
수정 아이콘
삼국지대전 스타일로 변한거군요..
보시거나 해보신분들도 계실텐데..
오락실에서 카드 올려놓고 손으로 스윽스윽 하던 그 게임입니다..
돈먹는 귀신이었죠..
12/03/07 18:38
수정 아이콘
와 정말 좋은 글이네요
감사히 잘 읽었습니다.
고시 끝나면 저도 꼭 해봐야겠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6561 게임 속의 한국인 캐릭터들 [37] 눈시BBver.211823 12/03/17 11823 3
46483 삼국지 12 클베 체험담 [6] BaDMooN8631 12/03/03 8631 1
46071 농구와 LOL [14] 바보소년5915 11/12/30 5915 1
45809 G-STAR 2011 현장 취재 - 1일차, 부산 BEXCO 현장 스케치 [23] kimbilly8902 11/11/10 8902 1
45695 MLG 올랜도 3일차 경과 (The Perpetual Flame - 임요환 그리고 장민철) [17] 자유수호애국연대6861 11/10/17 6861 1
45501 (사진 많은)GSL 1주년 기념 올스타전 & PEPSI GSL Aug. FINAL 후기 [1] 구리구리5746 11/09/11 5746 0
45370 lol, 리그 오브 레전드)euphoria의 챔프 가이드 이모저모 #1 Range AD편 (2/2) [18] Euphoria6366 11/08/22 6366 1
45025 현재의 포스트시즌 방식 조금 아쉽지 않으세요? [60] 개념은?6674 11/07/24 6674 1
44697 (사진많은) LG시네마3D GSL Super Tournament 결승 후기 입니다. [1] 구리구리7414 11/06/20 7414 1
44473 GSL 하반기 변경안이 공개되었습니다. (수정) [10] 하루빨리4992 11/05/19 4992 1
44332 다시 한번 혁명을 일으키길 바라며 [8] 태연사랑7455 11/04/25 7455 1
44134 프로리그 중간 결산 및 향후 판도 예상해보기 [27] 레인메이커6673 11/03/22 6673 0
43882 택뱅리쌍에 관한 소고 [20] kimera8115 11/01/31 8115 19
43520 '그분'을 중심으로한 GSL 2회 김칫국 사발로 들이킨 결승대진 예상 [13] 견랑전설7175 10/11/01 7175 0
43332 아까 신한은행 불법 프로리그불판 [57] 파일롯토11393 10/10/18 11393 0
43248 다른 생각; 협회는 진정 협상을 하고 싶긴 한걸까? [8] naughty5102 10/10/14 5102 0
43238 문명 보고 좀 느꼈으면 합니다. [8] swordfish6453 10/10/13 6453 0
41474 승부조작으로 도마에 오른 e-sports의 구조적인 병폐에 대해 드리는 뼈아픈 글 [15] Laurent7073 10/05/18 7073 5
41399 진영수, 너만은 아닐줄 알았다. [17] 이태원서울팝12536 10/05/17 12536 2
41384 내겐 오랫동안 사귀어 온 친구가 한 명 있습니다. [2] 껀후이4491 10/05/16 4491 0
41289 최종병기 이영호 [56] fd테란12510 10/05/14 12510 76
41189 박세정 결승점 앞에 서서... [13] 영웅과몽상가4888 10/05/07 4888 0
40812 김택용 3.0으로 돌아올 그를 위해서. [13] 영웅과몽상가5099 10/04/07 509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